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관객 참여의 예술적 의의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유나
Issued Date
2020
Keyword
인터랙티브 아트, 관객 참여, 존 듀이, 상호작용, 미적 경험, 예술적 의의
Abstract
인터랙티브 아트(Interactive art)에서 관객은 관조자에서 행위자로 역할이 변화한다. 인터랙티브 아트란 작품을 구성하는 행위자의 역할을 감상자에게 제시되는 형식의 예술이다. 즉, 인터랙티브 아트는 관객과 작품이 소통하는 구조를 가진다.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관객의 경험은 작품의 의미가 된다. 작품 안에서 관객의 경험은 개인과 작품이라는 환경 안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나타난다. 그리고 그 경험은 참여와 소통을 통해 작품을 완성하는 요소가 된다. 이는 과거에 예술가의 경험을 토대로 작품이 완성되었던 것과는 달리, 관객이 작품과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작품의 본질 혹은 의미를 찾아 작품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인터렉티브 아트에서 ‘관객 참여에 의한 경험의 의미가 예술적 의의를 지닐 수 있는가’라는 문제의 해결을 목표로 한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존 듀이의 ‘경험이론’을 활용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관객 참여를 통해 얻는 경험에 대하여 분석하기 위해 존 듀이의 이론을 토대로 설명한다. 1절에서는 과거 서구철학에서 말하는 경험의 의미와 존 듀이가 주장하는 경험의 의미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 존 듀이의 ‘경험이론’에서 핵심이 되는 '하나의 경험'에 대해서 다룬다. 2절에서는 존 듀이가 주장한 예술과 '미적 경험'이 과거 서구철학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알아보고, 존 듀이가 주장하는 '미적 경험'에 대해 규명 한다. 즉, 이 장에서는 '하나의 경험과 미적 경험 사이의 관계'와 '미적 경험'의 차별화된 특징이 무엇인지 논의한다.
3장에서는 인터랙티브 아트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존 듀이의 경험이론을 인터랙티브 아트에 적용하여 예술적 가치를 규명한다. 1절에서는 현대 예술에서 상호작용이 어떻게 발생했는지 고찰하고, 인터랙티브 아트의 대표적인 3가지의 특징인 공간, 인터페이스, 관객의 역할을 설명한다. 2절에서는 인터랙티브 아트를 존 듀이의 관점에서 해석하여, 인터랙티브 아트가 예술적 의의를 지닐 수 있음을 규명한다. 그리고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 중에서 토니 도브(Toni Dove), 올라퍼 엘리아슨(Olafur Eliasson), 모리스 베나윤(Mourice Benayoun)의 작품을 존 듀이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존 듀이의 ‘미적 경험’은 예술작품으로서 완성하는 경험이다. 존 듀이는 예술작품을 완성하는 것은 예술가만이 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관객이 작품을 이해하고 자신만의 경험으로 재창조해야 예술작품(work of art)으로서 인정받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논문에서 주장하는 인터랙티브 아트는 작가가 작품 안에 사회적, 문화적, 개인적인 내용을 담고 있고, 관객이 작품 안의 의미나 본질에 대해 깊이 있는 탐구를 하여 작품을 완성한다. 이 과정 안에서 관객은 질성적 사고에 의해 작품을 완성하는 ‘미적 경험’을 하기에 인터랙티브 아트가 예술적 의의를 지닐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Interactive art is a form of art that encourages spectators to play the roles of actors in the presentation of work. That is, it allows the audience to change their role from observer to actor and become a part of an artwork. This structure of interactive work between the audience and artwork is the essence of interactive art.
The audience experience is the meaning of interactive artwork. In artworks, the audience experience occurs as a result of interactive environment between individuals and artwork. Furthermore, such experiences become elements that complete the artwork through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Unlike traditional art created through the artist experience, an interactive art is created when the audience engages and interacts with artwork in pursuit of its essence or meaning. In this sense, this study aims to tackle the question of whether the experiences of the audience participating in artwork can have artistic significance with reference to John Dewey's Art as Experience.
In Section 2 of this study, the participating audience's experiences are analyzed and discussed on the basis of John Dewey's theory. Clause 1 describes how the experience claimed by John Dewey is different from that defined previously in western philosophy and offers an explanation of "An experience," which is a key element of his Art as Experience. Clause 2 discusses how the "aesthetic experience" claimed by John Dewey is different from that defined previously in western philosophy and explains what "aesthetic experience" is. In other words, the author add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xper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as well as how "the latter is differentiated from the former."
In Section 3, interactive art is analyzed in details, and John Dewey's Art as Experience is incorporated in interactive art to determine artistic significance. Clause 1 provides insight into how interaction is created in contemporary art and the three essential elements of interactive arts: space, interface and the role of spectators. Clause 2 explains interactive art interpreted from John Dewey's viewpoint and suggests that the interactive art analyzed has significant value as art. To support this claim, interactive works of Toni Dove, Olafur Eliasson and Mourice Benayoun were analyzed in terms of John Dewey's theory.
His aesthetic experience refers to experiences that are complete as an artwork. John Dewey asserted that work of artists can be recognized as work of art when the audience understands and recreates it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 with the work, beyond the artists' contribution to their work. In this study, the author defined interactive art as an art form in which the artists utilize their own social, cultural and personal experiences and the audience becomes immersed into the meaning or essence of artwork for art production. During this completion process, the audience develops "aesthetic experience" derived from their qualitative thought, which lead to the conclusion that interactive art has special significance to the audience.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Artistic Significance of Audience Participation in Interactive Art -Focusing on John Dewey's theory of experience-
Alternative Author(s)
Kim Yu Na
Department
일반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
Advisor
장민한
Awarded Date
2020-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내용


제2장 존 듀이의 경험이론
제1절 과거 서구철학의 ‘경험’과 존 듀이의 ‘경험’
1. 과거 서구철학에서 나타난 ‘경험’ 의미와 존 듀이의 비판적 수용
2. 존 듀이의 상호작용과 ‘하나의 경험’

제2절 존 듀이의 예술과 ‘미적 경험’
1. 과거 서구철학의 예술에서 나타난 ‘미’ 의미와 존 듀이의 예술
2. 존 듀이의 ‘미적 경험’


제3장 존 듀이의 관점에서 본 인터랙티브 아트
제1절 인터랙티브 아트와 상호작용
1. 현대미술에 나타난 상호작용 형식의 발생
2. 인터랙티브 아트에 나타난 상호작용의 특징

제2절 존 듀이의 관점에서 본 인터랙티브 아트의 예술적 의의
1. 존 듀이의 측면에서 분석한 인터랙티브 아트
2.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관객 경험 사례분석



제4장 결론


참고문헌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유나. (2020).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관객 참여의 예술적 의의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17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79008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0-02-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