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보조원 운용에 대한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의 인식비교-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Author(s)
- 이미숙
- Issued Date
- 2008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특수교육현장에 특수교육보조원으로 배치된 공익근무요원과 특수교사와의 특수교육보조원 운용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앞으로 확대 실시될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개선방안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문제는 공익근무요원의 자격 및 역할, 교육 및 배치, 활용 및 관리에 대해서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의 인식에 차이를 가지고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공익근무요원이 배치된 특수학교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의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에게 각각 108부와 86부씩 총 194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그 중 15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공익근무요원의 자격 및 역할에 있어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간의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공익근무요원의 학력으로 특수교사는 대학 졸업의 학력을 가진 자 중 아동교육관련・사회복지관련 전공자가 적절하다고 인식하였고 공익근무요원은 고등학교를 졸업의 학력을 가진 자 중 아동교육관련・사회복지관련 전공자가 적절한 학력이라고 인식하였다. 특수교육보조원의 명칭의 적절성에 대해서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 모두 명칭이 적절하다고 인식하였고 그 이유로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의 역할의 차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라고 응답했다. 공익근무요원의 자질로는 풍부한 이해심과 봉사정신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으로 인식하였다. 공익근무요원의 중요 역할로는 문제행동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적응기술을 관리하고 통합교육현장에서 수업보조를 하는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공익근무요원 역할과 관련된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의 갈등 사항에 대해서 공익근무요원은 갈등 없음에 많이 응답한 반면, 특수교사는 이동지원 및 안전생활을 지원하고 문제 행동 관리 지원, 교수-학습활동 지원하는데 갈등을 경험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갈등과 관련하여 상담하는 대상으로 특수교사는 타 학급특수교사라고 하였으며 공익근무요원은 담당 특수교사라고 응답하였다. 공익근무요원에 대한 역할수행 지시방법은 특수교사는 직접 보조원의 일일 업무를 매일 지시하고 공익근무요원은 특수교사가 만든 업무수행 분석표에 의해 수행한다고 하였다. 둘째, 공익근무원의 교육 및 배치에 대한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간의 인식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공익근무요원의 양성 교육방법으로 시・도 교육청이 주관하는 연수를 이수하게 하고 공익근무요원의 연수 내용으로는 장애유형별 특징 이해 문제행동의 예방 및 중재 전략, 적응기술 관리를 가장 중요한 연수내용으로 인식하였다. 공익근무요원의 임기는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 모두 학년별(1년)로 고용하며 직무연수의 기초과정으로 60시간이 적당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연수는 특수교육현장에서 어느 정도 도움이 되며 장애정도가 심한 아동의 교외활동과 수업보조 시, 자리 이탈이나 과잉행동이 심한 장애아동의 안전을 돕는 일이 공익근무요원 배치・운영의 장점으로 인식 하였다. 셋째, 공익근무요원의 활용 및 관리에 대한 인식비교 결과 두 집단 모두 교원과 동일하게 일반 근무시간대에 근무하며 업무관리는 교사가 보조원의 일일 업무를 직접 지시하여 보조원이 기록하며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인사관리에 있어서 두 집단 모두 교육청에서 선발 및 배치,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하였다. 공익근무요원을 배치하여 효과적인 영역에 현장학습 도움과 신변처리, 문제행동 관리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공익근무요원의 책임한계에 대해서 특수교사는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이 절반씩 책임져야 한다고 응답한 반면, 공익근무요원은 학생을 맡는 동안은 공익근무요원이 책임져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공익근무요원의 바림직한 평가자에 대해서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 모두 특수교사라고 응답하였다. 공익근무요원의 배치장소로 두 집단 모두 특수학급 교실로 적절하다고 하였다. 공익근무요원의 근무자세로 특수교사는 학교생활의 예절을 지키고 기본적인 근무태도 및 자세를 중요하게 인식한 반면, 공익근무요원은 장애학생 개개인의 욕구나 가치 등을 인정하고 장애학생 스스로 독립적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요한 근무자세로 인식하였다. 공익근무요원과의 지원영역별 활동계획은 주 ‘1회’로 특수교사가 지원영역별 활동을 계획하여 업무를 지시함으로써 특수교사가 만든 업무수행 분석표에 의해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제언은 첫째, 광주광역시 소재 특수학교(급)의 교사와 공익근무요원만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으로 다른 지역으로 확대하거나 일반화하여 해석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둘째, 2006년부터 특수교육보조원으로 공익근무요원들이 배치되고 있으나 공익근무요원에 대한 선행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특수교육보조원으로 배치된 공익근무요원들에 대한 역할 수행 실태, 활용 실태, 직무만족도 등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셋째, 장애학생들의 교육적 요구와 특수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수교육 현장에 배치된 공익근무요원들의 사전연수와 직무연수가 장애학생들의 교육적 요구를 달성하기에 너무나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연수시간의 확대와 장애유형별 특성 이해, 문제행동 관리 및 적응 행동(신변처리, 착 탈의, 식사지도)관리에 관한 내용으로 연수의 내실화가 필요함을 인식해야 한다.|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assistant system between public interest service personnel, introduced as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present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assistant system. The specific thing to be considered is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qualifications, roles, education, arrangement, usage and management of public interest service personnel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ublic interest service personnel.
For the study, we target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ublic interest service personnel in special elementary, middle secondary and high schools in Gwangju where service personnel system is used, distributed a total 194 copies of the questionnaire (108 copies and 86 copies, respectively) but collected only 153.
As results of the study, we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s in the qualifications and roles of the service personnel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service personnel themselv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swered that the personnel should have educational background of child care and social welfare at college while the personnel answered that they should have educational background of high school majoring in child care and social welfare. In respect to appropriateness of the title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 both the subjects perceived that it is appropriate to clarify the different role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personnel. As a qualification of the personnel, they answered that they should be abundant understanding and of a service mind. For the main roles of the personnel, they answered that they should manage adjusting techniques and provide assistance during class based on basic understanding of problematic behaviors. For the conflicts between the subjects relating to roles of the personnel, most of the service personnel answered that there was no conflict whil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swered that they had much conflict with them in moving-out, safety, support of problematic behavior management, an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n counselling about the conflict,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ek for help from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other special schools while the service personnel answered that they ask help from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For how to direct the roles of the service personnel, special education teachers give instructions every day to the assistants while the service personnel follows the instructions present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training and arrangement for the personnel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personnel. They answered that the personnel should complete training organized by city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the training should deal with understanding of features of each disability,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problematic behaviors, and management of adjusting techniques. Both of them perceived that the term of the personnel should be one year and 60 hours of introductory training should be given. They perceived that the job training is somewhat helpful in special education and helping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y in excessive behaviors or being out of their seats during outdoor activities and teaching assistance is a main advantage of the personnel. Third, when perceptions on use and management of the assistant system were compared, both of the groups perceived that they should assist during regular working time, teachers should provide instructions of to assistance and assistants should record them. Both of the groups answered that education offices should select and arrange them but schools should manage them autonomously. They answered that the personnel system is helpful in field trips, personal management and management of problematic behaviors. In respect to responsibility, special teachers answered that teachers and assistants should be responsible together while the personnel answered that the assistants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students. For desirable evaluators of the assistants, both of the groups answered that they are special teachers. And both of the groups answered that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are appropriate places to arrange the personnel. Special teachers considered manners and basic working attitude as important while the personnel considered understanding of individual needs and valu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helping them to function independently as important. For the activity plan, special teachers made plans once a week and gave an instruction, and the assistants did their task according to task tables presented by the teachers.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as this study interviewed on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personnel only in special schools in Gwangju, it is hard to generalize the results for other regions. Second, as the public interest service personnel has been arranged as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since 2006, there has been was little research on them. Therefore, we need further studies on their roles, use and job satisfaction. Third, little prior training and job training have been given to the assistants arranged to meet the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and enhance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So, quality training to enhance understanding of features of each disability, management of problematic behaviors and adjusting behaviors (personal management, putting on and off of ones' clothes, and table manners) should be expanded.
- Alternative Title
- A Comparison of Perception on the Use of Paraprofassional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ISP in Gwangju
- Alternative Author(s)
- Lee, Mi Suk
- Affiliation
- 교육대학원 특수교육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특수교육
- Advisor
- 이승희
- Awarded Date
- 2009-02
- Table Of Contents
- 목 차
표목차 ⅳ
그림목차 ⅵ
ABSTRACT ⅶ
Ⅱ.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용어의 정의 4
4.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7
1. 특수교육보조원 제도의 도입 배경 및 법적 근거 7
1) 특수교육보조원 제도의 도입 배경 7
2) 특수교육보조원 제도의 법적 근거 8
2. 특수교육보조원의 유형 10
1) 유급특수교육보조원 11
2) 장애통합보조원 23
3) 공익근무요원 26
3. 공익근무요원 제도 26
1) 공익근무요원의 자격 28
2) 공익근무요원의 역할 30
3) 공익근무요원의 교육 32
4) 공익근무요원의 배치 34
5) 공익근무요원의 활용 36
6) 공익근무요원의 관리 38
4. 관련 선행연구 고찰 39
Ⅲ. 연구방법 47
1. 연구설계 47
2. 연구대상 47
3. 연구도구 48
4. 연구절차 50
5. 자료분석 51
Ⅳ. 연구결과 52
1. 공익근무요원의 자격 및 역할 52
1) 공익근무요원의 학력 52
2) 공익근무요원의 역할에 적절한 사람 53
3) 공익근무요원 명칭의 적절성 53
4) 공익근무요원 명칭이 적절한 이유 54
5) 공익근무요원의 자질 54
6) 장애아동 지원하기 위한 공익근무요원의 중요 역할 55
7) 공익근무요원 역할과 관련된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의 갈등 56
8) 공익근무요원 역할과 관련된 상담 대상 57
9) 공익근무요원에 대한 역할수행 지시방법 58
2. 공익근무요원의 교육 및 배치 59
1) 공익근무요원의 양성 교육방법 59
2) 공익근무요원의 연수내용 60
3) 공익근무요원의 임기 61
4) 공익근무요원 직무연수 기초과정 62
5) 공익근무요원의 직무연수 심화과정 62
6) 공익근무요원의 직무연수 과정의 만족도 63
7) 공익근무요원의 배치⋅운영의 장점 63
3. 공익근무요원의 활용 및 관리 65
1) 공익근무요원의 근무시간 65
2) 공익근무요원의 업무관리 방법 65
3) 공익근무요원의 인사관리 66
4) 공익근무요원 배치에 효과적인 영역 67
5) 공익근무요원의 책임한계 67
6) 공익근무요원의 평가자 68
7) 공익근무요원의 배치장소 69
8) 공익근무요원의 근무자세 69
7) 공익근무요원과 지원영역별 활동계획 71
4. 공익근무요원 운용에 대한 기타의견 71
1) 특수교사 의견 71
2) 공익근무요원의 의견 72
Ⅴ. 논의 74
1. 공익근무요원의 자격 및 역할 74
2. 공익근무요원의 교육 및 배치 77
3. 공익근무요원의 활용 및 관리 79
Ⅵ. 결론 83
1. 결론 83
2. 제언 85
참고문헌 86
부 록 89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 Citation
- 이미숙. (2008). 특수교육보조원 운용에 대한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의 인식비교-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08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7873
-
Appears in Collections:
- Education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09-02-04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