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여성영웅소설의 갈등양상 연구 : '옥주호연', '홍계월전', '방한림전'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부가영
Issued Date
2008
Abstract
조선 후기에는 가부장적 억압의 질서가 심했기 때문에 여성에게 암울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시기에 성행했던 여성영웅소설에 등장하는 여주인공들은 여도(女道)를 수행하지 않고 영웅적인 활동을 감행한다. 문학이 사회 현실을 반영한다고 볼 때 작품 속의 여주인공은 그 시대가 추구하는 이상적인 인물을 대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여성영웅소설을 통해 조선후기에 정당화된 성역할의 모순과 주체적인 삶을 통해 자기실현을 이루고 싶어 하는 여성의 의지를 읽을 수 있다.
초반에 등장하는 여성영웅소설에서는 여주인공은 자기실현을 위해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기보다는 일시적인 위기 극복이나 남편을 위해서 능력을 발휘한다. 이러한 소극적인 여성영웅의 모습은 후대로 오면서 점차 적극적인 형태로 나타난다. 다시 말해 가부장제의 모순을 비판하는 여주인공의 모습을 통해 가부장제가 여성에게 부과한 사회적 역할에 대한 회의와 가부장제 사회에서 수직적인 관계에서 벗어나는 과정을 보여준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옥주호연󰡕, 󰡔홍계월전󰡕, 󰡔방한림전󰡕 등이 있다. 세 작품의 여주인공은 다른 여성영웅 소설의 주인공과는 달리 기존의 질서와의 정면대립을 통해 전통적인 여인상에서 탈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인물의 신화적인 영웅성보다는 인간관계로 인한 갈등에 비중을 두면서 현실적인 문제를 보여주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 세 작품에서 갈등이 어떤 양상으로 드러나고 극복되는지 고찰해 보았다.
우선 세 작품이 초·중반의 여성영웅소설 작품들과는 어떻게 다른 양상을 띠며 작가의 의도와 지향하는 바를 드러내는지 살펴보기 위해 먼저, 이들 작품만의 독특한 서사구조를 파악하였다. 그리하여 단락별로 ‘주인공의 탄생- 남복의 개착- 부모와의 이별- 수학의 과정- 사회로의 입문- 전쟁의 출전과 공로- 신분의 탄로- 남녀의 결연- 남녀의 대립- 가정으로의 회귀’로 나누어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후반에 나타난 여성영웅소설과 영웅소설,초·중반에 나타난 여성영웅소설과의 차이점을 알 수 있었다. 우선 영웅소설과의 차이점은 주인공의 탄생이 영웅적인 탄생이라는 점은 영웅소설과 다르지 않았지만 주인공의 성별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남주인공은 여주인공에 비해서 기존 질서를 회복하고 봉건적인 충의 관념에 사로잡힌 보수적인 성격이 강한 인물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초·중반의 여성영웅소설과의 차이점은 ‘남복의 개착과 가정으로의 회귀’부분에서 두드러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중반의 여성영웅소설의 여주인공의 남복 개착이 남성의 보조를 위한 일시적인 변화였으며 가정으로 회귀를 할 때도 봉건적 질서를 부정하거나 비판하지 않았다. 반면에 세 작품의 여주인공들은 자신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남복 개착을 했다. 즉 세 작품의 여주인공들은 남복 개착을 통해 자신의 새로운 모습을 찾는 계기를 마련했다. 또한 가정으로 회귀한 후에도 남성과 대등한 위치에서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에서 초·중반의 작품들과 차이가 났다.
이와 같은 작품의 서사구조 분석을 바탕으로 세 작품의 갈등양상을 알아보았다. 세 작품의 주인공은 다양한 인간관계로 인해 갈등을 경험한다. 이들이 겪는 갈등의 본래적인 원인은 주어진 상황의 모순 속에서 파급되는 것들로 작품 속에서 인물과의 갈등을 통해서 표출된다. 다시 말해서 갈등은 자기실현의지가 강한 주인공이 강압적인 유교적 이데올로기 속에서 되찾아야할 여성의 존엄성과 남녀평등의 문제로 고민하는 주인공에 의해서 표출된다. 이때 강압적인 유교적 이데올로기는 전통적 가정 윤리와 남성중심 사회 구조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었다. 따라서 세 작품에서 살펴볼 수 있는 갈등의 양상을 사회와 개인의 갈등 자아의 갈등으로 나누어서 살펴 볼 때 전자에는 전통적 가정 윤리에 대한 갈등, 남성 중심 사회 구조에 대한 갈등이 해당된다. 후자에는 유교 중심 사회에서 정체성 갈등이 해당된다. 각각의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서 드러나는 갈등양상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서 고찰해 봄으로써 사회의 모순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의 의지와 작가가 하고 전달하고 싶어 하는 의도를 살펴볼 수 있었다.
주인공들의 자기실현의지는 갈등을 해결하는 태도에서 확실하게 드러났다. 그런데 세 작품에서 나타나고 있는 갈등양상이 비슷했던 것과는 달리 갈등을 해결하는 방식에는 확연한 차이가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옥주호연󰡕의 여주인공은 외적인격에 치중한 자기실현을 함으로써 갈등을 해결했고, 󰡔홍계월전󰡕의 여주인공은 외적인격과 내적인격의 조화를 통한 자기실현을 함으로써 갈등을 해결했다. 마지막으로 󰡔방한림전󰡕의 여주인공은 내적인격에 집착한 자기실현을 함으로써 갈등을 해결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여성영웅소설의 후반에 등장한 󰡔옥주호연󰡕, 󰡔홍계월전󰡕, 󰡔방한림전󰡕에는 모순된 기존 질서를 파괴하고자 하는 새로운 여성을 보임으로써 고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의 유형성을 다양하게 변모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During the later part of the Choseon dynasty, there was a strong patriarchal system. Therefore, it was a dark period for women. However, during this time the heroines in heroine novels that were popular at that time did heroic deeds instead of following traditional female duties. If it is considered that literature reflects society, the heroines in these pieces of work act as the ideal figure of that time. Therefore, through heroine novels, contradiction in the justification of gender roles during the later part of the Choseon dynasty and the will of women who wanted to achieve self-fulfillment through independent lives can be seen.
In the early heroine novels, the heroine showed her ability to overcome temporary crises or to aid her husband rather than showing her ability for self-fulfillment. These passive heroines gradually turned more active during later times. In other words, through the heroine's criticism on the patriarchal system, skepticism on the social roles put on women by the patriarchal system and the process of being freed from the vertical relationship of the patriarchal system can be seen. The three main stories that show this are "Okjuhoyeon", "Honggyewoljeon", and "Banghanrimjeon". Unlike other heroines in heroine novels, the heroines in these three novels break away from traditional female roles through head-on confrontation against the existing system. In addition, they show realistic problems by focusing on conflicts coming from relationships rather than showing mythical heroism. Therefore, this paper is focused on how the aspects of conflict are shown and overcome in these three heroine novels.
First of all, in order to show the different aspects, the author's intentions, and the author's aims of these three heroine novels which are different from heroine novels of the early and middle period, the unique narration structure of these three novels are presented. Then the paragraphs have been divided as 'the birth of the main character - disguising oneself as a man - parting with parents - process of study - entrance to society - participating in war and earning credits - exposure of identity -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 between male and female - conflict between male and female - returning to her family' to show their meaning. As a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later period heroine novels and hero novels and the difference between later period heroine novels and early and middle period heroine novels can be seen. Firs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later period heroine novels and hero novels. The heroic birth of the main character is similar between the two. However,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gender. Also, compared to the female character, the male character has a strong conservative personality that is focused on feudal loyalty and restoring existing systems. Next, there is a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later period heroine novels and early and middle period heroine novels in the sections of disguising oneself as a man and returning to her family. In early and middle period heroine novels, the heroine's disguise as a man was a temporary change to aid a man and when returning to her family, she did not deny or criticize the feudal system. However, in these three novels, the heroines disguise themselves as men to overcome their limits. In other words, by disguising themselves as men, the heroines in these three novels were able to find a new self. Also, even after they return to their family, they hold an equal position to men and try hard to achieve recognition for their value. This is different from heroine novels of early and middle periods.
Through this analysis on narration structure the aspect of conflict in the three novels can be seen. The main characters of the three novels experience conflict through various relationships. The basic reason for the conflict they experience comes from the contraction of the situation. This is shown as conflict between people. In other words, conflict is expressed by a heroine with a strong wish for self-fulfillment who thinks of regaining women's dignity and equality between man and woman in an oppressive Confucian society. The oppressive Confucian ideology can be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traditional patriarchal morals and a male focused social structure. Therefore, in the three novels, the aspects of conflict can be divided to conflict between a person and society and conflict in oneself. The former is a conflict on traditional family ethics and a conflict on a male focused social structure. The latter is a conflict of self-identity in a Confucian society. By dividing the aspects of conflict that can be seen in each of the novels into three and studying them, the contradiction of a society, the will of the characters living in the society, and the intention the author wishes to express can be seen.
The main characters' wish for self-fulfillment can easily be seen through the attitude she has in settling the conflict. However, though the aspects of conflict were similar in the three novels, there was a certain difference in the method of settling the conflict. The heroine in "Okjuhoyeon" settled conflict through self-fulfillment that put value on external character and the heroine in "Honggyewoljeon" settled conflict through self-fulfillment through harmony between external character and internal character. Lastly, the heroine in "Banghanrimjeon" settled conflict through self-fulfillment obsessed on internal character.
Through "Okjuhoyeon", "Honggyewoljeon", and "Banghanrimjeon", heroine novels from the later period, a new type of female that wished to destroy the existing contradictive structure was presented. This shows that there was a diversification of types of female characters from ancient novels.
Alternative Title
- A Study of the Aspects of Conflict in Heroine Novels: Focused on "Okjuhoyeon", "Honggyewoljeon", "Banghanrimjeon"
Alternative Author(s)
Bu, Ga-Yeong
Affiliation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Advisor
김수중
Awarded Date
2009-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1. 서론 1
1.1. 연구목적 및 방법 1
1.2. 연구사 검토 4

2. 서사구조 분석 7
2.1. 순차적 전개양상 8
2.2. 서사단락의 의미 10

3. 갈등의 전개 18
3.1. 전통적 가정 윤리에 대한 갈등 20
3.2. 남성중심 사회 구조에 대한 갈등 26
3.3. 유교 중심 사회에서 정체성 갈등 37

4. 극복양상 41
4.1. 외적인격에 치중한 자기실현 41
4.2. 외적인격과 내적인격의 조화를 통한 자기실현 44
4.3. 내적인격에 집착한 자기실현 45

5. 결론 49


참 고 문 헌 51

국문초록 54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부가영. (2008). 여성영웅소설의 갈등양상 연구 : “옥주호연”, “홍계월전”, ’방한림전’을 중심으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05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7678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9-02-0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