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수산업의 부가가치기준 수출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최인녕
Issued Date
2020
Abstract
Fishing and aquaculture are some of the most traditional industries along with agriculture, but they are also industries that are most dynamically evolving due to the change in people’s eating habits caused by the global food crisis and rise in income level. As for the Korean fishing and aquaculture industries, the output is partly increasing but has not yet reached the global production growth level, and expansion of the product base (fishing vessels, fish farms, area size, etc.) is also slowing down.

The existing industry policies based on the theory of comparative advantage aim to promote employment and economic growth by fostering the domestic strategic industries and increasing exports based on competitiveness of natural resources (capital, labor, etc.). However, the industry policy based on global value chains focuses on creating value-added income through the country’s leading core processes with high value within the global system of labor division.

Therefore, there is the need to maximize the effect of Korea’s fishing and aquaculture industry policies by thoroughly analyzing the input-output structure among the domestic and overseas industries, reestablishing evaluation indexes from the GVC perspective and identifying fields with high level of contribution to the domestic value added and job creation.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international status of different countries in the global value chains of the fishing and aquaculture industries, identify the value added in trade and comparative advantages through decomposition of gross exports and GDP and systematically distinguish trading patterns and determining factors in global value added trading through econometric modeling. Further, policy implications of developing the high-value-added system of Korea’s fishing and aquaculture industries were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First, the percentages of domestic value added (DVA) and foreign value added (FVA) in the total export of fishing and aquaculture industries are 83.2% and 12.7%, respectively. If the values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t can be seen that the global labor division structure of fishing and aquaculture industries is less developed than that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Also, compared to year 2000, the DVA percentage has decreased and the FVA percentage has increased in Korea’s total export of fishing and aquaculture industries. This can be positively interpreted to mean that Korea is effectively utilizing the manufacturing export strategy by strengthening the soundness of GVC and receiving high amounts of intermediate goods supply from overseas. However, this can also be negatively interpreted to mean that Korea’s domestic employment and income generation rates for fishing and aquaculture exports are relatively low and that the industry’s structure is vulnerable to external impacts such as growth of protectionism, economic recession, etc.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value added trading structure of Korea’s fishing and aquaculture industries based on the WWZ (2013) decomposition framework shows that the accumulated domestic value added from fishing and aquaculture exports is 82.2%. Also, 25.8% of domestic value added through exports comes from exports to Russia. The total percentage of domestic value added through exports to the top five countries, namely USA (25.8%), Japan (15.4%), Taiwan (2.8%) and China (1.2%), is 65.6%.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t countries’ value added competitiveness of fishing and aquaculture industries shows that Norway has the highest NRCA index, at 5.98. Indonesia (4.17), India (2.13) and China (1.76) have competitive advantages in the given order. On the other hand, Korea shows a continuously decreasing trend of both RCA (0.13) and NRCA (0.64) with weakening competitiveness.

Fourth,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value added in the fishing and aquaculture industry within the GVCs shows that the gross output (GO) index is positive in all industries including fishery and aquaculture (AQI) and that the AQI shows no factor endowment. Also, it was seen that value added export of the AQI is greatly affected by exchange fluctuations and transaction costs.

On the other hand, the trade creation effect of FTA is positive in the advanced countries model and negative in the developing countries model. The value added exports increase effect of offshoring (OFF_SERV) is positive in the final model (DVAfin) of advanced and developing countries and intermediate model (DVAint2) of developing countries,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s policy implications of improving th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fishing and aquaculture industry, creating growth engines for the industry through fostering related industries, and promoting sophistication of the fishery export system in the global value chains.

However, despite the outcome of this stud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nalysis data used in this study are based on the World Input-Output Table of OECD countries and thus have limitations in analyzing the mutually dependent relationships between Asian countries in the fishing and aquaculture industries, and that the large classification of industries also pose limitations in analyzing the global value chain system in terms of connection between the fishing and aquaculture industries and other related industries.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nput-output tables must be newly established between the fishing and aquaculture industries and other related industries for more detailed analysis. |수산업은 농업과 더불어 가장 전통적인 산업이지만, 최근의 글로벌 식량위기, 소득수준 증가에 따른 식생활 습관 변화에 따라 가장 역동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산업이다. 반면 한국 수산업은 어업생산량 면에서는 일부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세계 수산물 생산 증가율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생산기반(어선, 양식어가, 면적 등) 확충도 정체 현상을 보이고 있다.
한편 전통적인 비교우위론에 입각한 기존의 산업정책은 부존자원(자본, 노동 등)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국내 전략산업을 육성하고 수출을 증대시켜 고용과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글로벌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s) 관점의 산업정책은 국제생산분할 구조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핵심 공정을 자국이 담당함으로써 부가가치소득을 창출하는데 초점이 맞추어 진다.
따라서 한국 수산업의 산업정책 역시 국내·외 산업 간 투입-산출구조를 면밀히 분석하여 GVCs 관점의 평가지표를 재정립하고, 국내부가가치 기여도 및 고용창출효과가 높은 분야를 식별해 냄으로써 정책효과를 극대화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총수출 분해(decomposition of gross exports)와 총생산 분해(Decomposition of GDP)를 통하여 국가별 수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위상과 부가가치기준 무역구조(Value Added in Trade) 및 비교우위를 파악하고, 계량경제모형을 구축하여 세계 수산업 부가가치기준 무역의 무역패턴과 그 결정요인을 체계적으로 식별하는데 주 목적이 두고 있다. 나아가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국 수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산업 총수출에서의 부가가치요소별 비중을 살펴보면 국내부가가치(domestic value added DVA) 비중은 83.2%, 외국부가가치(foreign value added; FVA) 비중은 12.7%로 나타나는데, 이를 제조업과 비교해보면 수산업의 국제생산분할 구조가 제조업에 비하여 발달되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한국 수산업 총수출에서 국내부가가치(DVA) 비중은 2000년 대비 감소, 외국부가가치(FVA)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를 긍정적으로 해석하면 한국 수산업이 GVCs 결합도를 높이며 해외에서 보다 더 많은 중간재를 공급받아 가공수출하는 전략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부정적인 측면에서 보면 한국 수산업 수출의 국내경제 고용 및 소득 창출률이 상대적으로 낮고, 보호무역주의 확산, 경기침체 등의 외부충격에 취약한 산업구조임을 의미한다.
둘째, WWZ(2013) 총수출 분해방식으로 한국 수산업의 부가가치기준 무역구조를 분석한 결과, 한국 수산업 총수출에 체화된 국내부가가치는 82.2%이며, 수출을 통해 유발하는 국내부가가치의 25.8%는 대러시아 수출을 통하여 얻으며, 미국(USA) 25.8%, 일본(JPN) 15.4%, 대만(TWN) 2.8%, 중국(CHN) 1.2%로 나타나 상위 5개국 비중이 65.6%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국가별 수산업의 부가가치기준 국제경쟁력을 측정한 결과, 노르웨이의 NRCA 지수가 5.98로 가장 높은 경쟁력을 나타냈으며, 인도네시아(4.17), 인도(2.13), 중국(1.76) 순으로 비교우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한국은 RCA(0.13)와 NRCA(0.64) 지수 모두가 지속적으로 하락추세를 나타내며 비교열위가 점차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글로벌 가치사슬(GVCs)에서 수산업 부가가치수출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제규모를 대용하고 있는 양국간 총산출규모(GO)의 계수 값은 수산업(AQI)을 포함한 모든 산업에서 정(+)의 영향성을 나타냈으며, 수산업(AQI)에서는 요소부존도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수산업 부가가치수출이 환율변동과 거래비용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자유무역협정 체결의 무역창출효과(trade creation effect)는 선진국 모형에서는 정(+)의 효과가, 개도국 모형에서는 부(-)의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오프쇼링(OFF_SERV)의 부가가치수출 증대효과는 선진국과 개도국의 최종재모형(DVAfin)과 개도국의 중간재(DVAint2) 모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효과가 나타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서는 한국 수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수산업 관련 법제도의 정비, 수산업 연관산업의 육성을 통한 수산업 성장동력 창출, 글로벌가치사슬에서 수산물 수출기반 고도화 측면에서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한편, 이러한 본 연구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데이터는 OECD 국가가 중심의 WIOD 세계투입산출표(World Input-Output Table)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아시아 지역 국가 수산업의 상호 의존관계를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고, 산업분류도 대분류 수준에서 이루어져 있어, 수산업과 수산 관련산업의 연계 관점에서 글로벌 가치사슬의 체계를 분석하는데 제약이 존재한다. 따라서 향후 연계에서는 수산업과 수산관련 산업간의 투입산출표를 재조합하여 보다 정밀한 분석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Alternative Title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Value Added in Trade of Fishing and Aquaculture Products
Alternative Author(s)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Value Added in Trade of Fishing and Aquaculture Products
Affiliation
완도물산 영어조합법인 대표
Department
일반대학원 FTA비즈니스학과
Advisor
김석민
Awarded Date
2020-08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2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4
1. 연구의 방법 4
2. 연구의 구성 5
제3절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7
1. 선행연구 검토 7
2. 본 연구의 차별성 12

제2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15
제1절 국제산업연관분석 15
1. 국제산업연관표의 종류 15
2. 국제산업연관표의 기본구조 17
3. 투입산출 분석방법론 19
제2절 글로벌가치사슬의 측정 25
1. 오프쇼링과 수직분업지수 25
2. GVCs 위치지수, 참여지수 28
3. 부가가치기준 국제경쟁력지수 32
제3절 총수출과 총생산의 분해 34
1. 총수출의 분해 34
2. 총생산의 분해 38

제3장 수산업의 산업 및 무역구조 분석 42
제1절 세계 수산업 생산 및 교역 동향 42
1. 수산업의 개념과 산업분류 42
2. 수산업 생산, 소비 및 교역동향 44
제2절 세계 수산업의 산업구조 분석 53
1. 총산출 및 고용 구조 53
2. 임금 및 생산성 구조 55
제3절 부가가치 무역구조 및 GVCs 위상 분석 61
1. 부가가치요소별 무역구조 61
2. 국가별 수산업 국제경쟁력 추이 67
3. 국가별 수산업 GVCs 위상 분석 69

제4장 수산업 부가가치수출 결정요인 분석 75
제1절 연구모형 및 분석자료 75
1.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75
2. 자료 및 분석방법 86
제2절 모형검정 및 기초통계량 92
1. 패널회귀모형의 검정 92
2. 분석자료의 기초통계량 95

제3절 실증분석 결과 97
1. 전체국가-산업 부가가치수출 모형 97
2. 산업별 부가가치수출 모형 105
3. 수산업 부가가치수출 모형 110

제5장 결 론 113
제1절 분석결과의 요약 113
제2절 정책적 시사점 119

[참고문헌] 123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최인녕. (2020). 수산업의 부가가치기준 수출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31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41523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0-08-28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