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그림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임효진
Issued Date
2007
Abstract
국문초록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그림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그림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그림표현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
1-1. 그림표현이 표상수준에 미치는 영향
1-2. 그림표현이 예술성수준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대상은 목포시에 소재한 공립유치원 중에서 무선으로 표집한 2개반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만 5세 취학전 유아들로 한 반의 인원은 24명씩이며 한 학급은 실험집단, 다른 학급은 비교집단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변인의 오차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구자가 직접 두 집단 모두에게 실험처치를 하였다. 각 집단 인원은 남․ 여 구분하지 않고 전체 인원수만 동일하게 구성하였다.
실험기간은 2007년 3월 10일부터 7월 20일까지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사전검사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들의 그림표현 능력에 대한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2007년 3월 10일과 12일 각 1회씩 2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검사방법으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 모두에게 같은 주제(가족, 기마병과 함께)을 주어 그림을 그리게 하였다. 주어진 재료는 유아에게 익숙한 8절 도화지와 크레파스가 사용되었다. 또한 검사자 변인에 차이를 없애기 위해 두 집단 모두 본 연구자가 직접 참여하여 그리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에서 나타난 결과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 유아의 표상수준에 관한 기본형태, 색, 공간구도의 세가지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유아의 예술성수준은 표현력, 충만감, 심미적 감수성의 세 가지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처치 방법은 주제별로 명화 1장씩을 선정하여 매주 감상자료로 사용하였다. 감상방법은 우아들과 매회 명화 1장을 감상하고 난 후 느낀점을 학습지에 써 보도록 하였으며 그 다음에는 명화를 따라 그리도록 하였다. 활동시간은 매주 40분이 소요되었다.
사후검사는 실험처치가 끝나고 5일 후인 7월 15일과 20일 각 1회씩 2회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들을 대상으로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상수준의 세가지 요인 모두 집단간 유의한 차가 나타났으며, 예술성수준의 세 가지 요인 모두에서도 집단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집단이 유아의 그림표현 중 예술성 수준에서 표현력, 충만감, 심미적 감수성의 점수는 모두 비교집단 유아의 그림표현 점수보다 의미있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그림표현능력은 유아들이 완성한 그림을 수집하여 평가 요인별로 채점하여 평정하였으며, 명화감상활동이 그림표현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기 위해 평가에 사용된도구는 프로젝트 스펙트럼(Krechevsky, 1994)의 시각예술 영역에서 사용한 척도(Chen & Feinburg, 1990)로 총 3가지 범주(표상수준, 탐색수준, 예술성수준)중 본 연구 평가에 적합한 2가지 범주인 표상수준과 예술성수준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표현력의 ‘독창성’은 실험집단 유아들의 해결방법이 훨씬 더 다양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비교집단 유아들의 그림은 한정된 선이나 한정된 색에 집착하는 유아들이 많았다. 표현내용 또한 윈래 제시해준 ‘명화’의 구도공간에서 많이 벗어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명화감상후 활동은 대체적으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처음에는 다소 수동적이거나 교사의 자극에만 국한해서 반응하다가 그런 활동이 반복되고 익숙해지자 교사의 개입이 없이도 스스로 문제해결이 가능해졌다는 점이다.
셋째, 무엇보다도 의미있었던 점은 활동과정을 통해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즐거움’에 익숙해졌다는 점이다.
넷째, 그러나 아쉬운 점은, 실험집단, 비교집단 각각 24명이라는 비교적 대집단을 목표로 ‘명화감상활동’을 교사 혼자서 진행한다는 점은 다소 무리가 있었다는 것이다. ‘명화감상활동’을 통한 ‘그림표현력’의 긍정적 효과를 얻어내는데는 교사 혼자만의 지도로서는 분명히 한계가 있었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명화감상활동’은 유아의 ‘그림표현능력’에 긍정적이고 의미있는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ABSTRACT

The Effects of the Artist Paintings Appreciation on the Drawing Ability of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ppreciating artist paintings on the drawing ability of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I posed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Can the artist paintings appreciation affect the drawing ability of children?
1-1. Can the drawing expression affect the representation level of children?
1-2. Can the drawing expression affect the art level of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o groups of children randomly sampled from of a public kindergarten in Mokpo. A group consisted of 24 children of age 5 who were not elementary school students yet. One of the two groups w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was the comparative group. I directly conducted experiments myself to minimize the errors from variables in the study. Each group was composed of the same number of children without distinguishing their sex.
The period of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the 10th of March, 2007 to the 20th of July, 2007, and the pretest, experiment, and posttest were operated in sequence.
The pre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homogeneity of the drawing ability of each group, on the 10th and the 12th of March, 2007 one time each day, twice in total. Both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were given the same subject for drawing such as family, or being with a cavalryman. The materials used were A3 size drawing paper and crayons given each children. I myself carried on the drawing activities with the two groups to remove the rater difference that might have existed if two other researchers had conducted them.
As a result of the prete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three factors of the representation level, namely the basic form, color, and spatial composition. As for the artistic level of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ressive power, sense of fullness, and aesthetic sensitivity.
One designated masterpiece was used as the appreciating material for the experiment each week. The subjects were asked to write down what they felt after they looked at the painting, and then to replicate it. Each activity took 40 minutes to complete.
The posttest was carried out the same way as the pretest, on the 15th which was five days after the experiment, and on the 20th of July, 2007, once on a day and twice in total.
In consequenc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ree factors of the representation level as there was of the artistic level.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higher on the expressive power, sense of fullness, and aesthetic sensitivity in the artistic level category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e drawing ability was evaluated through rating the collected complete drawings of children. The scale I used to examine how artist appreciation affected the drawing ability was the one(Chen & Feinburg, 1990) used in the visual arts area in the Project Spectrum(Krechevsky, 1994), composed of three categories, i.e. representation level, exploration level, and artistic paintings evel, among which two of them, the representation level and artistic level, were taken because they were more suitable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originality, the responses given by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ore various in contrast to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whose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stick to limited use of lines and colors, and their contents of expression were not strayed from the composition of primarily shown 'masterpieces'.
Second, although the experimental group responded in a reserved manner at first to the teacher's stimuli, they became more independent in dealing with problems as the activities went on.
Third, most significantly,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got used to 'pleasure' through activities.
Fourth, however, it was regrettable that only one teacher was to conduct the 'artist paintings appreciation activities' targeting 48 subjects in both groups. It was somewhat demanding and difficult for a teacher to produce positive effects on the drawing ability of children.
In conclusion, it is fitting to say that the 'artist paintings appreciation' influenced positively and meaningfully on the children's 'drawing ability'.
Alternative Author(s)
Im Hyo-Ji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Awarded Date
2008-02
Table Of Contents
목 차


표목차 ⅲ
ABSTRACT ⅳ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문제 4
3.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6
1. 미술감상의 개념 6
2. 유아기 미술감상활동의 긍정적 영향 9
3. 유아의 그림표현 13
4. 유아 미술감상활동의 지도방법 18
5. 선행연구 22

Ⅲ. 연구방법 25
1. 연구대상 25
2. 연구도구 25
3. 연구절차와 분석 28

Ⅳ. 연구결과 33
1. 명화감상활동 그림표현의 사전검사 결과 33
2. 명화감상활동이 그림표현의 표상수준에 미치는 영향 34
3. 명화감상활동이 그림표현의 예술성수준에 미치는 영향 35

Ⅴ. 논의와 결론 36
1. 논의 36
2. 결론 42

참 고 문 헌 44
부 록 47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임효진. (2007).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그림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84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6059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8-02-19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