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청년의 괜찮은 일자리 취업의 영향요인에 관한 지역 간 비교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지우
Issued Date
2019
Abstract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mployment of young people

- Focusing on 17 cities and provinces -

LEE, Ji Woo
Advisor: Prof. Jeong, Seong bae, Ph. D.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of young people and to find out the policy implications and to find out the social welfare data for promoting the decent jobs of young people after analyzing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metropolitan cities and 17 cities and provinces. hav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19 years old to 34 years old as young people and analyzed 5,353 jobs of good jobs.
The study area was compared with the metropolitan cities (Gwangju, Daegu, Daejeon, Busan, Seoul, Incheon, Ulsan) and metropolitan areas (Gangwon, Gyeonggi, Gyeongnam, Gyeongbuk, Sejong, Jeju, Jeonnam, Jeonbuk, Chungnam, 17 cities and provinces (Gangwon, Gyeonggi, Gwangju, Gyeongnam, Gyeongbuk, Daegu, Daejeon, Busan, Seoul, Sejong, Ulsan, Incheon, Jeju, Jeonnam, Jeonbuk, Chungnam, Chungbuk).
Implications for young people 's decent job influence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social sciences,social sciences, natur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were the major influential factors in the demographic factors, and that the arts and science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decent jobs. The university believes that the role of each university is important for young people to get a good job, and each university proposes a career improvement plan and a career support program curriculum for each major.
Second, household income of less than 2 million w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family environment factors, and it is noted that the family economic support has a high effect on decent jobs. Suggest a family support program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for a decent job placement for young people.
Third, I would like to pay attention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were employment related factors or internship experiences. Suggests the policies for acquiring qualifications for each local government and the internship program policy for local companies to participate in for a decent job placement for young people.
The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metropolitan city and metropolitan area are as follows.
First, 54% of the municipalities (Gwangju, Daegu, Daejeon, Busan, Seoul, Incheon, Ulsan) had a decent job placement rate compared to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and family support with family economic support. It is suggested that the internship support system be implemented.
Secondly, there were 46% of the employment rates in the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Gangwon, Gyeonggi, Gyeongnam, Gyeongbuk, Sejong, Jeju, Jeonnam, Jeonbuk, Chungbuk and Chungnam) and gender quota system was needed. shall. The certification requires a career success system for each job, and suggests an internship system that utilizes the intern experience.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decent job influence factors of youth on the 17 cities and provinces that are the core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Gangwon area, the employment rate of good jobs is 3.7% of the national average, and gender equality policies such as the female employment quota system should be specifically set up, and employment strategies should be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majors. In addition, we need a system to support customized certification acquisition for each company, and suggest a policy to support youth in Gangwon area for intern experience rather than cash support such as youth allowance.
Second, in the Gyeonggi area, the employment rate of a decent job is 12.7% of the national average, and there should be a gender quota system that is not restricted to gender, and a job search allowance and a youth support system should be provided for the family economic support. It also suggests a system that will help companies to lead certification, internship experience, and vocational training.
Third, in the case of Gwangju, the rate of employment was 2.9% of the national average, and education support and stable financial resources were needed as employment support system for the government, and language training and vocational training were the only differentiated employment support policies Suggest.
Fourth, in the case of Kyongnam area, the rate of employment of a good job was 5.4% compared to the whole of the nation, and Kyungnam area proposes to institutionalize a youth-specific customized program.
Fifth, in Gyeongbuk province, 6.7% of the nation's employment rate was good, and the employment modeling education for each major was made possible. In the university education, career goals, language training, job training, job training courses, Suggest a Gyeongbuk youth employment system as a resource.
Sixth, in Daegu region, the rate of employment of a decent job was 4.3% compared to the national average. In order to improve the employment system without discrimination on gender, raise the household income, Internship support system.
Seventh, in the case of Daejeon region, the rate of employment is 4.7% of the national average, and it provides employment goal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and suggests job training for local youth job support system.
Eighth, In Busan area, 9.6% of the employment rate is good for the job. Based on the gender and language training methods, it is recommended to provide tailored support for the youth in Busan.
Ninth, in Seoul, 27.5% of the nation's employment rate is the highest, and the female employment support program is designed and developed through analyzing the needs of women, and the language training, vocational training, Suggest that the program be prepared.
In the tenth and the Sejong area, the rate of employment of a decent job was 1.0% of the national average, and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develop a career program for each major by major.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government plan the youth employment policy system and propose specialized employment support for Sejong area only.
For the 11th time, Ulsan has a good job hiring rate of 1.5% of the national average, suggests vocational training to be used for practical work, and suggests more realistic job opportunities and employment success programs using local industrial resources.
In the twelfth, Incheon area, the rate of decent employment was 3.5% of the national average, and women's unemployed female employment support system is needed and local companies propose a youth employment incentive system.
For the third time in the Jeju region, the rate of a decent job placement was 0.6% of the national average, and a tailor-made employment system for each major in the region is required. The proposed employment target is an efficient youth employment strategy system.
Fourth, in Jeonnam region, 2.2% of the nationwide employment rate is good, and qualification and job training in the government and regional job hunting period.
Fifteenth, in Jeonbuk, the rate of employment was 3.8% of the national averag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research employment support programs for young people at the local and government levels and to provide family support in the area. Language training and vocational training propose job-success programs in schools and businesses.
Sixteenth, in the Chungcheong area, 5.8% of the nation's employment rate was good, suggesting a job-success package system that includes the promotion of local quotas, development of language support programs, and job training.
In the 17th, Chungbuk province, 4.1% of the nation's employment rate is good, and the government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should expand the financial resources to support the job-seeking incentives of young people and activate the vocational training and institutionalize it as a job training cours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s follows.
First, we expect that future research will be conducted by dividing the age range of the study subjects into early young, middle young, and late younger subjects.
Second, we expect future research tha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by middle school graduates, high school graduates, and college graduates.
Third, we expect future studies to apply various social factors such as local economy, unemployment rate, economic growth rate, self-reliance, and minimum wage increase rate. We also expec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in-depth interviews and interviews to identify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young people.

Key words: youth, Employment, A decent job, 17 cities and provinces, Region comparison,| 본 연구는 청년의 괜찮은 일자리 취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광역시·도와 17개 시·도 지역 간 비교 분석 후 청년의 괜찮은 일자리 취업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복지 자료 확보와 정책적 시사점을 찾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만 19세 이상부터 34세까지를 청년으로 선정하여 괜찮은 일자리 취업자 5,353명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대상 지역은 광역시(광주, 대구, 대전, 부산, 서울, 인천, 울산)·광역도(강원, 경기, 경남, 경북, 세종, 제주, 전남, 전북, 충남, 충북)를 비교 분석하고, 17개 시·도(강원, 경기, 광주, 경남, 경북, 대구, 대전, 부산, 서울, 세종, 울산, 인천, 제주, 전남, 전북, 충남, 충북) 지역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청년의 괜찮은 일자리 영향요인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세가지 요인별로 제시하겠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전공은 사회계열, 교육계열, 자연계열, 의학계열이 높은 영향요인이었고, 예체능계열이 괜찮은 일자리에 가장 높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는 본 연구결과가 주목한다. 청년의 괜찮은 일자리 취업을 위해 각 대학의 역할이 중요할 것으로 보고, 각 대학은 전공별 취업 증진계획과 취업지원프로그램 교육과정 마련을 제언한다.
둘째, 가정환경 요인 중 가구소득은 200만원미만이 높은 영향요인이었고, 가족경제지원이 있는 경우 괜찮은 일자리에 높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는 본 연구결과에 주목한다. 청년의 괜찮은 일자리 취업을 위해 중앙정부차원에서 가족지원프로그램 마련을 제언한다.
셋째, 취업관련 요인 중 자격증이 있거나 인턴경험이 있는 경우 가장 높은 영향요인이었다는 본 연구결과에 주목하고자 한다. 청년의 괜찮은 일자리 취업을 위해 각 지역자치단체별 자격증 취득정책과 지역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인턴프로그램 정책마련을 제언한다.

청년의 괜찮은 일자리 취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광역시와 광역도 분석결과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광역시(광주, 대구, 대전, 부산, 서울, 인천, 울산)괜찮은 일자리 취업률이 광역시·도 대비 54%이었고, 가족경제지원이 있는 가족지원으로 취업성공 구직수당과 인턴경험이 미래직업으로 할 수 있도록 인턴지원제도가 실행되기를 제언한다.
둘째, 광역도(강원, 경기, 경남, 경북, 세종, 제주, 전남, 전북, 충북, 충남)괜찮은 일자리 취업률이 광역시·도 대비 46%이었고, 성별할당제가 필요하고, 전공계열별로 취업전략을 구성하여야 한다. 자격증은 직업별 취업성공제도가 필요하고, 인턴경험을 활용한 인턴맞춤제도로 제언한다.

본 연구 핵심인 17개 시·도 지역에 대한 청년의 괜찮은 일자리 영향요인에 대해 시사점 및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겠다.
첫째, 강원 지역의 경우 괜찮은 일자리 취업률이 전국대비 3.7%이었고, 여성취업할당제와 같은 양성평등정책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하고, 다양한 전공별 특성에 맞는 취업전략 또한 제시되어야 한다. 또한, 각 기업에 맞는 맞춤형자격증 취득 지원을 위한 제도가 필요하고, 청년수당과 같은 현금성 지원보다 인턴경험을 위한 강원지역 청년지원정책을 제언한다.
둘째, 경기 지역의 경우 괜찮은 일자리 취업률이 전국대비 12.7%이었고, 성별에 제한 없는 성별할당제를 추진하여야 할 것이고, 가족경제지원을 위한 청년의 구직수당과 청년지원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자격증, 인턴경험, 직업훈련을 기업에서 주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 마련을 제언한다.
셋째, 광주 지역의 경우 괜찮은 일자리 취업률이 전국 대비 2.9%이었고, 정부에 경제지원으로 교육지원과 안정적인 재원이 취업지원제도로 필요하고, 어학연수와 직업훈련을 광주 지역만의 차별화된 취업지원정책으로 제언한다.
넷째, 경남 지역의 경우 괜찮은 일자리 취업률이 전국 대비 5.4%이었고, 경남 지역은 특별히 청년의 자격증 맞춤형프로그램을 제도화 할 수 있도록 제언한다.
다섯째, 경북 지역의 경우 괜찮은 일자리 취업률이 전국 대비 6.7%이었고, 전공별 취업모델링교육이 할 수 있도록 하고, 대학교육에 취업목표, 어학연수, 직업훈련이 취업직무교육과정과 경북 지역내 산업단지, 대학자원으로 경북청년취업제도를 제언한다.
여섯째, 대구 지역의 경우 괜찮은 일자리 취업률이 전국 대비 4.3%이었고, 성별에 차별없는 양성취업제도, 가구소득을 높이고, 인턴경험을 정부와 지역차원에 지역지원정책을 하기 위해 기업이 대구 지역만의 차별된 인턴지원제도를 제언한다.
일곱째, 대전 지역의 경우 괜찮은 일자리 취업률이 전국 대비 4.7%이었고, 청년 특성에 적합한 취업목표와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직업훈련을 지역내 청년직업지원제도 마련을 제언한다.
여덟째, 부산 지역의 경우 괜찮은 일자리 취업률이 전국 대비 9.6%이었고, 지역 실정에 맞춰 성별, 어학연수 방법을 고려하여 부산 지역 청년의 취업맞춤지원을 제언한다.
아홉째, 서울 지역의 경우 괜찮은 일자리 취업률이 전국 대비 가장 높은 27.5%이었고, 여성의 취업요구 분석을 통해 여성취업지원프로그램을 설계, 개발하고, 어학연수, 직업훈련, 인턴경험이 서울 지역만의 취업특화 프로그램으로 마련하기를 제언한다.
열번째, 세종 지역의 경우 괜찮은 일자리 취업률이 전국 대비 1.0%이었고, 대학 전공별 취업프로그램을 전공계열별 설계와 개발이 필요하다. 지역과 정부는 청년취업정책제도을 계획하고, 세종 지역만의 특성화된 취업지원을 제언한다.
열한번째, 울산 지역의 경우 괜찮은 일자리 취업률이 전국 대비 1.5%이었고, 직업훈련이 실제 업무에 활용하도록 하고, 지역내의 산업자원을 이용하여 보다 현실적인 취업기회와 취업성공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열두번째, 인천 지역의 경우 괜찮은 일자리 취업률이 전국 대비 3.5%이었고, 여성의 차별없는 여성취업지원제도가 필요하고, 지역내 기업이 청년취업장려금제도를 제언한다.
열세번째, 제주 지역의 경우 괜찮은 일자리 취업률이 전국 대비 0.6%이었고, 지역내 전공계열별 취업맞춤제도가 필요하고, 취업목표가 효율적인 청년취업전략제도로 제언한다.
열네번째, 전남 지역의 경우 괜찮은 일자리 취업률이 전국 대비 2.2%이었고, 정부와 지역내 구직시기에 자격과 직업훈련을 취업청년정책으로 전남 지역에 맞는 개인별 청년취업특화제도를 제언한다.
열다섯번째, 전북 지역의 경우 괜찮은 일자리 취업률이 전국 대비 3.8%이었고, 지역과 정부차원에 청년의 취업지원프로그램 개발과 연구을 하고, 지역내 가족지원이 필요하다. 어학연수와 직업훈련이 학교, 기업에서 취업성공프로그램을 제언한다.
열여섯번째, 충남 지역의 경우 괜찮은 일자리 취업률이 전국 대비 5.8%이었고, 지역내 여성할당제 추진, 어학지원프로그램 개발, 직업훈련 등을 포함하는 취업성공패키지제도를 제언한다.
열일곱번째, 충북 지역의 경우 괜찮은 일자리 취업률이 전국대비 4.1%이었고, 지역에 정부가 재원을 확대하여 청년들의 구직장려금 지원하고, 직업훈련을 활성화하여 취업직무교육 과정으로 제도화하기를 제언한다.

본 연구의 한계 및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연령별 범위를 청년 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하여 각 대상별 분석을 실시하는 향후 연구를 기대한다.
둘째, 중졸, 고졸자, 대졸자 외 청년 대상으로 하여 취업 특성을 분석한 향후 연구를 기대한다.
셋째, 향후의 연구에는 지역경제, 실업률, 경제성장률, 자립도, 최저임금인상률 등과 같이 다양한 사회적 요인을 적용한 연구를 기대한다. 또한, 청년 개인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심층면접, 인터뷰와 같은 질적연구방법도 기대한다.
Alternative Title
- 17개 시·도 중심으로
Alternative Author(s)
Lee jiwoo
Department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Advisor
정성배
Awarded Date
2019-08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목적 1
제 2 절 연구범위 및 방법 5
1. 연구범위 5
2. 연구방법 7

제 2 장 이론적 배경 8
제 1 절 청년의 괜찮은 일자리 8
1. 청년의 개념과 특성 8
2. 청년의 괜찮은 일자리 개념 13
3. 청년의 괜찮은 일자리 구성요소 16
제 2 절 청년의 괜찮은 일자리 취업 이론 20
1. 인적자본 이론 20
2. 통계적 차별 이론 22
3. 지위획득 이론 23
4. 사회연결망 이론 24
제 3 절 청년의 괜찮은 일자리 취업 영향요인 26
1. 인구사회학적 요인 26
2. 가정환경 요인 29
3. 취업관련 요인 33
제 4 절 선행연구 40
1. 선행연구 동향 40
2. 선행연구 평가 : 지역 간 비교 연구 필요성 51

제 3 장 연구설계 53

제 1 절 연구모형 53
제 2 절 분석자료 및 연구대상 55
1. 분석자료 55
2. 연구대상 56
제 3 절 변수의 조작화 및 측정방법 57
1. 독립변수 57
2. 종속변수 60

제 4 장 분석결과 63

제 1 절 연구대상의 특성 63
1. 인구사회학적 요인 63
2. 가정환경 요인 64
3. 취업관련 요인 65
4. 괜찮은 일자리 취업 65
제 2 절 청년의 괜찮은 일자리 취업의 영향요인 68
1.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관계 분석 68
2. 영향요인 분석 71
제 3 절 광역시·도와 17개 시·도 지역분석 73
1. 광역시·도 분석 73
2. 17개 시·도 지역분석 75
제 4 절 분석결과 논의 101
1. 영향요인 분석결과 논의 101
2. 광역시·도 분석결과 논의 103
3. 17개 시·도 지역 분석결과 논의 104

제 5 장 결론 120

제 1 절 시사점 및 제언 120
제 2 절 향후 연구방향 127

[참고문헌] 128
[부록] 설문지 사본 142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지우. (2019). 청년의 괜찮은 일자리 취업의 영향요인에 관한 지역 간 비교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00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7530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9-08-2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