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신문광고에 나타난 아파트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현경
Issued Date
2006
Abstract
본 연구는 주택의 분양가 자율화 이후의 아파트 광고에 나타난 변화 양상과 주거문화의 특징, 또한 최근의 아파트의 계획적 요소의 파악을 위한 의도로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동아일보에 나타난 광고의 조사, 분석을 통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광고에 나타난 계획요소의 지표에 따른 광고를 각 항목별로 보았을 때, 주거단지 환경에서의 입지성이 전체의 1125건(67.4%)을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단지내 공원 및 녹지 141건(8.4%) > 공간계획 103건(6.2%) > 설비 96건(5.8%) > 단지내 복리시설 79건(4.7%) > 인테리어 53건(3.2%)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단지의 구매력을 만드는 중요한 요소가 입지성이라는 것 외에도, 입주자의 관심이 그간의 내부공간에서 벗어나서 외부공간으로 전환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각 항목별에서 입지성은 교통 289건(25.7%) > 공·편익시설 225건(20.0%) > 교육 188건(16.7%) > 근린공원 및 녹지형성 126건(11.2%)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공간계획에서는 공간구조 50건(48.5%) > 발코니계획 16건(15.5%) > 전용면적의 극대화 11건(10.7%)의 순으로 나타내고 있다. 설비는 홈오토메이션 22건(22.9%) > 주방설비, 안전설비 19건(19.8%) > 정보통신시설 18건(18.8%)순이며, 단지내 공원 및 녹지에서는 테마공원 61건(43.3%) > 녹지공간 50건(35.5%) > 산책로 12건(8.5%)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통이 이 중 가장 높은 게재 빈도수와 구성비를 나타내고 있으며, 공·편익시설과 교육환경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이는 출·퇴근 시간의 단축과 이동의 편리성을 추구하는 교통과 함께 자녀교육에 대한 우리 국민의 높은 교육열이 반영된 결과로 보여진다. 또한 녹색환경, 문화, 교육, 교통의 편리 등은 삶의 질 향상 및 도시인의 생활 편리성과 쾌적성에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는 요소로써 앞으로의 광고에서도 지속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파악된다.
내부마감 또는 인테리어에 관련된 부분에서도 단순히 고가의 가구 및 마감재의 선정만을 강조하기보다는 주부의 동선 및 가사노동을 고려한 주방가구의 도입 및 구성, 또는 가족들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합리적인 공간 배치가 가능한 가구 및 조명의 선택과 같은 부분에 대한 노력도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주동의 배치에 있어서도 남향 배치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점, 어린이 놀이공간에 대한 관심 소홀 등은 향후 건설업체의 주거단지의 계획 시 보다 적극적 고려가 필요한 사항이다. 또한 설비 부분에서는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홈오토메이션과 관련된 항목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실생활에 가장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보이는 방음에 대한 항목에 대해서 비중이 없는 것은 하나의 문제점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주호의 내부공간은 거의 획일화, 규격화되어짐으로써 차별화 전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주택의 가치를 결정하는 요소가 내부공간구성보다는 입지성 관련 항목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는 향후 아파트 계획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분양가 자율화 이후 아파트 분양광고에 나타난 특징과 계획적 요소를 알 수 있었으나, 분양가 자율화의 전후 비교를 통한 연구가 없었던 점은 향후 연구에서 더 보완하고자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changed aspect shown in the apartment advertising after the liberalization of housing sale price in lot,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culture, and planned elements of apartment recently. From the results through the survey and analysis of advertising shown in Dong-A Ilbo from 2002 to 2004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When it presented it by each item according to the index of planned elements shown in the advertising, the location condition in the environment of residence complex took 67.4%(1125 cases) of the whole elements. Then came parks and green places within the residence complex(8.4%, 141 cases) >, space planning(6.2%, 103 cases) >, facilities(5.8%, 96 cases) >, welfare facilities within the residence complex(4.7%, 79 cases) > interior(3.2%, 53 cases) in that order. It has shown that the uninformed interior space was transformed to the exterior space as well as the location condition was an important element that created the purchasing power of residence complex.
The results by each element were as follows. As to the location condition, it has shown that there were transportation(289 cases, 25.7%) > public facilities · accommodation facilities(225 cases, 20.0%) > education(188 cases, 16.7%) > formation of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126 cases, 11.2%) in order. And, as for the space planning,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spatial structure(50 cases, 48.5%) > plan for balcony(16 cases , 15.5%) > maximization of exclusive area(11 cases, 10.7%) in order. As for the facilities, there were home automation(22 cases, 22.9%) > kitchen facilities and safety facilities(19 cases, 19.8%)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acilities(18 cases, 18.8%) in order. Also, as for the parks and green places within the residence complex, it took the theme parks(61 cases, 43.3%) > green spaces(50 cases, 35.5%) > promenade(12 cases, 8.5%) in order.
By the which, the interior space of units had difficulty in the differentiated strategy as it was almost uniformed and standardized. Also, this study could see that the elements determining the value of housing were affected by the items related to the location condition more than the composition of interior space. It is considered as it could be used as materials to be utilized in the plan for apartment hereafter. This study has shown that it could see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advertising of housing sale in lot after the liberalization of housing sale price in lot and the planned elements, but this researcher is to complement it more from the research hereafter because there was no research through the comparison with before and after the liberalization of housing sale price in lot.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Planning Appeared on Newspaper Advertisement
Alternative Author(s)
Park, Hyeon-Gyeo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기술.가정교육
Advisor
조용준
Awarded Date
2006-02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 1
1.2 연구의 목적 = 3
1.3 연구의 방법과 범위 = 4
Ⅱ. 이론적 고찰 = 6
2.1 광고의 개념 및 기능 = 6
2.2 신문광고 = 10
2.3 아파트 분양광고의 역할 = 13
2.4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 = 16
2.5 선행 연구 고찰 = 19
Ⅲ. 아파트 분양광고에 나타난 계획적 요소 분석 = 21
3.1 신문광고에 나타난 아파트 계획요소 = 21
3.1.1 신문광고에 나타난 아파트 계획 요소의 지표 설정 = 21
3.1.2 전체구분에 따른 계획 요소 = 24
3.2 주거단지의 환경 = 26
3.2.1 입지성에 대한 광고 내용 분석 = 26
3.3 주호내부 및 주동내부 = 35
3.3.1 공간계획에 대한 광고 내용 분석 = 35
3.3.2 인테리어에 대한 광고 내용 분석 = 37
3.3.3 설비에 대한 광고 내용 분석 = 40
3.4 단지내 외부 공간 및 시설 = 43
3.4.1 단지 내 부대복리시설에 대한 광고 내용 분석 = 43
3.4.2 단지 내 공원 및 녹지에 대한 광고 내용 분석 = 45
3.5 단지계획 = 49
3.5.1 주동배치 및 형상에 대한 광고 내용 분석 = 49
Ⅳ. 요약 및 결론 = 52
참고문헌 = 54
ABSTRACT = 56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현경. (2006). 신문광고에 나타난 아파트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57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3000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8-09-01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