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사안경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련성: 소진의 매개효과
- Author(s)
- 이경훈
- Issued Date
- 2019
- Abstract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d optician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3 empolyed opticians who were working in Gwangju City and Jeollanam-do and were interviewed from January 1 to February 28,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with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validation.
Results: First, the mean scores of job stres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were 2.18±0.30 (4 points scale), 2.61±0.51 (5 points scale) and 2.87±0.77 (5 point scale) respectively. Second, in univariate analysis, the scores of turnover inten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age, marital status, religion, working area, subjective health status, sleeping time, work period in present optical shop and monthly income. Third,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turnover inten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s with job stress and burnout, and job str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Four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job stress (B=.740, p<.001) and burnout (B=.549, p<.001) were found to b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Fifth, the results of the mediating effect test showed that the burnout had a mediating effect 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Z=8.111, p<.001).
Conclusion: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job stress of the employed opticians affected turnover intention and burnout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o manage job stress and burnout as a way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d opticians. | 본 연구는 안경원에 재직 중인 종사안경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있어 소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9년 1월 1일부터 2019년 2월 28일까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안경원에 재직 중인 안경사 393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자료는 SPSS versio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분산분석, 피어슨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종사안경사의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2.18±0.30점(4점 척도), 소진은 평균 2.61±0.51점(5점 척도), 이직의도는 2.87±0.77점(5점 척도)이었다. 둘째, 단순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 결혼여부, 종교유무, 근무지역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건강관련 특성 중 주관적 건강상태, 수면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직업관련 특성 중 근속기간, 월 급여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상관분석 결과 이직의도는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소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B=.740, p<.001)와 소진(B=.549, p<.001)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연구대상자의 특성 중 근속기간(B=.346, p<.001), 수면시간(B=.330, p=.005), 연령(B=.303, p=.005), 주관적 건강상태(B=.205, p=.026), 근무지역(B=.160, p=.009)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51.2%이었다. 다섯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소진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8.111, p<.001).
본 연구에서 종사안경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소진은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종사안경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고, 안경원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방안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 Alternative Title
-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mployed Opticians: The Mediation Effect of Burnout
- Alternative Author(s)
- Lee, Kyung Hun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Advisor
- 류소연
- Awarded Date
- 2019-08
-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II. 연구대상 및 방법 5
A. 연구대상 및 자료 5
B. 연구도구 6
C. 분석방법 11
Ⅲ. 연구 결과 13
A. 연구대상자의 특성 분포
1. 인구사회학적 특성 13
2. 건강관련 특성 15
3. 직업관련 특성 17
4. 직무스트레스, 소진, 이직의도의 수준 19
B.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
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 21
2.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 23
3.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 25
C. 직무스트레스, 소진, 이직의도의 상관관계 27
D.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9
E.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 31
IV. 고찰 33
Ⅴ. 요약 및 결론 40
참고문헌 41
부록 48
- Degree
- Docto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이경훈. (2019). 종사안경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련성: 소진의 매개효과.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00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7515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9-08-23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