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암호 집수구역 내 자연식생에 의한 오염물질 생산량과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 Author(s)
- 임성희
- Issued Date
- 2007
- Abstract
- ABSTRACT
Study of Decrease Plan and Pollutant Yield
by Vegetation in Juam Reservoir
Lim, Sung-Hee
Advisor: Prof. Lee, Yong-Bo
Major in Biolog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 gap of water level on the lowest state and regularly full state of Juam Lake is EL. 85m and EL. 108.5m respectively. But the lowest level had never reached below EL. 89.2m. Therefore, it will be reasonable to say that flooded area will be around EL. 90m to EL. 110m.
Lake Juam has a vast drainage area and the difference of water level is large between dry season and rainy season because of the summertime heavy rain. These geographical and weather condition of the Lake leads to a very large coast with aquatic and marsh plants growing in there. According to examination on the growing area of the plant on the lakeside of 4,294,572㎡ from Mar, 2006 to Aug, 2007 Persicaria thunbergii, Psendoraphis ukishiba,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elina communis, Carex bostrychostigma, Glycine soja, Erigeron canadensis, Bidens frondosa, Digitaria sanguinalis, Persicaria hydropiper were dominant species. The results of field study of gardening and habitation colony of the flooded area of Juam Lake show there are total of 456 taxa of plants ; 68 families, 251 genera, 401 species, 52 varieties, and 3 forma. When the lakeside plants within the boundary of reservoir were submerged under water more than 30 days, the pollution load, when compared to that from drainage area, T-N is 2.42% and T-P is 4.05%. Considering the elimination of gardening in real situation, the pollution load that can be cleaned is T-N 39,126kg and T-P 6,642kg. The amount equals to T-N 4.80% and T-P 8.77%. considering the inflow load to Juam Lake. There has never been a case of eliminating lakeside plants before to improve the quality of water. However, to eliminate the living plants in the flooded area, various mechanical instruments can be used to manage the plants. The eliminated gardening can be used as a staple to herbivore and as a manure.
- Alternative Author(s)
- lim sung hee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생물교육
- Awarded Date
- 2008-02
- Table Of Contents
- 목 차
List of tables ・・・・・・・・・・・・・・・・・・・・・・・・・・・・・・・・・・・・・・・・・・・・・・・・・・ ⅱ
List of figures ・・・・・・・・・・・・・・・・・・・・・・・・・・・・・・・・・・・・・・・・・・・・・・・・・・ ⅳ
ABSTRACT ・・・・・・・・・・・・・・・・・・・・・・・・・・・・・・・・・・・・・・・・・・・・・・・・・・・・ ⅴ
Ⅰ. 서 론 ・・・・・・・・・・・・・・・・・・・・・・・・・・・・・・・・・・・・・・・・・・・・・・・・・・・・・・・・ 1
Ⅱ. 재료 및 방법 ・・・・・・・・・・・・・・・・・・・・・・・・・・・・・・・・・・・・・・・・・・・・・・・・・ 6
1. 조사대상지의 개요 ・・・・・・・・・・・・・・・・・・・・・・・・・・・・・・・・・・・・・・・・・・ 6
2. 연구방법 ・・・・・・・・・・・・・・・・・・・・・・・・・・・・・・・・・・・・・・・・・・・・・・・・・・・ 9
Ⅲ. 결 과 ・・・・・・・・・・・・・・・・・・・・・・・・・・・・・・・・・・・・・・・・・・・・・・・・・・・・・・ 13
1. 수변식생 ・・・・・・・・・・・・・・・・・・・・・・・・・・・・・・・・・・・・・・・・・・・・・・・・・・ 13
2. 식생현황 ・・・・・・・・・・・・・・・・・・・・・・・・・・・・・・・・・・・・・・・・・・・・・・・・・・ 14
3. 조사지역 군락의 주요종 특징분석 ・・・・・・・・・・・・・・・・・・・・・・・・・・・ 26
4. 식생의 분포분석 ・・・・・・・・・・・・・・・・・・・・・・・・・・・・・・・・・・・・・・・・・・・ 28
5. 식생의 오염부하량 ・・・・・・・・・・・・・・・・・・・・・・・・・・・・・・・・・・・・・・・・・ 36
Ⅳ. 고 찰 ・・・・・・・・・・・・・・・・・・・・・・・・・・・・・・・・・・・・・・・・・・・・・・・・・・・・・・・ 46
1. 식생 제거 방법 ・・・・・・・・・・・・・・・・・・・・・・・・・・・・・・・・・・・・・・・・・・・・ 46
2.제거한 식생을 사료로 만드는 방법 ・・・・・・・・・・・・・・・・・・・・・・・・・・・ 48
3.제거한 식생의 퇴비화 ・・・・・・・・・・・・・・・・・・・・・・・・・・・・・・・・・・・・・・・ 49
Ⅴ. 요 약 ・・・・・・・・・・・・・・・・・・・・・・・・・・・・・・・・・・・・・・・・・・・・・・・・・・・・・・・ 50
Ⅵ. 참고문헌 ・・・・・・・・・・・・・・・・・・・・・・・・・・・・・・・・・・・・・・・・・・・・・・・・・・・・ 51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 Citation
- 임성희. (2007). 주암호 집수구역 내 자연식생에 의한 오염물질 생산량과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90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6290
-
Appears in Collections:
- Education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08-02-19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