CHOSUN

초등학교 한문교육 현황과 모형모색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어진
Issued Date
2009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자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파악해 본 후, 올바른 초등한자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광주에 소재한 초등학교 몇 곳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재 초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현황을 조사해 보았다. 거기서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고찰해 보고 문제점들을 해결할 만한 모형을 모색해 보았다. 지금까지 논의했던 내용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Ⅰ장에서는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연구 목적과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초등학교 재량시간의 성격과 한자교육의 특성을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시 그 이론적 틀을 광주지역 초등학교에서 현재 이루어지는 교육에 비추어 보아, 현재 초등한자 교육이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를 조사하여 현황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많은 문제점들이 발견하였는데, 그 중 가장 큰 문제점으로 생각되는 것은, 대부분의 학교들이 한자 교육의 성격과 목표의 제시도 없이, 자체 교재를 마련하여 단순히 읽고 쓰고 암기하는데 그치는 교육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없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일 것이다. 또한 정규 학습시간이 규정되지 않아 아침 자율학습 시간에 불규칙적으로 자습형식의 학습을 하고 있다.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중요성과 학부모들과 학생들의 한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작금에 이러한 문제점들이 빨리 해결되지 않으면 안 된다.
제 Ⅲ장에서는 초등학교 한자 교재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먼저 전국에서 개발된 인정도서의 현황을 조사하고 이 교재들의 체제를 분석하여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고찰하였다. 비교적 서울·경기 지역에서는 인정도서를 출판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지방에서는 아직 보편적인 교재가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 지방에서도 하루빨리 지역성을 살린 인정도서를 비롯한 한자교재가 개발되어야 수도권과 균등한 한자 교육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 인정교과서의 내용을 살펴보면,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한자교육의 성격과 목표가 담겨있기 보다는, 표면적인 형식요건만 갖춘 교과서가 상당수 있었다. 학생들이 양질의 교과서로 학습할 수 있도록 인정심의기준도 더 까다로워지고 집필자들도 더 심의를 기울려 교재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제 Ⅳ장에서는 지금까지 논의하였던 현행 한자교육의 문제점과 교재의 문제점을 토대로 바람직한 한자교육의 모형을 모색해 보았다. 바람직한 한자교육의 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먼저 한자교육의 방향으로 성격과 목표와 교육영역을 설정하였다. 한자교육의 성격으로는 초등학교 학생수준에 맞는 한자와 한자어를 익혀 언어생활에 활용하게 하여, 국어의 어휘력을 신장하게 하였다. 초등한문은 한자어로 된 교과목 용어를 학습하여 타 교과의 학습에 도움을 주는 도구 교과적 성격이 중요하다. 따라서 교과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만나는 개념을 한자어로 제시하여 용어에 관한 기초 고찰을 하게 되면, 교과내용의 학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을 초등한문교육에서는 충분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사성어의 학습을 통해 한자문화권의 사람으로서의 한자 문화적 교양을 기르게 하고,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고양한다. 한문이라는 동아시아의 공통문어를 통해 한자문화권의 상호 이해중진과 조화로운 발전에 초석을 마련한다는 설정이다.
한자교육의 목표에서는 먼저 아직 초등학교 교육용 한자가 고시되지 않았으므로 중학교 교육용한자 900자 중에서 초등학생이 배워야 할 교육용한자 600자를 설정해 보았다. 교육용한자를 1학년 한자부터 6학년 한자로 배정하여 각 학년에서 각각의 기본한자를 익히고 한자어를 이해하여 언어생활에 활용하게 하였다. 다음으로 초등학교 한문교육의 교육영역을 설정하였는데 각 시도교육청의 제안과 연구자들의 제안을 살펴 본 뒤 교육영역을 한자와 한자어로 나누어 보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성격, 목표, 영역을 바탕으로 한자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문교육의 시간은 재량활동시간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대부분의 학교가 학생들의 수준과 난이도를 도외시한 한자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은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한자와 한자어 위주의 학습을 하도록 한다.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에서는 중학교 한문교육과의 연계를 위한 한자성어 및 간단한 한문을 학습한다. 그리하여 한문도 ‘초등학교 - 중학교- 고등학교’의 교육체계와 범주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교육내용의 마련이다. 재량활동 시간에 한자교육이 이루어지고 중학교와의 연계성이 중요시 된다면 가장 시급한 문제이다.
다섯째, 다양한 지도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지금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한자교육의 경우 옛날 방식의 쓰기와 단순암기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재량활동은 그 성격상 창의적인 활동, 자기주도적인 활동이 중시되는 만큼 더욱더 창의적이고 다양한 지도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여섯째, 한문 학습시간을 이용하여 인성교육을 실시한다. 전통문화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여 보다 확고한 정체성을 확립하도록 한다. 교수방법 개발에서는 부수를 활용한 한자 학습법과, 한자어를 활용한 에세이 쓰기 또는 고사성어의 口演 등을 고안하였다. 또한 고사성어를 스토리텔링 하는 방안, 한자를 쉽고 재미있게 익히는 노래학습법, 다산 정약용의 다산천자문인 󰡔아학편󰡕을 활용하여 한자를 학습하는 전통방식 한자 학습법 등을 제시하였다.
일곱째, 평가방향은 앞에서 고안한 교육내용 및 학습방법을 점검하기 위한 선상에서 제시하였다. 아직 국가차원의 한자교육과정의 고시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서울시 교육청의 교육과정에 고시된 내용을 준거로 삼았다. 즉 한자의 평가는 한자의 3요소와 관련하여 평가하고, 한자어의 평가는 언어생활과 연관하여 평가하고, 한자어구의 평가는 그 풀이와 속뜻을 이해하는가를 평가하였다.
이상으로 초등한자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바람직한 한자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여러 연구자들의 많은 연구와 발표에 힘입어 하루빨리 국가 차원의 교육과정이 고시되어 초등학교에서도 올바른 한자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current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for elementary schools and its problems, and to develop models of desirable education. For the purpose, we identified the nature of elementary school programs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the current education, targeting a few elementary schools in Buk-gu and Nam-gu, Gwangju.
As a result, we found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most of the schools used their own textbooks without presentation of the nature and goal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econd, the programs they provided depended only on reading and memorizing without extra instructions. Third, their programs were managed in a irregular base without consistent schedules.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textbooks used in elementary schools to find out problems of textbooks and found many problems as follows:
First, the nature and goals of each textbook were different. Second, each publishing company had an uneven external system. Third, difficulty index of each textbook was inconsistent.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ents.
As presented below, current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s many problems. So, based on the problems we found, this study is to develop models of desirabl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First, to plan organized methods to teach Chinese characters, we presented the nature, goals and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s far as the nature, it is suggested that the education should help the students learn Chinese characters and languages that are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 learning terms in Chinese as a means helpful for other subjects, nurture Chinese cultural knowledge through four-character idioms and enhanc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as Koreans. For presentation of goal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we set about 600 characters of the 900 Chinese characters for middle schools as basic characters to be learned from grade 1 to 6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for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s, we categorized it into Chinese characters, Chinese language and language life. Therefore, based on the nature, goals and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at have been discussed so far, we present directions of desirabl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First, it is desirable to use discretional time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econd, it is desirable for students in lower grades to learn basic characters and Chinese languages. Third, students in higher grades should learn four-character idioms and simple Chinese literature considering connections with middle school programs. Fourth, an organized and regular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Fifth, various teaching methods should be developed. Sixth, the program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inherit and understand our traditional culture.
Then, we developed four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the present elementary schools and present as follows: First, to learn Chinese character through radicals; second, to write essays using Chinese languages; third, to learn Chinese characters through singing songs; and fourth, to learn them using the『A-ak-pyon』by Dasan Jung Yak-Yong. We presented proper directions based a few educational directions and teaching methods we developed.
As presented above, we figured out desirable directions for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based on the current education program and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In the future, curriculums in the national level should be developed and each school should have more interest in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for prop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urrent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for Elementary Schools and Development of Desirable Models
Alternative Author(s)
kim eo ji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사범대학 한문교육과
Department
교육대학원 한문교육
Advisor
한예원
Awarded Date
2010-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i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및 선행 연구 검토 1
2. 연구 방향 4

Ⅱ. 초등학교에서의 한문 교육 현황 5
1. 초등학교 재량시간의 성격과 한자 교육 5
2. 광주지역 초등학교의 한문 교육 현황 6

Ⅲ. 초등학교 한문 교재의 실태 19
1. 교재의 현황 19
2. 교재의 분석 27
3. 교재의 문제점 41

Ⅳ. 초등학교 한문 교육 모형의 모색 43
1. 바람직한 한자교육의 방향 43
2. 교수방법 제시 50
3. 평가의 방향 63


Ⅴ. 결론 69

참 고 문 헌 73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김어진. (2009). 초등학교 한문교육 현황과 모형모색.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24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9604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0-01-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