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術 敎育과 環境彫刻 藝術의 敎育的 接近
- Author(s)
- 이은래
- Issued Date
- 2009
- Abstract
- 오늘날 개성, 자율성, 다양성, 대중성울 중시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흐름에 따라 현대 환경 미술 작품들의 양상 역시 변화되어 왔다. 이 같은 변화의 양상들은 환경 조형물에서도 발견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에서 환경조각이 가지는 교육적 함의에 대해 문헌연구 중심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환경조각을 통한 미술 교육의 의의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현대의 도시 공간은 인간 활동의 중심지이고 환경조각은 인간이 활동하는 시간과 공간에서 인간과 정서적, 심리적으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며 발달하여 왔다. 오늘날의 환경조각이 인간이 공유할 수 있는 미적 가치를 갖기 위해서는 조형요소들의 조화, 균형, 질서가 이루어져야 하며 여기에 건축과 조각의 역할이 크다고 하겠다. 그리스 시대 장식적이고 기념비적인 기능에 지나지 않았던 조각이 르네상스 시대에 와서 점차 건축에서 독립되어 발전해 오다가 오늘날에는 다시 서로 조화로운 결합이 이루어지는 양상을 보여왔다.
환경조각의 형성과정 속에서 우리나라는 불상, 토속적 Object가 있었으나 이는 상징적 대상으로의 접근이었고, 순수 예술적 의미는 적은 편이었다고 볼 수 있다. 초기 도시 공간의 환경물은 실질적인 예술의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었다기보다는 한정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단일한 미술 경향을 띠던 과거의 환경물이기에 그러한 경향을 띠었던 것이라고 사료된다. 그러나 현대의 미술 경향은 다양한 흐름들이 공존하고 있으며 그로인해 현대 미술은 다양한 경향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세계적인 미술 경향으로, 오늘날의 주된 경향인 모더니즘과 대별되는 포스트모더니즘을 일면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해 개인적 밀실 속에서 개인의 비기로서 있었던 조각은 Public한 공간 속으로 해체되는 경향을 보이며, 다양한 가치들이 수렴되는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다시 말해, 잃어버린 시간과 장소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조각을 매체로 한 공동성을 창출해 나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써 현대의 환경 조각은 상징적 혹은 단일한 가치의 대좌에서 벗어나 환경에 뛰어들면서 현대 도시 공간 속에서 창조적인 미적 가치를 드러내는 시도들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들은 우리나라에서 반영되고 있는 추세인데, 과거 비구상적 추상조각 탄생 이전의 상징적 교도적인 것으로서의 기념비적 조각이었다면, 오늘날의 환경조각은 과거의 환경조각과 비교할 때, 그것이 놓여있는 공간을 심미적으로 풍요롭게 하는데 그 주된 가치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조각은 인간이 정서적, 심리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가치를 가질 수 있도록 시간적, 공간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바로 여기에 환경조각의 교육적 접근 가능성을 발견하게 된다. 다양한 경향을 반영하고 있는 현대 환경조각은 다양한 시각과 창조적인 안목의 견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교육에 적절히 접목 반영하면 학생들에게 있어서 미적 정서의 함양은 물론이고, 창조적인 발상 및 성숙한 인격체로서의 성장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이는 학생들이 현대의 환경조각을 통해 미적 가치를 함양하고, 함양된 안목을 통해 창조적인 표현활동 및 감상 활동을 함으로써 가능해질 것이다. 그리고 미술 교육에 있어 궁극적인 목표도 이와 일맥상통한다고 보면, 미술교육은 환경조각을 통한 교육적 접근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창조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해 나가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환경조형물의 개념 파악을 시작으로, 크게, 공공미술로서의 환경조각, 환경미술로서의 환경조각,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의 환경조각에 대한 개념 정리를 하였다.
그 다음으로 환경조각의 이해를 통하여 환경조각의 기능 및 의의를 탐색하고, 환경조각의 조형적 요소에 대해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어, 환경조각을 크게 설립목적과 지각적 경험적 측면에 따라 분류하여 탐색보고, 현대의 환경미술과 현대조각의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현대 환경조각에 대한 이해와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스 시대부터 현대까지 시대적 흐름과 무관하지 않은 환경조각의 양상과 흐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환경조각의 교육적 접근에 있어서의 그 방향과 대안 모색에 있어 도움이 되었다.
오늘날의 미술교육에 있어서, 환경조각의 교육적 접근 방향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 미적체험활동을 통한 접근, 표현활동을 통한 접근, 감상활동을 통한 접근이 그것이다.
우선, 학생들의 미적 체험에 관한 고찰하여 보는 것은 그들로 하여금 미적 감수성을 길러줌으로써 생활 속에서 미술을 향유할 수 있게 함을 물론, 학생들이 주어지는 환경을 그저 살아야 하는 운명적 조건으로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자신이 환경을 친 자연적이고 친 인간적인 것으로 개선하고 가꿀 수 있다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바라볼 수 있도록 의식의 깨우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평범한 일상생활 속에서 만나는 시각 환경에 우선 관심을 갖고 그것들을 나름대로 읽고 판단하고 이해하고 분석하고 비평하고 개선해 나가도록 하기 위하여 환경조각을 통한 교육은 가치가 있으며, 궁극적으로 박물관이나 책에서 찾는 미술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 찾는 미술, 이것이 소양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 보편교육으로서의 미술, 학교에서 추구해야 할 미술교육을 달성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요컨대, 교육적 접근을 통한 환경조각의 교육적 가치를 발견하는 것은 첫째, 학생들이 이 교육적 가치를 함양하여 성숙한 인격을 갖출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둘째, 본 연구에서 수행한 환경조각의 발전과정과 양상에 대한 모색은 곧, 다양한 교육적 가치 발견의 가능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셋째, 환경조각의 교육적 가치 모색은 창조적이면서 발전적인 환경조각이 나타나게 하는 기반을 확장시킨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환경조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경조각에 관한 교육적 접근을 수행하였다.|In keeping with the trend of post modernism placing emphasis on individuality, autonomy, diversity, and popularity, aspects of contemporary environmental art has been also changed. The aspects of this change can also be found in environmental sculptur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art education through environmental sculptures by considering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environmental sculptures have in art education focused on documentary study.
Contemporary urban spaces are the center of human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sculptures have been developed while forming close relationships with human beings in terms of emotion. In order for today's environmental sculptures to have aesthetic value human beings can share, harmony and balance of plastic elements should be attained. Actually finally, mentioned in study, architectures and sculptures has play a significant role. Sculptures were limited to decorative function in Greek period however today's sculptures show harmony and balance after sculptures have developed since the age of Renaissance.
There were buddhist statues and native objects with respect to environmental sculptures in Korea but it was limited to symbolic meaning and lacked purely artistic meaning. Environmental sculptures of urban areas in the early delivered limited message to citizens instead of providing artistic features citizens can share. The reason for the limited function of previous environmental sculptures was due to conventional unitary art trend. However, today's art thrend shows pluralistic image. Pluralistic trend in art is prevalent throughout the world and it reflects post modernism. This attempt is to active in Korea. Previous sculptures were limited to symbolic functions while today's environmental sculptures place emphasis on aesthetic effect on citizens.
Today's environmental sculptures have the values human beings can share emotionally and for this reason, we can fin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approach for environmental sculptures. Today's environmental sculptures reflecting diversity enables citizens to have diverse perspectives and creative thinking. If the merit of today's environmental sculptures is applied to education appropriately, it enables students to enhance creative thinking and aesthetic emotion and to grow as accomplished person.
This goal can be attained by providing students with a lot of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thinking, appreciate artwork and enhance eyes for aesthetic values through environmental sculptures. As the ultimate goal of art education coincides with the objective mentioned above, art education should be given by making good use of environmental sculptures. Hereupon, this study organized concepts -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sculptures, environmental sculptures as public art, environmental sculptures as environmental art and environmental sculptures from the viewpoint of post-modernism.
Then, the function and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sculptures were examined by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sculptures and plastic elements were examined focused on relevant documents and advance research.
Then, the aspects of contemporary environmental sculptures were examined by studying the trend of contemporary environmental art and sculptures by classifying sculptures according to installation purposes. Examined the aspects and trend of sculptures from Greek age to modern times helped to find directions and solutions for educational approache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In today's art education, educational approache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can be classified the following three methods -approach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activities, expression activities and appreciation activities.
Leading students to appreciate aesthetic value enables them to enjoy art by enhancing aesthetic sensibility and to have active attitude toward life by awakening to themselves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In addition, the education through environmental sculptures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leading students to have interest in visual environment and understand and appreciate it. Art education should be given by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njoy artworks in the daily life instead of textbooks or museums.
Educational values by making good use of environmental sculptures can be summarized like this. At first, it enables students to have mature personality by enhancing educational values. Secondly, consideration for aspects and development proces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conducted in this study can enhance the possibility of finding diverse educational values. At last, to seek the educational value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can contribute to building the foundation to develop more outstanding and creative environmental sculptures. Educational approaches toward sculptures were conducted based on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sculptures.
- Alternative Title
- Educational Approach of Art Schooling and Environment Sculpture Art
- Alternative Author(s)
- LEE EUN RAE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과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 Advisor
- 정윤태
- Awarded Date
- 2010-02
- Table Of Contents
- 목 차
ABSTRACT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방법과 내용 4
제3절 용어의 정의용 5
1. 환경조형물의 정의 5
2. 공공미술로서의 환경조각 7
3. 환경미술로서의 환경조각 11
제2장 환경조각예술의 이해 12
제1절 환경조각예술의 의의 및 기능 12
1. 환경조각예술의 의의 12
2. 환경조각의 기능 17
제2절 환경조각의 조형적 요소 20
제3절 환경조각의 분류 26
1. 설립목적에 따른 분류 27
2. 지각적, 경험적 측면에 의한 분류 28
제3장 환경조각의 교육적 접근 32
제1절 제7차 교육과정과 미술교육 32
1. 미술과 교육 32
제2절 현행 미술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36
1.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 및 문제점 36
제3절 환경조각과 미술교육 47
제4장 결론 및 제언 55
참고문헌
표 목 차
미적체험학습-학습 단원별 분석표와 공예영역 38
표현학습-단원별 분석표와 조형영역 39
학습영역과 작품분포 40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의 영역별 문제점과 개선방향 46
다양한 방법적 접근을 통한 환경조각의 미술교육 54
도판 목차
내일의 태양 - 조선대학교 7
백학탑 - 조선대학교 7
건축조각 - 로마 폴리대공의 궁전 정면 29
Six Scenes from the Genesis - 프라도 미술관 30
광장조각 - 우피치 미술관 31
풍경조각 - 국립 현대미술관 31
김수현 - 나들이 50
한애규 - 내마음의 계단 50
심문섭 - 제시 50
신현중 - 공화국수비대 50
오상욱 - 대지의 어머니 50
김영원 - 공간속으로 51
이수홍 - 집과가정 51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 Citation
- 이은래. (2009). 美術 敎育과 環境彫刻 藝術의 敎育的 接近.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19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9331
-
Appears in Collections:
- Education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0-01-25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