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용규
Issued Date
2007
Keyword
초등학생|진로의식|진로교육|적성|보호자 학력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인식, 진로 선택, 직업 세계의 이해, 초등학교의 진로교육 실태를 학교 소재지별, 남녀별, 학년별, 보호자 학력별, 보호자 직업별로 어떤 관계가 있는가, 또한 효과적인 진로 교육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고 연구에 착수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J도 W군 체도, 도서 초등학교를 선택하여 남학생 392명, 여학생 419명을 표집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조사 도구는 질문지를 통한 이용했으며 박영석(2002), 최양숙(2002), 김자성(2002), 부교혁(2003), 장정순(2005), 손경종(2006)에 의해 실행된 질문지를 참고하여 총 29개 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초등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인식과 진로 선택, 직업세계의 이해, 그리고 진로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χ2(Chi-square) 검증과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초등학생의 진로 인식에서 학생들은 미래 자신의 모습에 대해 어느 정도 생각하였으며, 체도지역 학생과 여학생, 학년이 높을수록, 그리고 보호자가 사무직에 종사하는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미래 자신의 모습에 대해 생각하였다. 진로지도 교육은 초등학교시기에 시작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인식하였으며, 여학생과 보호자 학력이 높은 학생일수록 진로 지도 교육은 초등학교시기에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인식하였다.
학생들은 자신의 적성에 대해 그다지 잘 알지 못하였으며, 보호자 학력이 높은 학생일수록 자신의 적성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 학생들은 진로 문제에 대한 정보를 부모와 가족을 통해서 가장 많이 얻었으며, 체도지역 학생과 남학생, 학년이 낮을수록, 보호자 학력이 높은 학생일수록, 그리고 보호자가 공무원 및 교육직에 종사하는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진로 문제에 대한 정보를 부모와 가족을 통해서 주로 얻었다.
학생들은 부모님이 자신의 흥미나 적성에 대해 그다지 잘 알고 있지 않다고 인식하였으며, 학년이 낮을수록, 보호자 학력이 높을수록 부모님이 자신의 흥미나 적성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자신의 행복과 건강이 최고의 가치라고 인식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학년이 낮을수록 자신의 행복과 건강이 최고의 가치라고 인식하였다. 학생들은 성적문제로 인해 고민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남학생과 학년이 낮을수록 성적문제로 인해 고민을 많이 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진로 선택에서는 상급 학교에 진학할 예정인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여학생과 5학년 학생, 그리고 보호자 학력이 높을수록 상급 학교에 진학할 예정이었다. 상급학교를 진학할 때 계열을 학업성적으로 인해 결정하게 된 학생이 많았으며, 보호자 학력이 고졸인 학생과 보호자가 판매 및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상급학교를 진학할 때 계열을 학업성적으로 인해 결정하게 되었다. 학생들은 인문계 학교 진학 결정에 있어서 부모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으며, 학교 소재지와 성별, 학년, 보호자 학력, 그리고 보호자 직업별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급학교 진학시 대학교를 졸업해야 자아실현을 하는데 만족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보호자 학력이 고졸인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상급학교 진학시 대학교를 졸업해야 자아실현을 하는데 만족할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장래에 희망하는 직업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급학교에 진학하려 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여학생과 4, 5학년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장래에 희망하는 직업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급학교에 진학하려 하였다.
상급 학교 진학시대학 진학 때문에 상급 학교에 가려고 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도서지역 학생과 여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출세하고 성공하기 위해 상급 학교에 가려고 하였다. 학생들은 진로를 선택할 때 능력과 성적이 부진하여 가장 어렵게 느꼈으며, 학교 소재지와 성별, 학년, 보호자 학력, 그리고 보호자 직업별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초등학생의 직업세계의 이해는 미래의 직업에 대해 막연히 추측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미래의 직업에 대해 막연히 추측하였다. 학생들은 직업에 귀천이 그다지 있지 않다고 인식하였으며, 체도지역 학생과 여학생, 보호자 학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보호자가 판매,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직업에 귀천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적성과 능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직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남학생과 학년이 높을수록 생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직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학생들은 직업생활 중 자기가 하는 일에 만족하고 보람을 느끼는 사람이 가장 보람 있게 사는 사람이라고 인식하였으며, 학교 소재지와 성별, 학년, 보호자 학력, 그리고 보호자 직업별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직업에 대한 정보를 매스컴에서 가장 많이 얻었으며, 도서지역 학생과 여학생, 5학년 학생, 그리고 보호자 학력이 낮을수록 직업에 대한 정보를 매스컴에서 많이 얻었다. 학생들은 힘든 일, 더러운 일, 위험한 일을 기피하는 풍조에 대해 잘 모르겠다 에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남학생과 학년이 낮을수록 힘든 일, 더러운 일, 위험한 일을 기피하는 풍조에 대해 누군가가 해야 할 일이기에 기꺼이 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학생들은 부모님의 직업을 이어받거나 동일 직업 종사에 대해 동의하지 않았으며, 남학생과 보호자 학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보호자가 공무원 및 교육직에 종사하는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부모님의 직업을 이어받거나 동일 직업 종사에 대해 동의하였다.
넷째, 초등학교의 진로 교육 실태를 살펴보면 학생들은 학교에서 선생님과 진로문제에 대해 상담해 본적이 거의 없었으며, 학년이 낮을수록 선생님과 진로문제에 대해 상담해 본적이 거의 없었다. 학생들은 진로문제에 대해 담임선생님과 가장 상담하고 싶어 하였으며, 도서지역 학생과 여학생은 다른 학생보다 진로문제에 대해 진로상담 전문 선생님과 상담하고 싶어 하였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진로 선택에 대한 지도가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교에서 진로 선택에 대한 지도가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학생들은 자신의 적성, 흥미, 지능 등 진로지도를 위한 검사내용에 대해 그다지 잘 알지 못하였으며, 도서지역 학생과 6학년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자신의 적성, 흥미, 지능 등 진로지도를 위한 검사내용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
성적에 맞춰서 학교를 가기 때문에 진로교육이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학교 소재지와 성별, 학년, 보호자 학력, 그리고 보호자 직업별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생들은 진로교육은 특별활동 시간에 실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으며, 도서지역 학생과 여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진로교육은 특별활동 시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학생들은 학교의 진로 및 진학지도 중 능력과 적성에 맞는 진로와 직업을 가장 알고 싶어 하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교의 진로 및 진학지도 중 능력과 적성에 맞는 진로와 직업을 알고 싶어 하였다.|In knowledge-based society, knowledge is not one of mere consumer goods but one of investment goods, the sources of social competitiveness. As a source of power and wealth, that has a tremendous impact on revamping social structure. The level of job and its content are reliant on it, and the structure of industry and occupational world also hinges on it. Moreover, the types of jobs are being diversified owing to that.
In the 21st century accompanied by splendid technical reform, students often make a career choice without exactly knowing what they can do and what's right up with their alley, from which personal and social problems ari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receive career education to be ready for their future, make a successful career choice and eventually find an appropriate job.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career awareness and career cho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emote areas, their understanding of occupational world, and career education provided by elementary schools in light of school location, gender, academic school year,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ir guardians and their occupation. And it is also meant to contribute to offering more successful career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2 male students and 419 female students in a selected elementary school under the umbrella of the Wando-Gun Office of Education in south Jeollanamdo province.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33-item questionnaires, and indirect investigation was made by using the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and x2 tes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find out their perception of career, their career choice, their understanding of occupational world and how career education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investigated thought about what they would be like in the future to some extent, but they were not well aware of their own aptitude. Their parents did not know about their interests or aptitude, either, and it is required to provide a chance for them to take a standardized test to exactly figure out their own aptitude. Besides, extracurricular programs should be reinforced to help them to check what they could do and foster their talents.
Second, the students acquired career information through their parents and families the most, and they considered it most advisable to start receiving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o let them benefit from more objective information, elementary schools should have career information center to facilitate their career exploration.
Third, they were under the most influence of their parents in relation to entrance into high schools, and the largest number of students were going to go up to regular high schools. This was because high school admission was just viewed as part of process to enter university, and more accurate information on business high schools and high schools for special purposes should be provided.
Fourth, a lot of the students believed that occupation was necessary to develop their aptitude and deploy their ability, and many had just an unclear idea about their future job. They should receive intensive education about work ethics to precisely understand the worth of labor and the multiple meanings of job.
Fifth, they did not find themselves to receive enough education about career choice at school, and they felt career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in extracurricular class. Teachers should take sequential training courses to enhance their qualifications, and optional class should properly be operat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findings, there are some suggestions:
First of all, school and mass media should put concerted efforts into guiding the vocational awareness of students and parents in the right direction, and career education should be part of regular school education. Secondly, career education could be most successful when there are collaboration among family, school and local community. Career education programs geared toward parents should be prepared to change their way of looking at career and to help them offer career information to their children. Thirdly, every teacher should need to take training courses in career counseling to improve their consciousness of career education, and curriculum should be applied more flexibly to have students exposed to the world of work through field trip and experiential program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areer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ternative Author(s)
Kim, Yong-Gyu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Advisor
박선형
Awarded Date
2007-08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4
3. 용어의 정의 = 5
4.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7
1. 진로 교육의 이해 = 7
2. 진로 교육의 내용 = 12
3. 진로 교육과 직업 = 18
4. 선행 연구의 고찰 = 25
Ⅲ. 연구방법 = 27
1. 연구 대상 = 27
2. 측정도구 = 28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28
Ⅳ. 연구 결과 = 29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 29
2. 분석 결과 = 30
Ⅴ. 요약 및 결론 = 72
1. 요약 = 72
2. 결론 = 75
3. 제언 = 77
참고 문헌 = 78
부록 = 81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용규. (2007).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80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4480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7-11-1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