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유아기 한자 교육 방법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민희현
Issued Date
2009
Abstract
유아기는 다른 시기와 다른 발달적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다른 시기에 얻을 수 없는 학습효과를 습득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이다. 학습효과 뿐만 아니라 또 유아기 때 익힌 학습습관은 평생동안 영향을 미친다. 즉 유아기는 다른 시기와 다른 특성을 갖는 시기이므로 초·중·고 때와 다른 학습방법을 취해야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유아기의 한자 교육의 방향과 지도내용을 살펴보았다.
먼저 유아기 한자 교육의 방향에서는 단계적 성장을 바탕으로 한자 교육을 진행하기 위해 인지적 영역, 운동영역, 언어영역에서의 발달과정을 살펴보았다. 한편 모국어나 제2외국어가 아닌 국어어휘의 이해자료나 두뇌활동의 보조로서의 활용에 중점을 두고 한문학습의 어휘력 신장 역할과 지능발달 역할을 논의했다. 또 유아기 한자 지도 내용에서는 한자 학습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한자 학습의 必要有無, 취학 전 학습할 적정 글자 수, 한자 학습의 적정 시기를 알아보았다. 이와 함께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지의 학습량을 통해 유아기 학습할 적정 한자수의 범위를 고찰했다. 한자 학습 시 유의점으로 인지도, 활용도, 흥미도를 고려해야 한다. 한편 쓰기위주 학습의 문제점에 대해 논의 했다.
Ⅲ장에서는 18개의 주제로 구분되고 각 주제마다 3단계의 난이도로 구성된 유아용 학습한자 300자를 예시했다. 이 유아용 학습한자는 󰡔사자소학󰡕과 󰡔아학편󰡕을 참고했으며 Ⅱ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선정했다. 위 교재를 참고하여 유아용 학습한자를 선정한 것은 문자 교육 뿐 아니라 문자 교육 이후 사자소학과의 연계로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인성과 가치관 형성에 유아기 한자 교육의 목표를 두었기 때문이다.
또 Ⅲ장에서는 유아에 대한 한자 학습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했다.
첫째, 음악 학습방법에서 기존의 특정 음률에 한자의 음과 훈만 붙여 부르던 방법과는 달리 한자카드를 이용하여, 노래하며 한자카드를 찾아내는 방법으로 한자의 형·음·의를 모두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유아에게 자연스럽고 거부감 없이 한자를 수용할 수 있는 놀이 학습으로 언어 영역에서 널리 쓰이는 막대놀이, 벽돌쌓기, 카드뒤집기, 낚시놀이, 퍼즐놀이, 벨크로 활용하기, 한자일기쓰기, 역할놀이, 도미노게임의 놀이방법을 제시했다. 또 유아용 학습한자를 학습함에 있어 각 놀이방법을 활용하는 구체적 방법을 보여주었다.
셋째, 한자가 상형문자라는 특성을 고려해 동화의 그림과 한자를 연관 지어 학습할 수 있는 동화 학습방법으로 입체북을 활용한 한자 학습을 제시했다.
넷째, 자원풀이를 이용한 한자 학습과 고사성어의 학습으로 고대사회의 생활상이나 가치관 등을 자연스럽게 유아에게 심어줄 수 있는 문화학습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Social attention to Chinese characters has expanded eve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e-schoolers. However, most of the textbooks used for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focus on characters according to grades without considering specificity of infancy. The infancy is an important period when unparalled learning effect can be obtained. As well, as learning habits acquired in infancy have lifelong influence, different learning approaches should be developed for this perio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before age of six when mechanical memory works very actively stimulates activities of right brain, which contributes to higher intelligence quotient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300 Chinese characters for infancy and how to learn of Chinese Characters for Infancy specifically.
For the purpose, Chapter Ⅱ examines educational directions of Chinese characters for infancy, and what to teach. First, we suggest step-by-step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for infancy based on developmental process in cognitive, locomotive and linguistic areas. Meanwhile, we focus on use of data to encourage understanding Korean vocabulary and brain activities designed to enhance vocabulary power and intelligence development. And in what to teach, we identify necessity to learn Chinese character, proper number of characters to be learned in infancy and proper timing to learn through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 learning. And based on learning at home, we examine the range of proper number to be learned in infancy. At this time, perception, use and interest in learning should be considered. And as learning focusing on writing deteriorates interests to learn in infancy, a focus should be given on reading.
Chapter Ⅲ presents 300 characters for Infancy. These characters are selected based on Chapter Ⅱ, and as basic data. It was design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raditional culture through learning of Chinese classics and formation of personality and sense of value. The Chinese characters in infancy are sub-categorized into 18 themes each theme of which is categorized into three degrees of difficulty. The program is designed to promote the following organized learning according to age: the perception step on one theme since age 3, the step of use since age 4 and the step of intensive learning since age 5. Learning is encouraged through music, playing, fairy tale reading, and cultural activities and how to learn Chinese characters are specifically described.
First, for music learning, flash cards are used to learn shapes, sounds and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s. Second, for playing learning, specific methods of learning are presented with uses of sticks, blocks, velcro tapes, cards turn-over, fishing games, puzzle games, role-playing, and domino games. Third, for learning through fairy tale reading, pop-up books are used. It connects illustrations of the books with shapes of characters in consideration that Chinese characters are a pictograph. Fourth, it is suggested that original sources of characters should be interpreted for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four character idioms, in which infants are encouraged to understand traditional cultures of ancient society.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eaching Chinese Characters in the Infancy
Alternative Author(s)
Min Hee Hyu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교육
Department
교육대학원 한문교육
Advisor
권순열 교수님
Awarded Date
2009-02
Table Of Contents
目 次

ABSTRACT
Ⅰ. 서 론
1. 연구 목적
2.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
Ⅱ. 유아기 한자 교육의 방향과 지도 내용
1. 유아기의 한자 교육 방향
2. 유아기의 한자 지도 내용

Ⅲ. 유아기 한자 교육 방법
1. 음악학습방법
2. 놀이학습방법
3. 동화학습방법
4. 문화학습방법

Ⅳ. 결 론

참 고 문 헌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민희현. (2009). 유아기 한자 교육 방법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10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7711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9-02-0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