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미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평가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송이슬
Issued Date
2008
Abstract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에서 평가가 학생들에게 적절하게 반영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여, 미술교과의 평가방법 개선을 통하여 미술교육에 긍정적 영항을 미치는 바를 연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하기에 앞서 이론적 배경 분석을 위해 관련 참고문헌들과 선행 연구논문들을 살펴보고, 미술과 평가의 중요성, 개념, 방법, 영역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미술교과에서 평가가 갖는 의미는 학생의 성취도를 점검하고 목적한 바를 달성했는지의 여부를 파악함으로써 그 결과를 계속적인 수정과 보완을 통해 미술교육이 더 나은 교육과정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미술교육은 학생이 중심이 되어야 할 미술수업이 교사위주의 수업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학생의 창의성, 성실성 보다는 표현능력 위주의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구나 입시위주의 교육 풍토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미술수업은 더더욱 어려운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본 논문은 중학교 학생들의 미술교과에 대한 선호도와 미술교과 평가 방법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평가 부분에 대해 현재 광주시내의 중학교에서는 교사들은 어떤 기준을 가지고 평가를 진행하는지 설문 조사하였다.
조사를 통하여 학생들이 바라는 미술교과의 평가방식과 교사들이 시행하고 있는 평가 방식에는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들이 평가를 시행하는 부문에 있어서 일부 학생들에게만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인식하고, 몇 가지 평가 방식을 수정하고 보완한다면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미술교육이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평가방법을 개선하면 학생들에게 미술교과에 대한 흥미와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참고로 다른 나라에서는 미술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우리나라가 본받을 부분은 없는지 검토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미술교육은 실기위주 수업, 표현중심 평가에 비중을 두던 방식에서 벗어나 미적 체험 영역이나 특히 감상영역으로 수업의 영역을 넓혀 나가야 함을 알 수 있다. 표현기능이 미숙하여 평가결과에 불만족스러웠던 학생이나, 준비물을 준비하는 번거로움 등에 미술교과를 싫어했던 학생도 감상 수업을 통해 미술시간에 대한 참여도를 높임으로써 미술시간에 대한 기피현상이 상당부분 감소될 것으로 사료된다.
단지 수업의 비중을 감상수업의 확대로만 그칠 것이 아니라 감상수업의 비중이 커진 만큼 평가 영역으로서의 감상 부문의 확대도 당연히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미술 감상분야의 올바르고 공정한 평가를 위해서는 교사 자신은 많은 작품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정책적으로도 연수 기회를 갖게 하는 등 노력이 필요하다.
한국 미술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본 연구와 더불어 외국 미술교육의 동향에 대한 관심과 한국의 실정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미술교육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수업자료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나아가 미술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피교육자인 학생들의 수준을 적절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평가를 실시하는 교사들도 학생들에 대한 교육열정을 품고 끝없는 자기계발을 통한 다방면에 걸친 평가능력 신장이 필요하다.|This study aims to point out that the process of assessment is not properly reflected in the curriculum and to identify whether assessment method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art education as assessment is very important in the curriculum.
Before the study, we examined relevant references and previous studies for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investigated the importance of assessment, its concepts and methods, and other areas in art.
Assessment in art education is designed to achieve more effective art education through continuous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by checking students? achievements and identifying whether the educational goals are achieved properly.
These days, our art education is teacher-oriented, only focusing on expressive ability rather than creativity and sincerity. Further, due to examination?oriented education, our art education has had more difficulties
This study interviewed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their preference of art and assessment methods of art education using a questionnaire. In middle schools in Gwangju, I interviewed art teachers of each school about what standards are used in art assessment where the students are sensitive.
According to the analysis, we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desire and teachers? assessment methods of art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assessment by teacher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art of the students and art education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many students if some assessment methods are modified and supplemented. When assessment methods are improved by questionnaire analysis, it will be able to induce a participation and the interest which are active from the students about the art class. We also looked at how art education is conducted in foreign countries and whether there are lessons to be learned from them.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that our art education should expand aesthetic experiences or appreciation beyond learning of expression-oriented practical skills. Students who were unsatisfied with the results of assessment as they showed poor representational capability or those who avoided art class because of the annoyance of too much preparation can participate in art class actively through expanded opportunities to appreciate works of art, which will contribute to less avoidance of art class.
Beyond just the expansion of art class through appreciation, appreciation classes should have proper assessment. And for proper and fair assessment of art appreciation, teachers should have more opportunities to access more works of art themselves and should be academically supported through more teacher training.
For development of Korean art education,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rends of foreign art education and develop our own programs which fit our conditions. We should encourage more research on art education and teaching materials. Further, to achieve the goals of art education, we should develop effective assessment tools to judge students? levels properly and exactly, and teachers should enhance their ability to asses with enthusiasm through continuous self-development.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Assessment Methods for Activation of Art Education : focus o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Alternative Author(s)
Song, Yi Seul
Affiliation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Advisor
박상호
Awarded Date
2009-02
Table Of Contents
표목차 ⅲ
도표목차 ⅴ
ABSTRACT ⅷ

Ⅰ. 서 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Ⅱ. 미술과 교육에서 평가의 중요성 3
A. 미술과 평가의 개념 3
B. 미술과 평가의 필요성 4
C. 미술과 평가의 관점 5
D. 미술과 평가의 방법 8
E. 미술과 평가의 영역 12

Ⅲ. 현행 중등학교 평가실태 14
A. 현행 중등학교 분석대상 선정 및 비교분석 14
B. 현행 중등학교 미술과 평가방법 분석결과 61

Ⅳ. 외국의 미술교육 현황 64
A. 미국의 중등 미술교육 현황 64
B. 영국의 중등 미술교육 현황 65
C. 일본의 중등 미술교육 현황 66
D. 호주의 중등 미술교육 현황 68
E. 외국과 우리나라 미술교육 평가 비교 71

Ⅴ. 미술교육 평가의 개선방안 73
A. 평가 개선방안의 제시 73
B. 효과적인 미술교육을 위한 교육의 입장 75

Ⅵ. 결 론 78

[부록] 80

[참고문헌] 94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송이슬. (2008). 미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평가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03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7568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9-02-0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