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향가와 속요의 기원성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승재
Issued Date
2009
Abstract
향가와 속요는 우리 고전 시가 연구에 있어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두 장르를 아우르는 포괄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향가와 속요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찾을 수 있는 어떠한 대상에게 무엇인가를 기원하는 ‘기원성’을 연구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였다. 기원성이 작품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표현되었는지 알아보고 그 표출 양상에 있어 어떤 차이점이 나타나는 지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
Ⅱ에서는 향가에 나타난 기원성을 󰡔삼국유사󰡕 소재 향가 14수를 대상으로 기원을 하며 바라는 목적에 따라 분류하였고, Ⅲ에서는 속요에 나타난 기원성을 속요 7수를 통해서 화자의 유형과 표출양상에 따라 분류하였다.
Ⅳ에서는 향가와 속요의 개별 연구를 통해 향가와 속요에 나타난 기원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향가와 속요 모두 화자가 주어진 상황을 극복하고자 하는 바람을 가지고 있고 이것이 기원의 형태로 나타난다는 것은 공통적이다. 그러나 향가는 화자의 소망을 초월적 존재에 기원하는 성향을 나타내는 반면 속요는 화자의 소망을 현세적 대상에게 기원한다.
향가와 속요의 차이는 서정적 자아의 태도에서도 나타나는데 향가의 경우 서정적 자아의 태도가 내부로 향하여 감정의 절제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속요는 절제되지 않는 감정의 분출로 서정적 자아의 태도가 외부로 향한다. 또한 향가의 언어는 관념적이며 속요의 언어는 현실적 언어라는 것을 특정 어휘의 사용을 통해 비교해 보았다.
향가와 속요는 고전 시가를 대표하는 장르로 두 장르의 비교 연구를 통한 공통점과 차이점의 고찰은 의의를 가진다. 다만 향가와 속요가 창작되고 향유되던 시대적 차이로만 설명할 수는 없으며 시대의 변화에 따른 자아와 세계와의 갈등이나 당대인의 가치관의 변화, 고전 시가 작품 전반에 관한 포괄적 이해 등 보다 폭넓은 차원에서 연구해야 할 것이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Praying in hyangga and Sokyo
Alternative Author(s)
Lee Seung-Jae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Advisor
김정주
Awarded Date
2009-08
Table Of Contents
ABSTRACT‧‧‧‧‧‧‧‧‧‧‧‧‧‧‧‧‧‧‧‧ⅱ

Ⅰ.서론‧‧‧‧‧‧‧‧‧‧‧‧‧‧‧‧‧‧‧‧‧‧1
1. 연구목적‧‧‧‧‧‧‧‧‧‧‧‧‧‧‧‧‧‧‧‧1
2. 연구사 검토‧‧‧‧‧‧‧‧‧‧‧‧‧‧‧‧‧‧3
3. 연구 방법‧‧‧‧‧‧‧‧‧‧‧‧‧‧‧‧‧‧‧11
Ⅱ.향가에 나타난 기원성‧‧‧‧‧‧‧‧‧‧‧‧‧‧13
1. 소망성취를 위한 기원‧‧‧‧‧‧‧‧‧‧‧‧‧‧15
2. 설득을 위한 기원‧‧‧‧‧‧‧‧‧‧‧‧‧‧‧‧26
Ⅲ.속요에 나타난 기원성‧‧‧‧‧‧‧‧‧‧‧‧‧‧35
1. 한탄, 원망을 통한 기원‧‧‧‧‧‧‧‧‧‧‧‧‧38
2. 호소, 다짐을 통한 기원‧‧‧‧‧‧‧‧‧‧‧‧‧47
Ⅳ.기원성을통해본향가,속요의공통점과차이점‧‧‧‧‧57
Ⅴ.결론‧‧‧‧‧‧‧‧‧‧‧‧‧‧‧‧‧‧‧‧‧‧60
‧‧‧‧‧‧‧‧‧‧‧‧‧‧‧‧‧‧‧‧64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승재. (2009). 향가와 속요의 기원성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16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8520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9-08-0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