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공동체의식과 삶의 만족도에 대한 종단연구-또래의사소통과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 Author(s)
- 김현주
- Issued Date
- 2019
- Abstract
- A Longitudinal Study on Adolescent’s Community Consciousness and Life Satisfaction us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Mediating Effects of Peer Communication & Career Identity -
Hyun-Joo, Kim
Advisor: Prof. Hwie-Seo Park, Ph.D.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 community consciousness, life satisfaction, peer communication, career identity and gender difference. For the analysis, the data of 1989(male 1008, female 981) from the middle school grade 1 panel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from Year 3(middle school grade 3) through to Year 6(high school grade 3) were used, for which a Longitudinal Latent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The analysis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was a variation among the students to the initial status of life satisfaction, community consciousness, peer communication, and career identity, and the status showed stable changes. Except for community consciousnes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itial status and the growth change rate of life satisfaction, peer communication, and career identity: the adolescents with higher initial status tended to show a slower growth change rate, whereas those with lower initial status showed a rapid growth change rate.
Second, the analysis found a positive correlation effect of the initial status of community consciousness on that of peer communication and career identity, and a positive correlation effect of the initial status of peer communication and career identity on that of life satisfaction. This suggested that the middle school grade 3 students with a higher community consciousness tended to have a higher peer communication and career identity, and students with a higher peer communication and career identity tended to have a higher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effect of the growth change rate of community consciousness on that of peer communication and career identity, and a positive correlation effect of the growth change rate of peer communication and career identity on that of life satisfaction. This implied while students grow from the middle school grade 3 to the high school grade 2, the higher the growth change rate of community consciousness was, the higher that of peer communication and career identity was, and so was that of life satisfaction.
Third, the study found following mediation effect of adolescent peer communication and career identity in between adolescent community consciousn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initial status of peer communic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in between that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at of life satisfaction, and the growth change rate of peer communic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in between that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at of life satisfaction. The initial status of career identity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between that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at of life satisfaction, and the growth change rate of career identity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between that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at of life satisfaction.
Fourth, the results found a significantly(P<.01) different effect of the initial status of community consciousness on that of career identity between the two genders.
Keywords:
Adolescents, Longitudinal Study, Life Satisfaction, Community consciousness, Career Identity, Peer Communication, Latent Growth Model,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Mediating Effect, Comparative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공동체의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또래의사소통과 진로정체감의 종단매개효과와 성별 집단 간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KCYPS(한국아동·청소년패널) 중1패널자료의 3차∼6차(중3∼고3)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표본으로 선택된 청소년 1989명(남 1008명, 여 981명)을 대상으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을 적용한 종단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삶의 만족도, 공동체의식, 또래의사소통, 진로정체감 각 변수들 모두 초기수준에 있어 개인차가 있고 안정적으로 성장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공동체의식을 제외한 삶의 만족도, 또래의사소통, 진로정체감은 초기값과 변화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여 초기 수준이 높은 청소년들은 성장변화속도가 완만히 이루어지고 초기 수준이 낮은 청소년들은 성장변화가 급격히 이루어지며 다양한 개인차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공동체의식 초기값은 또래의사소통과 진로정체감 초기값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또래의사소통과 진로정체감 초기값은 삶의 만족도의 초기값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중3 시기 공동체의식이 높은 청소년들은 또래의사소통과 진로정체감의 수준이 높고 또래의사소통과 진로정체감의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다. 공동체의식 변화율은 또래의사소통과 진로정체감 변화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또래의사소통과 진로정체감 변화율은 삶의 만족도의 변화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중3부터 고2까지 청소년들이 성장하는 동안 공동체의식의 성장변화가 클수록 또래의사소통과 진로정체감의 성장변화가 크며 또래의사소통과 진로정체감의 성장변화가 클수록 삶의 만족도의 성장변화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공동체의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또래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또래의사소통 초기값은 공동체의식 초기값과 삶의 만족도 초기값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으며 또래의사소통 변화율 또한 공동체의식 변화율과 삶의 만족도 변화율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공동체의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진로정체감 초기값은 공동체의식 초기값과 삶의 만족도 초기값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고 진로정체감 변화율 또한 공동체의식 변화율과 삶의 만족도 변화율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따라서 청소년의 공동체의식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또래의사소통과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잠재성장모형에서의 성별 집단 간 비교를 위해 집단별 차이 유의성 검증 결과 공동체의식의 초기값이 진로정체감 초기값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미하게(P <.01) 남 여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라 청소년들의 초기 공동체의식의 수준이 초기 진로정체감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알 수 있다.
- Alternative Title
- A Longitudinal Study on Adolescent’s Community Consciousness and Life Satisfaction us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Mediating Effects of Peer Communication & Career Identity
- Alternative Author(s)
- Hyun-Joo, Kim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Advisor
- 박희서
- Awarded Date
- 2019-08
-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제1절 연구목적 1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3
1. 연구범위 3
2. 연구방법 4
제 2 장 이론적 배경 5
제1절 삶의 만족도 5
1. 삶의 만족도의 의의 5
2. 삶의 만족도의 주요이론 6
3. 삶의 만족도의 영향요인 15
제2절 공동체의식 17
1. 공동체의식의 의의 17
2. 공동체의식의 영향요인 18
제3절 또래의사소통 20
1. 또래의사소통의 의의 20
2. 청소년 또래의사소통의 영향요인 21
제4절 진로정체감 22
1. 진로정체감의 의의 22
2. 청소년 진로정체감의 영향요인 24
제5절 주요변수들의 관계 26
1. 공동체의식과 또래의사소통 및 삶의 만족도 26
2. 공동체의식과 진로정체감 및 삶의 만족도 27
3. 선행연구의 평가 28
제 3 장 연구 설계 34
제1절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34
1. 잠재성장모형 34
2. 연구모형 42
3. 연구가설 45
제2절 분석대상 및 자료 48
제3절 측정도구 49
1. 삶의 만족도 49
2. 공동체의식 50
3. 또래의사소통 51
4. 진로정체감 52
제4절 자료의 분석방법 53
1. 분석절차 53
2. 자료처리방법 54
제 4 장 실증분석 58
제1절 연구대상의 특성 58
1. 표본의 특성 58
2. 변수의 기술통계 58
3. 변수간 상관관계 61
제2절 잠재성장모형의 변화모형 설정과 성장변화 61
1. 삶의 만족도 63
2. 공동체의식 65
3. 또래의사소통 67
4. 진로정체감 69
제3절 다변량잠재성장모형 분석 71
1.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의 적합도 지수 71
2.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의 경로계수 추정치 73
3. 또래의사소통과 진로정체감의 종단 매개효과 75
4. 잠재성장모형에서의 집단 간 비교 85
제4절 연구결과와 논의 95
1. 잠재성장모형의 변화모형 설정과 성장변화 96
2. 다변량잠재성장모형 99
3. 또래의사소통과 진로정체감의 종단 매개효과 103
4. 잠재성장모형에서의 집단 간 비교 108
제 5 장 결 론 111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111
제2절 연구결과의 시사점 113
1. 이론적 시사점 113
2. 사회복지차원에서의 실천적 시사점 114
3. 정책적 시사점 115
제3절 향후 연구방향 116
참고문헌 118
부록 137
- Degree
- Docto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 Citation
- 김현주. (2019).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공동체의식과 삶의 만족도에 대한 종단연구-또래의사소통과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95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7432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9-08-23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