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의 세태소설적 특성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차선영
Issued Date
2007
Keyword
烏有蘭傳|Ohyouranjeon|Novel|세태소설|조선후기
Abstract
이 연구는 세태소설의 개념과 형성배경을 살펴보고, 세태소설의 유형인의 구조 분석, 등장인물을 통한 세태 반영의 실태, 작품의 표현 특성, 문학사적 의의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제2장에서는 세태소설의 개념과 형성배경을 살펴보았다.
세태소설이란, 모든 시대에 타당한 사회의 모습을 그리는 것이 아니고, 어떤 특정한 시기의 풍속이나 세태의 한 단면을 묘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소설로, 사건과 전개를 순전히 풍속 세태적인 사실에서 구하는 소설 양식이다. 따라서 세태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특정 시기의 특정 사회적 양상에 타당한 진실을 지닌 인간들이라고 할 수 있다. 세태소설은 사회문제를 전면에 부각시키지 않고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등을구체적으로 다루지 않는다. 조선 후기 세태 소설은 조선후기 작품으로 공간적 배경은 조선이다. 주로 평범하고 일상적인 인물이 등장한다. 또한, 사건 해결이 현실적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그 당시 세태가 잘 드러나야 한다.
조선후기 세태소설이 등장하게 된 배경은 사회·경제적 배경, 예술사적 배경, 사상사적 배경이 있다. 유교 이념이 깊이 뿌리박힌 조선조는 후기로 오면서 신분제를 지켜주던 노비제도가 무너지자 상민이 노비를 소유하고, 노비가 노비를 소유하는 현상이 일어났다. 결국 신분제의 동요와 농·상공업의 발달은 봉건제도를 해체하는 촉매 역할을 했다. 예술 분야에도 신분의 차이를 두지 않고 중인, 천민들과 어울려 취미활동을 하는가 하며, 악공들의 지원자가 되기도 한다. 조선후기 세태소설은 이러한 여러 배경을 바탕을 바탕으로 하여 그 당시의 여러 가지 사회와 인간의 모습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다. 곧 세태소설을 통해서 조선 후기의 사회상을 확인 할 수 있다. 사상적으로 실학이 사대부 중 양심적인 선비들의 비판의식에 의해 형성되었다.
제3장에서는 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았다.
의 서사 구조를 살펴보면, 조선시대 작가들이 사용하던 우연성이나 전기성은 찾아 볼 수 없는 독창성과 참신성이 드러난다. 인물이 평범한 사람으로 그 구성이 단순하게 이루어져 있고, 모든 사건이 현실적이며 필연적으로 전개 되고 있다.
이생과 김생의 사회적 지위 차이로 인한 갈등을 중심으로 ‘갈등의 시작 - 갈등의 심화 - 갈등의 최고조 - 갈등의 해소’, ‘발단, 전개, 절정, 결말’로 나누어 보았다. 갈등의 시작은 비슷한 환경에 처한 두 사람이 과거시험에서 한 사람은 급제하고 한 사람은 떨어지면서 생겨나게 되었다. 갈등의 심화는 서로 다른 사회적 지위에서 김생이 이생의 경직된 성관을 고쳐주기 위해 시작하는 이생을 훼절시키는 부분이다. 갈등의 최고조는 가짜로 이생을 죽게 하고 이생에게 망신을 주는 장면에서 이생과 김생의 갈등이 표면적으로 좀 더 심해지는 것처럼 보인다. 발단, 전개, 절정 부분에서 남성훼절 설화를 수용한 요소를 찾아볼 수 있었다. 갈등의 해소는 이생이 서울에 올라가 학업을 열심히 하고 암행어사로 제수되어 사회적 지위가 같아지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자신을 망신시켰던 김생을 망신시키고 화해를 하게 되며 둘의 갈등은 해소된다. 그리고 둘의 우정을 영원히 지속된다.
의 배경 설화로는 남성 훼절 설화를 들 수 있다. 훼절 대상자의 위선을 드러내고자 하는 망신담의 성격도 강하다. 작가의 창작성이 드러나 있고, 훼절 대상자를 속이는 과정이 사실적이다. 인간의 본성인 성적 욕구가 인정이 되고 있으며 이것은 집단적 가치보다는 개인적 가치에 중점을 둔 조선 후기의 사회상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배경설화의 수용과정에서 의 세태소설적 특성이 드러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4장에서는 등장인물을 통한 세태반영의 실태를 파악했다.
조선후기 세태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주로 평범하고 일상적인 인물들이 등장한다. 에 등장하는 인물들도 영웅적이거나 능력이 특출한 사람이 없다.
이생은 유교적 규범의 준행을 고집하며 도덕군자를 지향하는 인물로 죽마고우인 김생의 계략으로 기생 오유란에게 훼절하는 인물이다. 여색에게 무관심한 도덕군자를 자처하고 있으나 오유란을 단 한 번 보고 미색에 침혹될 만큼 도덕군자와는 거리가 먼 인물이다. 이생의 훼절은 그러한 위선 뒤에 숨겨져 있는 선비들이 이중인격을 폭로하는 데 목표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김생은 조선사회의 이중적 규범에 적응한 인물로 공부를 하는 것과 현실사회에 입각하여 살아가는 것은 다르다고 생각하는 인물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과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이생을 훼절시켜 자신과 같은 생각을 가지도록 사건을 만들어 낸 인물이기도 하다.
오유란은 본래의 직업은 미천한 신분의 기생으로써 뛰어난 지략과 미모를 가지고 있다. 김생의 명령으로 접근하지만, 이생을 훼절 시키는데 있어서는 능동적으로 계략을 만들어내고 적극적으로 행동 한다.
등장인물들을 통해서 조선 후기의 인물들의 모습과 그들의 가치관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제5장에서는 작품의 표현 특징을 살펴보았다.
은 작품 사이사이에 사실 묘사를 통해서 작품의 사실성, 현실성을 높였다. 그리고 작품 전체에서 풍부한 웃음을 자아내게 한다. 훼절 사건은 향락적이고 퇴폐적인 관료들이 자신의 생활을 정당화하기 위해 도덕적 유가이념에 충실한 인물을 훼절시키려 한다. 그래서 이생은 오유란에게 반해서 자신의 정체성을 상실하고, 자신이 귀신이라 여기다가 잔치자리에 나체로 등장하여 망신을 당하게 된다. 이러한 모습은 현실에 대한 비판적 태도에 근거를 두고 대상의 부조리를 폭로하는 풍자성가 웃음을 유발하는 해학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또, 판소리에서 볼 수 있는 언어유희인 肉談이 해학적 성향을 더욱 짙게 만든다.
제6장에서 작품이 가지고 있는 문학사적 의의를 파악해 보았다.
은 한문소설로 한문을 하는 지식층의 의식을 반영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고소설이 일반적으로 권선징악의 주제를 다루는데 비해 은 조선 시대 유교적 이념에서 벗어나 개인의 가치를 다루고 있다. 또한, 초동이 평민의 신분으로 양반의 행동을 비난하고, 기녀 오유란이 자신의 무죄를 주장하며 자신에게 속은 양반의 어리석음을 지적하는 부분은 조선 후기 신분제의 동요와 성장한 시민의식을 엿볼 수 있다. 고소설과 같이 평면적인 인물만 등장하지 않고 실제 인물과 가깝게 묘사되고, 사건에 따라 성격이 변화하는 입체적 인물도 등장한다. 이러한 인물 표현은 근대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해결해야 하는 문제도 현실적인 문제들로 전기성이나 비현실성을 작품에서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
은 사실 묘사를 통해서 작품의 현실성을 높여주며, 좀 더 사실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등장인물들이 사회적 지위와 가치관의 차이로 대립하게 되고, 그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남성 훼절설화를 수용해서 문제를 해결한다. 작품에서는 이생이 도덕군자를 자처하고 있지만, 오유란을 보는 순간 미색에 침혹될 만큼 도덕군자라는 위선에 싸여 있으며 양반의 허위성과 허례의식에 대한 풍자를 불러오게 된다.
은 개인의 가치를 추구한 제재의 선정, 사실적이고 입체적인 인물의 등장, 사실적인 묘사, 풍자와 해학을 통한 조선후기 사회상 반영 등으로 보아 고소설과 현대소설의 과도기적 단계로 이 세태소설의 문학사적 의의가 있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에 관한 분석 내용을 중심으로 논의해 보았다. 오유란전은 남성 훼절설화를 수용해서 좀 더 확장된 구조로 발전된 양상을 보여주었다. 사실적인 묘사와 사실적 인물이 등장으로 근대 소설적인 모습도 파악할 수 있었다. 풍자와 해학을 통한 표현 특성도 나타났으며, 세태소설적인 특성들이 작품 전체에 분포하고 있었다. 이로써 에 대한 연구를 마치며, 미진한 부분은 앞으로 좀 더 깊은 연구를 통해서 심도 있게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The nover of Manner is not the type of novel that describes the picture of an appropriate society in every age. It is a novel that aims at describing the customs of any specific periods or a section of the social conditions. Its style is what seeks the events and developments thoroughly through the custom, social conditional facts.
The social - economical background, artistic background, and ideological background were the reasons of the appearance of the social condition in the latter Joseon. As the period of Joseon, with great confucianism principle in people's mind, had passed to the latter time, the servants system which kept the status system had been collapsed. The lower class started to own the servants, and even the servants owned other servants. At last the unsettledness of the status system and the developments of the agriculture - commerce and industry played the role of a catalyst that disjoint the feudal system.
Looking through the epic structure of , the contingency or the biography which the writers in Joseon period used shows the originality and novelty that can't be found anywhere else. The character is an ordinary person and the composition is simple. And also all events develop realistically and inevitably.
The background tale of is the man selling out tale. It has a strong character of shameful story that reveals the hypocrisy of the selling out object. It shows the writer's creativity, and the process of deceiving the selling out object is realistic. It is admitted the sexual desire which is a true character of a human being, and it is reflected the social aspect in the latter Joseon which put the priority in the personal value rather than collective value.
None of the characters in the social condition novel is heroic or outstanding. Usually they are common and ordinary.
made the actuality and reality of the work enhanced through the realistic description. And it evokes great laughter. The social condition event is that the hedonic and decadent officials try to sell out the person who is faithful to the moral confucianism idea to justify their lives.
is a Chinese writing novel, and it can be a work reflecting the consciousness of intellectual class who uses Chinese writing. Old novel usually deals with the promotion of virtue and reproval of vice. However, deals with the personal value out of the confucianism idea in Joseon period.
The reality of has been raised through the realistic description. And also it can approach more to realistic. The characters are opposed to one another for their social status, and the difference of their values. To solve the problem, man selling out tales are accepted.
was understood that it has the history of literature meaning of selling out novel on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 old novel and modern novel by social aspect in the latter Joseon through the selection of restraint which pursued the personal value; entry of actual and realistic character; realistic description; satire and humor.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Novel of Manners
Alternative Author(s)
Cha, Seon-yeo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Advisor
김수중
Awarded Date
2007-08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 목적과 필요성 = 1
제2절 연구사 = 2
제2장 세태소설의 개념과 형성배경 = 5
제1절 세태소설의 개념 = 5
제2절 세태소설의 등장 배경 = 9
제3장 구조적인 측면에서 본 의 세태소설적 특성 = 12
제1절 남성 훼절설화 구조의 수용 = 12
제2절 세태를 반영한 배경설화의 수용 = 25
제4장 등장인물을 통해서 본 의 세태소설적 특성 = 30
제1절 억압받던 여성의 변화를 보여주는 인물 = 30
제2절 가치관의 변화를 나타낸 인물 = 34
제3절 상층 관료의 이념을 드러내는 인물 = 37
제5장 표현 미학적인 측면에서 본 의 세태소설적 특성 = 43
제1절 사실 묘사 = 43
제2절 풍자와 해학 = 45
제6장 의 문학사적 의의 = 52
제7장 결론 = 54
참고문헌 = 58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차선영. (2007). 의 세태소설적 특성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79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4426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7-11-1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