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사용행태 및 용기분류별 경제적가치 연구
- Author(s)
- 김보현
- Issued Date
- 2008
- Abstract
- 고대에는 향수와 화장품이 神像의 단장 같은 종교의식에 사용되었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신을 닮기 위해 화장을 했다. 그리고 세월이 흐르면서 화장은 예의의 차원을 넘어 과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다가 오늘날에는 인간관계를 원활히 하는 자기관리의 차원에서 여성만의 전유물이던 화장품이 남성들은 물론 어린이들이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까지 사용 층을 넓혀가고 있다. 따라서 제품은 연령별, 가격별, 용도별, 기능대별로 다양해져 소비자에게 선택의 폭은 넓어졌지만 반면 가정의 가계비 지출에 많은 압박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무엇보다 화장품 지출비용에 대해 한번쯤 고려해본 여성들이라면 소비자인 여성이 자신이 사용하는 화장품에 대해 사용습관이 올바른지를 살펴야 할 것이고, 생산자 측에서는 경제적 가치를 고려하여 기능적인 용기를 개발해 낭비되는 비용을 줄여야 함에도 일부 제품을 제외하고는 화장품용기의 비 기능적 형태로 인해 사용자가 내용물을 다 사용하지 못하고 버릴 수밖에 없는 경우가 있다. 이는 생산자 측이 화장품이라는 이미지만을 고려하여 구매 욕구를 용기의 시각적인 디자인에 치중한 결과라고 볼 수도 있고 비용절감을 위해 소홀히 한 결과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런데 낭비되는 화장품 잔류량이 용기로 인해 발생된 것이라면 가격대비로 볼 때 제시된 가격이상의 가격 상승요인이 작용한다는 점을 소비자는 고려해야 하리라고 본다. 더욱이 제품차별화란 명목 하에서 다양해진 화장품은 품질대비 가격도 고가여서 현재 시판중인 화장품의 가격을 보면 최저 천원서부터 최고 수십만 원까지로 가격대가 다양하게 나타내고 있는데 조사한 바에 의하면 월 기준으로 한 달에 대체로 50%가 넘는 인원이 5만원 미만에서 화장품 구입하는 데 지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 가격대의 화장품이 가계지출에서 차지한 비용을 5%라고 볼 때 다 쓰지 않고 버려진 화장품 가격까지를 더하다 보면 가계비에서 차지한 화장품 비용은 이보다 많아진다고 볼 수 있다.
최근에는 브랜드 네임만으로도 제품을 구입하는 소비자가 있어 제품의 용기는 브랜드의 이미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용기를 만들어 사용하는 예도 있는데 대개 수입화장품이나 고가의 국산제품이 여기에 속한다. 이들은 용기자체의 모양보다는 제품의 브랜드를 부각시킨 용기 디자인으로 사용층에 따라서는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는데 연령대로 보면 10대의 경우는 용기의 재질보다는 디자인이 우선시 되고, 귀여운 이미지가 선호되기 때문에 소량제품이 주를 이룬다. 20대의 경우 새로운 것에 대한 거부감이 적기 때문에 스틱형 파운데이션과 같은 외형의 변화를 준 제품이나 스킨, 로션, 에센스 등 여러 가지 기능을 하나로 합친 토탈 솔루션 제품과 같이 기존에 고정된 개념을 탈피하고자 하는 신개념의 제품들이 판매되고, 30대의 경우는 실용성과 고급스러움을 느낄 수 있는 용기를 선호하며 재질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는 층이라 할 수 있다. 또 소득층에 따라서는 수입제품, 국산고가제품, 국산중저가제품으로 분류할 수 있다. 수입제품이나 국산 고가제품의 경우는 중저가 제품과의 차별화 및 브랜드의 고급화를 용기의 디자인과 재질에 반영하고 있으며 중저가 제품의 경우는 기능성과 경제성 등이 중요시 되면서도 고급스럽게 보일 수 있는 이미지의 용기를 선택한다. 내용물에 의해서도 용기의 재질이나 형태가 변하는데 일반적으로 알코올제품은 유리병에 담고, 에센스등과 같은 고농축 기능성 제품들은 펌프형이나 엠플형으로 제작되어 적정량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 또한 보통 화장품에는 2~3종류의 성분을 섞은 방부제가 이용되고 있는데 이는 화장품 개봉 후 2개월~4개월 사이에 시작되는 내용물 변질을 막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제품의 변질을 늦추기 위해서는 습관적으로 내용물을 손가락으로 찍어 사용하는 제품보다 펌프형이나 에어로졸형의 용기가 선택되기도 한다. 그리고 그 일상성 때문에 기능과 효능은 물론이거니와 제품의 안정성을 위해서도 다양한 형태의 용기들이 개발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단지 소비자의 화장품 사용행태에 대한 문제만이 아니고 화장품 용기의 기능성에 의한 것도 있으리라 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들의 필수품인 화장품이 사용습관에 따라 낭비된 비용과 제품용기의 기능성 정도에 따라 버려지는 잔류 량으로 인해 가격상승효과 요인이 된다는 것을 밝히고자 용기별, 제품별, 제조사별로 화장품 폐 용기 속에 남아있는 화장품용액 잔류 량을 중심으로 실측조사하고, 여성들을 대상으로 화장품에 대한 사용행태를 설문조사하여 사용자는 경제적 가치를 고려한 올바른 사용 습관을 기르고 생산자 측에서는 폐 용기 속의 잔류화장품이 남지 않도록 하는 용기 개발에 힘써줌으로써 경제적 손실은 물론 낭비 없는 제품사용을 유도함으로서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경제적 가치를 높여보자는 것이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화장품 잔존량에 대한 실측만으로 연구를 마무리 하게 되었음은 각 제조사별로 사용하는 용기 가격에 대한 자료를 제시 받을 수 없었기 때문이었음을 밝혀둔다.|This dissertation examines an economical characteristic of cosmetic consumers. The dependences between the cosmetic consuming patterns and the containers are investigated and assessed. The cosmetic consuming pattern is analyzed from data taken from 578 questionnaires including 78 incompletes, which were completed in one month, September 2008. In addition, a totally of 640 discarded cosmetics from 5 sample groups were used. They were collected from Dec 2006 to Aug 2008 from various contributors were as the basis for analysis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smetic consumption and the dependency on the cosmetic containers.
First, the whole size and the distinguishing marks of the cosmetic market were presented from statistical reports. Then, various types of cosmetics and containers were defined. The containers were specifically sorted by their features, materials and types. Next, the questionnaire was given to 500 respondents, who have different backgrounds. It included 13 consumption characteristic questions, 44 consuming pattern questions, and 5 statistically analysis questions. The data from the questionnaire was classified depending on age, occupation income and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respondents and finally analyzed with a method of the dispersion analysis and Ducan’s multiple comparison analysis. 640 discarded cosmetics from 5 different sample groups, were accurately weighed with a digital scale. These weights are also sorted by feature, material, and the transparency of cosmetic containers. Finally the reason for the cosmetic consumption tendency dependent on the containers used was proposed.
According to a statistical report, a quarter of the entire cosmetic consumption is made by department stores. Another quarter is consumed by cosmetic muti-stores and supermarkets. The last portion is left for on-line markets, duty-free shops and so on. Specifically respondents in their twenties usually buy their cosmetics from on-line websites or off-priced supermarkets. while those in their thirties buy from specialized cosmetic multi-stores and the over forties group obtain cosmetics directly from door to door sales.
In the many cases, consumers buy cosmetics on advice of their friends. Moreover, consumers usually choose cosmetics after trying several samples because they like to be entirely satisfied with proper cosmetics in terms of the benefits provided conditions. Over half of the respondents want a cylindrical or an elliptical bottle as a skin, lotion container, which is made of plastic or glass. A plastic pump type bottle is preferred as an immersionlotion container and a glass pump-typed bottle is mostly selected as a functional cosmetic container. Finally, most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pump type containers rather than the others.
Furthermore, an economically efficient cosmetic container type can be proposed from the data of the discarded. The amount of the discarded cosmetics derives the rate between the amount of used and discarded product, which is called the remaining rate of the cosmetics. The results, yielded no correlation between the RRC and the material of the cosmetic containers. The RRC of glass containers is lower than that of plastic ones however the difference stands below 1%. The features of the cosmetic container determined increased RRC. The compact type bottles and the covered type bottles have the lowest RRC. In opposition, pump type and tube type containers scored a higher RRC. Commonly transparent containers shows a lower RRC. There was no dependency between the price and the RRC.
In conclusion, consumers choose cosmetics based on the economical efficiency. That is, cosmetic consumers, who consider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cosmetic consumption, want a new paradigm like a supplemental refill. Also, according to research, the cover and compact type transparent cosmetic containers help minimizing the RRC. The cover type or the compact type transparent cosmetic containers are suggested for economical benefit.
- Alternative Title
- The Study on Cosmetic Consumption Patterns and Economical Efficiency Based on the Containers.
- Alternative Author(s)
- kim bo hyun
- Affiliation
- 교육대학원 기술‧
가정교육학과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기술.가정교육
- Advisor
- 정옥임교수
- Awarded Date
- 2009-02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ⅶ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4
2). 연구의 제한점 7
II. 본론 8
1). 이론적 배경 8
A. 화장(Make-up)의 어원 9
B. 동서양의 화장역사 14
C. 세계화장품 시장규모 16
D. 화장품의 일반적 고찰 30
2). 연구 결과 및 분석 31
A. 소비자 화장품 사용 행태 32
가. 연구조사대상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 34
나. 연구조사대상자의 구매장소 37
다. 연구조사대상자의 구매경로 41
라. 연구조사대상자의 화장품용기 만족도 42
마. 연구조사대상자의 화장품용기 형태별 구분 51
Ⅲ. 결론 및 제언 52
1). 결론 54
2). 제언 56
[참고문헌] 59
[별첨1. 각회사브랜드이니셜] 61
[별첨2. 설문지] 67
[별첨3. 화장품 용기 및 형태분류] 84
[별첨4. 화장품 5개 샘플군 분류] 91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 Citation
- 김보현. (2008). 화장품사용행태 및 용기분류별 경제적가치 연구.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09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7942
-
Appears in Collections:
- Education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09-02-04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