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반사회성 잠재력과 인지과정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최혜미
Issued Date
2020
Keyword
비행청소년, 비행행동, 인지과정, 반사회적 잠재력, 통합 인지적 반사회성 잠재력(ICAP) 이론,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 위계적 회귀분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long-term antisocial potential(parent attachment, impulsivity), short-term antisocial potential(angry, delinquent friend), and cognitive processes (negative cognition) on delinquent behavior using the integrated cognitive antisocial potential(ICAP) theory for juvenile delinqu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short-term antisocial potential (anger, delinquent friend) and negative cognition affect the delinquent behavior more than the long-term antisocial potential (parent attachment, impulsivity). In addition, anger was the most influential among the variables that would increase the delinquent, and delinquent friends and negative cognition were also affected. This study found that short-term antisocial potential risk factors(anger, delinquent friend) and negative cognition, or short-range causes, are more important for adolescent with slightly delinquent or early delinquent than focusing on distant causes, such as those for long-term antisocial potential(parent attachment, impulsivity). It is also important in that it reveale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s, including strategies for controlling anger and improving strength as an effective way to change delinquent and prevent delinquent.|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통합 인지적 반사회성 잠재력(ICAP) 이론을 이용하여 장기적 반사회적 잠재력(부모애착, 충동성), 단기적 반사회적 잠재력(분노, 비행친구), 인지과정(부정적 인지)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행청소년의 비행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장기적 반사회적 잠재력(부모애착, 충동성)보다 단기적 반사회성 잠재력(분노, 비행친구), 그리고 부정적 인지가 비행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행을 증가시킬 변인들 중 분노가 가장 영향력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행친구와 부정적인 인지 또한 비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경미한 비행이나 초기비행을 하는 청소년들에게는 장기적 반사회적 잠재력의 요인(부모애착, 충동성)과 같은 원거리 원인에 초점을 두는 것 보다 단기적 반사회적 잠재력 위험 요인(분노, 비행친구) 그리고 부정적 인지, 즉 근거리 원인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비행행동을 변화시키고 비행의 재범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분노를 조절하고 강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들을 포함한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Alternative Title
The Influence of Antisocial Potential and Cognitive Process on Delinquent Behavior : Focusing on the Integrated Cognitive Antisocial Potential Theory
Alternative Author(s)
Choi, Hye Mi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상담심리학과
Advisor
권해수
Awarded Date
2020-02
Table Of Contents
목 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장 이론적 배경 4
제1절 비행이론 4
1. 생애과정이론과 잠재적특성이론 4
2. 사회유대이론 5
3. 일반긴장이론 6
4. 차별접촉/사회학습이론 7
5. 인지과정/사회인지이론 9
제2절 통합 인지적 반사회성 잠재력 이론 10
1. 개관 10
2. 장기적 반사회성 잠재력 13
가. 부모 애착 13
나. 충동성 14
3. 단기적 반사회적 잠재력 15
가. 분노 15
나. 비행친구 16
4. 부정적 인지 17
5. 비행행동 18

제3장 연구방법 19
제1절 연구모형 19
제2절 연구문제 20
제3절 주요변수 및 측정도구 21
1. 장기적 반사회적 잠재력 21
가. 부모 애착 척도 21
나. 충동성 척도 22
2. 단기적 반사회적 잠재력 22
가. 분노 척도 22
나. 비행친구 척도 23
3. 부정적 자동적 사고 척도 23
4. 비행척도 24
제4절 자료의 수집과 분석방법 25

제4장 연구결과 26
제1절 표본의 특성 26
제2절 주요변수의 상관관계 28
제3절 가설의 검증 29
1. 비행청소년의 장기적 반사회적 잠재력, 단기적 반사회적 잠 재력, 인지과정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29

제5장 결론 31
제1절 요약 31
제2절 논의 및 시사점 33
제3절 의의 36
제4절 제언 37



참고문헌 38
부록 51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최혜미. (2020). 반사회성 잠재력과 인지과정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13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78931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0-02-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