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중요어업유산의 브랜드화를 통한 관광활성화방안
- Author(s)
- 정재훈
- Issued Date
- 2020
- Keyword
- 국가중요어업유산
- Abstract
- Korea began establishing the Korea Important Fisheries Heritage System based on the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GIAHS) in 2013. Seven places have been designated national important fishery heritage properties so far. With the revival of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fishery heritage properties were separated from agricultural heritage properties and given a clear, distinct purpose. The haenyeo, Jukbangryeom, mudflat fisheries, and salt evaporation ponds were the first to be designated Korea Important Fisheries Heritage propertie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emphasizing that the preservation and continuation of biological and cultural diversity, which are considered to be future values, must begin with traditional knowledge. Korea is also establishing a national policy to restore and preserve biological diversity, ecological services, cultural diversity, traditional knowledge, and other values that have disappeared or may disappear with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overdevelopment. Among them is the system of national important fisheries heritage properties.
Just like the Korea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the Korea Important Fisheries Heritage System must preserve and manage heritage properties and generate diverse values and inheritances for future generations for the purpose of branding fisheries heritage and tourism resources. To do this, the Korea Important Fisheries Heritage System must also enhance biological diversity, preserve and utilize traditional knowledge of biological resources, and expand ecological service values. The Korea Important Fisheries Heritage System is pursuing this value, and their actions are not only establishing a system for their goal of maintaining and continuing traditional fishery knowledge, but also to influence preservation. Therefore, their scale is quite large. The goal of the Boseong Tidal Flats Fisheries heritage property is to preserve the unique mudflat and sea utilization and fishery culture of the region, the fishing village scenery, the diversity of halophytes, marine animals, and plants, and other fishery systems. And to revitalize the fishing industry and villages, the Boseong Tidal Flats applied for and became designated as a Korea National Fisheries Heritage property in 2015.
National fishery heritage properties refer to traditional fishery activities and all resulting outcomes such as coastal landscapes, maritime culture, and fishery activities. They are lifestyles that were formed and developed by fishermen and women over time as they adapted to an ecological environment formed around the sea. To be recognized as a national important fishery heritage property, the traditional fishery activity must be taking place, and there must be a system established to continue this traditional fishery activity or traditional knowledge. To be designated a national fishery heritage property, there must be a key region where the traditional fishery activity is taking place, and there must be a certain space formed by the traditional fishing activity. This not only includes the sea, but also the areas in which the marine flora and fauna live. The fishery heritage system designates unique idioms and relevant places, but more than anything else, it emphasizes the presence of heritage inheritors and sustainability.
The Jeollanam-do province has a large portion of mudflat fisheries heritage properties. The tidal flat is very important as a fishery tool that migrates and transports the mudflats, and it must be treated as a value that draws interest in promoting tourism. Also, the fisheries at the Boseong Tidal Flats are closely linked to national wetland policy, and most of the fishing is done in common village fisheries. In particular, tidal flat fisheries at mudflats and coastal wetlands are important spaces for village fishery communities. This area is currently partitioned into various marine sanctuary areas such as a Boggy Ground Reservation, a Ramsar Wetland, a UNESCO Biosphere Reserve, and a World Tidal Flat Heritage. Therefore, even when establishing a revitalization strategy for tourism among Korea Important Fisheries Heritage properties, the strategy must be established in line with a conservation strategy of marine ecological resources.
The value of the Korea Important Fisheries Heritage sites, including fishing values, their utilization for promoting tourism, and marine cultur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policies are very inadequate. Not only the tourists visiting the region, but also the fishermen and women lack awareness and promotion of fishery heritage. Even the residents of these areas do not know about their fishery heritage, and even if some do, they only recognize it as perhaps one of the policy projects of the national or local government. Therefore,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Boseong Tidal Flats heritage must start with the fishing culture and life of the fishermen and women, and the efforts must maintain the ecosystem of the coastal wetlands and fishing grounds. This requires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rofits of the fishermen and women, the consumers that consume the marine products, and the tourists of fishery heritage properties or marine culture. The fishery heritage sites, especially those designated by the Korea Important Fisheries Heritage System, must promote sustainable fishery activities to fishermen and women, and consumption that values the fishery heritage and travel that does not harm the ecology of fishery heritage sites to consumers. Like the Cheongsando Gudeuljangnon or the Jeju Batdam, the national important fishery heritage properties must be promoted to world agricultural heritage properties, and that requires enthusiastic efforts by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and participation by the local citizens. Furthermore, training programs are essential for transferring fishery heritage. In the case of the Boseong Tidal Flats, knowledge of the mudflats structure and production skills must be transferred, bu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only with personal, local government, or local community efforts.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 visitors of the heritage areas must find a way together.
Storytelling and branding must be considered very important factors when it comes to national important fishery heritage properties. Local governments have their own brands and characters, and they are continuing to create new characters today as they think abou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ir regions and how to utilize them. They are creating brands and characters from their unique imageries to breathe new life into their regions. For the imageries to be connected to the national important fishery heritage properties or fishery heritage sites, they must be planned in advance. Furthermore, it is important for the various storytelling factors of a fishery heritage site to be integrated, linked, and incorporated into a brand or character, in order to evolve a simple, sightseeing fishery heritage tourism site into an experience-based tourism site where tourists can understand and experience the story of the region.
This essay presents examples of branding the Boseong Tidal Flats heritage property with storytelling, and we must not only plan, but also apply and put it into practice to promote the tourism of the Korea Important Fisheries Heritage properties. Also, this essay seeks to maximize tourism revitalization in connection with the tourist sites around Boseong-gun. |우리나라가 세계중요농업유산시스템(GIAHS)에 기반해 국가중요어업유산제도를 마련한 것은 2013년이다. 최근까지 국가중요어업유산 7개소가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어업유산은 해양수산부가 부활되면서 농업유산에 포함되어 있던 어업유산을 분리해 추진주체를 명확히 하면서 해녀, 죽방렴, 뻘배어업 그리고 염전 등이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제사회는 미래가치로 평가되는 생물다양성과 문화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이 전통지식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생물다양성, 생태계서비스, 문화다양성, 전통지식 등 도시화와 산업화 그리고 난개발로 사라지거나 사라질 위기에 놓인 가치를 복원하고 보전하기 위한 국가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중 하나가 국가중요농어업유산제도이다.
국가중요농업유산과 마찬가지로 국가중요어업유산도 유산을 보전하고 관리하여 후세대에 전승하는 것과 유산의 다원적 가치를 창출하여 어업유산브랜드화와 관광자원화를 목적으로 하는 활용방안까지 목적으로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중요어업유산의 보전 및 관리는 생물다양성의 증대, 생물자원 전통지식의 보호 및 활용, 생태계서비스의 가치창출과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 이는 국가중요어업유산이 추구하는 가치이며 어업유산의 목표인 전통어업기술의 지속과 유지를 위한 시스템구축 그 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보전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확장성이 매우 크다. 보성뻘배어업유산은 지역의 독특한 갯벌과 바다의 이용과 어업문화, 어업어촌경관, 염생식물과 해양동식물의 다양성 등 어업시스템을 보전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통해 어업과 어촌활성화를 이루고자 국가중요어업유산지정을 신청하여 2015년 지정되었다.
국가중요어업유산은 전통적 어업활동과 그 결과로 나타난 해양경관, 해양문화, 어업활동 등 모든 산물을 말하며, 어민들이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삼아 생태적 환경에 적응해오는 과정에서 형성되고 진화해 온 것이다.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인정을 받으려면 전통어업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어야 하며 전통어업이나 전통지식이 지속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국가중요어업유산의 지정범위는 전통적 어업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핵심적 지역과 전통어업활동으로 형성된 범위의 공간이 포함되며 바다는 물론 해양 동식물이 서식하는 곳을 모두 포함한다. 어업유산이 특정 어법이나 관련 장소를 지정하지만, 무엇보다 전승자의 유무와 지속가능성이 중요하다. 국가중요어업유산에서 전남지역은 갯벌어업의 비중이 큰 곳이며, 뻘배는 갯벌에서 이동과 수송의 역할을 하는 중요한 어업도구이다. 따라서 이 두 요소를 관광활성화의 흥미를 끌어내는 가치로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 또한 보성뻘배어업은 국가습지정책과 밀접하게 연결되고 대부분 공동마을어업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곳은 연안습지에 해당된다. 특히 갯벌과 연안습지의 뻘배어업은 마을어업공동체의 공간으로 중요하다. 이곳은 현재 습지보호지역, 람사르습지,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 갯벌세계유산 등 다양한 해양보호구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국가중요어업유산 관광활성화 추진전략을 수립할 때도 해양생태자원의 보전전략과 맥락을 같이하는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국가중요어업유산지역의 가치나 관광활성화를 위한 활용에서 어업가치를 포함한 해양문화보전과 활용정책은 매우 미흡하다. 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은 물론 어민들마저도 어업유산에 대한 인식과 홍보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심지어 해당지역 주민들도 어업유산을 알지 못하며, 알고 있더라도 국가나 지자체 주도로 어업유산을 정책사업의 하나 정도로 인식할 뿐이다. 따라서 보성뻘배어업유산의 보전과 활용은 어업문화와 어민의 삶에서 시작되어야 하며 연안습지와 어장의 생태계를 유지하는 일이다. 이는 어업인의 소득과 수산물을 소비하는 소비자, 어업유산관광이나 해양문화관광객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어야 한다. 어업인은 지속가능한 어업활동, 소비자는 어업유산의 가치를 존중하는 소비와 어업유산지역에서 생태환경을 훼손하지 않는 여행을 하는 활동의 출발을 어업유산 특히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된 지역에서 시작해야 한다. 또한 청산도 구들장논이나 제주 밭담처럼 국가중요어업유산도 세계농업유산으로 등재를 추진하여야 하며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노력과 주민들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더불어 어업유산의 전수를 위한 인력양성프로그램이 추진이 필수적이다. 보성뻘배어업의 경우 뻘배의 구조와 원리 그리고 제작 기술이 전승되어야 하는데 이는 개인이나 지자체의 힘으로 유지하기 어려우며 지역주민의 힘만으로는 어렵다. 국가와 지자체의 지원, 그리고 유산지역 방문객과 함께 그 방법을 찾아야 한다.
국가중요어업유산에 있어서 스토리텔링과 브랜드화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어야 한다. 지자체가 자신들만의 브랜드나 캐릭터를 보유하고 있고 지금도 새로운 캐릭터를 계속해서 만들어내고자 하는 것은 지역적인 특성과 활용방안을 고민하고 지역이미지로 브랜드와 캐릭터를 만들어 그에 생명력을 불어넣고자 함이다. 국가중요어업유산 또한 어업유산지역이 가진 이미지가 연계되도록 사전에 기획되어야 하며 특히 더 나아가 어업유산지역이 가진 다양한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연계시켜 이를 브랜드 및 캐릭터와 접목함으로써 어업유산관광이 단순한 보기형태의 관광에서 진화하여 지역 속에 담긴 스토리를 경험하고 느낄 수 있는 체험형태의 관광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보성뻘배어업유산의 스토리텔링에 기반을 둔 브랜드화의 예시를 제시하였고 단순한 계획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실제에 적용하고 활용하여 국가중요어업유산의 관광활성화를 이루어야 한다. 또한 보성군의 주변 관광지와 연계시켜 관광활성화의 극대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 Alternative Title
- Tourism Revitalization Plan by Branding the Korea Important Fisheries Heritage System
- Alternative Author(s)
- Jeng, Jae Hoon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 Advisor
- 김남훈
- Awarded Date
- 2020-08
- Table Of Contents
- 표차례 ⅴ
그림차례 ⅶ
국문초록 ⅸ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목적 2
2. 연구범위와 방법 4
2.1. 연구의 범위 4
2.2. 연구의 방법 5
Ⅱ. 이론적 고찰 7
1. 국가중요어업유산의 본질 7
1.1. 국가중요어업유산의 개념 및 기능 7
1.2. 국가중요어업유산 세계농업유산등재의 필요성 14
1.3. 국가중요어업유산의 등록 기준 21
1.4.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범위 24
1.5.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현황 26
2. 국가중요어업유산등록 효과 및 활용 35
2.1. 국가중요어업유산등록의 가치 35
2.2. 어업유산의 관리와 진정성 보존 36
2.3. 체험관광의 활용가치 38
2.4. 국가중요어업유산의 지속가능한 활용방안 42
3. 국가중요어업유산등록의 관광상품화 46
3.1. 관광상품화 방향설정 46
3.2. 관광상품화 목표 47
3.3. 문화유산을 활용한 관광활성화 사례 48
Ⅲ. 갯벌과 보성 뻘배어업의 일반현황 52
1. 갯벌의 특성과 가치 52
1.1. 갯벌의 특성과 분포 52
1.2. 갯벌의 가치 59
1.3. 바덴 해 연안 갯벌의 개발과 보전 사례 66
2. 보성뻘배어업의 일반적 가치 71
2.1. 뻘배의 유래와 명칭 71
2.2. 뻘배의 이용 및 제작방법 72
2.3. 보성벌교꼬막 주산지 형성 및 명성 75
Ⅳ. 보성뻘배어업의 관광상품화 방안 77
1. 보성뻘배어업 관광상품화 방향성 77
1.1. 사회 문화적 분야 77
1.2. 교육적 가치 분야 80
1.3. 관광적 가치 분야 81
2. 관광인프라 구축 및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82
2.1. 보성뻘배 스토리텔링 개발 83
2.2. BI개발 및 캐릭터 개발 87
2.3. 보성뻘배 체험·교육프로그램 개발 99
2.4. 보성뻘배 관광기념품 및 문화상품 개발 108
2.5. 주변 관광자원과의 연계 117
2.6. 보성뻘배어업의 세계중요농업유산등재 추진 120
Ⅴ. 결론 및 제언 121
참고문헌 125
ABSTRACT 128
- Degree
- Docto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정재훈. (2020). 국가중요어업유산의 브랜드화를 통한 관광활성화방안.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27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41265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20-08-28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