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代案 學校의 實態와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Metadata Downloads
Author(s)
문미영
Issued Date
2007
Abstract
21세기 세계화, 정보화로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에서 공교육에 대한 비판으로 교육의 본 모습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대안학교가 부상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대안학교는 교육적 주체인 교사, 학부모, 교육이론가 등이 자발적으로 연구 실천하는 학교로 일반 학교교육이 담아내지 못하는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학교이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유형을 살펴보고 현재 운영되고 있는 대안학교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키 위해 성지고등학교, 한빛고등학교, 간디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교육이념, 교육목표,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여건에 대해 조사하여 분석하였고, 대안학교들의 실천사례를 통해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에 대한 대안학교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문의 실천사례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대안학교들은 다음의 공통적인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첫째, 대안학교들이 추구하는 교육이념 및 인간상은 개인의 자유와 자율성을 중시하고 공동체의식을 지닌 인간, 도덕적이고 주체적인 인간이다.
둘째, 교육목표는 전인교육과 사회성교육, 생명과 생태를 중시하는 친자연적 교육을 지향한다.
셋째, 교육내용은 실생활에 의한 살아있는 교육을 추구하며 학습활동을 통해 지식보다는 사회성 교육에 비중을 두며 자연친화적 교육 환경 속에서 일과 공부를 함께하는 감성교육과 노작교육 지향한다.
넷째, 교육방법은 자신의 관심과 장래희망에 따른 개별적 학습선택과 학습자의 능력, 수준에 맞는 수업과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학습 방법을 선택하게 하여 학생들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교육방법을 지향한다.
다섯째, 작은 학교를 지향하며 생태적 삶의 가치를 존중하며 전교생이 교사와 함께 공동체 생활을 한다.
이렇듯 대안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학교별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대안학교들의 실천사례를 분석을 통하여 논자는 몇가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대안학교 공통적 이념인 공동체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과정 개발의 부족을 들 수 있다.
둘째, 학생을 이해하고 헌신 할 수 있는 사명의식을 가진 대안학교 교사 양성과정이 없고, 대안학교 교사들의 전문성 부족과 낮은 임금 및 처우에 관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셋째, 열악한 교육시설 및 학교부지 마련 문제와 작은 규모의 학교를 지향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교육재정의 문제가 있다.
넷째, 대안학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문제로 교육관련 기관을 비롯한 제도권 학교 및 학부모, 지역주민들의 부정적 인식 및 선입견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대안학교가 직면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에 대해 논자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대안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대안교육을 이해하는 교사의 양성과 연수제도를 확립해야 한다.
셋째, 정부의 대안학교 규제개혁을 통한 행정적, 경제적 지원이 필요하다. 결국 대안교육은 교육실천가의 의지, 정부의 행정적 지원과 제도개혁 그리고 교사의 자발적 실천의지가 병행될 때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대안교육의 긍정적 측면을 제도교육으로 유입될 수 있는 방안이 다양하게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교육실천가와 교육관계자가 위와 같이 대안교육을 위해 노력하고, 이에 대한 자발적인 대안교육이 확산된다면 획일화된 교육내용과 방법으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현재의 교육 풍토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21st century, the world has transformed into a globalized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this context, in an effort to regain the true form of education, alternative schooling appeared as the solution to the many voices of criticisms toward public education.
Alternative schools in Korea are voluntarily researched and run by teachers, parents, and education theorists-the very subjects of education, enabling these au courant schools to come up with solutions to problems that general school systems would find difficult to solve.
This thesis paper aims to examine the various forms of alternative schools, identify problems that contemporary alternative schools are facing, and explore better ways to activate them in society.
To carry out this research, I have examined and analyzed the educational ideologies, objectives, curriculums, methods, and conditions of Sung Ji, Han Bit, and Gandhi High School, and by reviewing their practiced cases, I have been able to identify several problems within these systems and come up with solutions to vitalize these school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acticed cases,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se alternative schools had several characteristics in common.
First, the educational ideology and image of students that alternative schools pursue focus on emphasizing an individual's freedom and free will, community spirit, morality, and independence.
Second, they pursue an education that intends to nurture well-rounded students, develop student's social skills, and stress the value of life and the ecosystem.
Third, the contents of their education is based on practicality to put an emphasis on social education rather than knowledge, and learning and working in an environmentally-friendly educational surrounding in an effort to teach students susceptibility and hard work.
Fourth, the educational method they utilize allows students to select their own programs based on their future aspirations and aptitudes, guiding them to actively and voluntarily participate in class.
Fifth, they aim to create a small school, value ecolife, and teach students to work together with the teachers as a whole.
As written above, each school has put in great effort to practice alternative schooling, but after analyzing several cases, several problems have emerged inside this system.
First, there is a lack of specific programs and curriculums that will help pursue the alternative schools' common ideology of a community spirit.
Second, a training system for dutiful teachers who would be able to understand and devote themselves to the students does not exist, leading to issues regarding a lack of professionality, low salaries, and poor treatment.
Third, poor educational facilities, grounding, and an effort to strive for a small and efficient school result in serious financial problems.
Fourth, social awareness of alternative schools in addition to the biased opinions from neighboring schools, parents, and residents have become major problems.
Accordingly, to counter these various problems that alternative schools are currently facing, I have proposed several solutions hoping to improve their status.
First, alternative schools need to establish a systemized concrete model regarding their curriculums.
Second, alternative schools need to create a training system that will nurture teachers who fully understand the concept of alternative schooling.
Third, the government needs to undergo regulation reforms in order to support alternative schools both administratively and financially.
Eventually, alternative education will succeed only with the will of an educational theorist,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support and regulation reforms, and an active and voluntary determination.
Therefore, it is only when the society finds ways to accommodate the positive aspects of alternative education into the education system, educational theorists and authorities endeavor to support alternative education, and the concept of voluntary alternative schooling spreads throughout society, that we will be able to improve and find solutions to the many problems regarding the standardized education prevalent in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of our society.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Actual State and Activation Scheme of Alternative School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
Awarded Date
2007-02
Table Of Contents
목차 = i
국문요약 = 1
Ⅰ. 서론 = 4
1. 연구의 필요성 = 4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5
Ⅱ. 이론적 배경 = 8
1. 대안학교의 개념 = 8
2. 대안학교의 역사적 배경 = 12
3.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유형 = 16
가. 이념 형태에 따른 분류 = 17
나. 운영형태에 따라 = 20
다. 제도교육과의 관련 정도에 따라 = 22
Ⅲ. 대안학교의 실천사례 = 24
1. 성지고등학교의 실천사례 = 28
가. 학생 선발 및 전형방법 = 28
나. 교육이념 및 교육목표 = 28
다. 교육과정 및 교육여건 = 29
2. 한빛고등학교의 실천사례 = 32
가. 학생 선발 및 전형방법 = 32
나. 교육이념 및 교육목표 = 33
다. 교육과정 및 교육여건 = 33
3. 간디학교의 실천사례 = 34
가. 학생 선발 및 전형방법 = 34
나. 교육이념 및 교육목표 = 35
다. 교육과정 및 교육여건 = 35
Ⅳ. 대안학교의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 39
1. 대안학교의 문제점 = 39
가. 사회적 인식의 문제 = 40
나. 교육과정의 운영 및 교육여건 = 42
다. 교사진의 충원과 운영 = 45
2. 대안학교의 활성화 방안 = 46
가. 대안학교 교육과정 제도를 위한 노력 = 46
나. 대안학교를 이해하는 교사의 양성과 교사상 정립 = 51
다. 교육여건 = 58
Ⅴ. 결론 = 61
참고문헌 = 64
ABSTRACT = 67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문미영. (2007). 代案 學校의 實態와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72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1694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9-12-10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