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교사리더십 개발과정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성아
Issued Date
2019
Keyword
교사리더십,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
Abstract
This research had intended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teacher leadership through the experiences of the teachers community in reorganizing the curriculum. The research tendency of leaning to the preexistent development of the teacher leadership in the form of an education and training had been overcome, and an alternative approach concentrating on the specific and actual process through which the leadership of a teacher is developed had been explored. For this, through the experience of sharing the expertises and the leaderships of each other in the teachers community in which the teachers in the same school cooperatively develop the curriculum and in which the classes are improved by applying it, the aspects of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teacher leadership had been explored. Also, in the teachers community reorganizing the curriculum, the diverse, experiential factors of the teachers and the types of the developments of the diverse leaderships of the teachers that become according to the structural conditions had been organized. For this, by selecting 20 teachers, who ha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or who had been participating in the teachers community for reorganizing the curriculum, this research had carried out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And, by selecting 1 teachers community that had been carrying out the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the participation observation had been attempted. In this way, after collecting the data, the analysis had been carried out through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of Strauss & Corbin (1998).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had been to explore the specific aspects regarding how, in the teachers community that is reorganizing the curriculum, the diverse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of the teachers are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the teacher leadership. If I were to present the meaningful discoveries centered on the research problems, they are the following"
Firstly, if I were to take a look at the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problem of 'In the teachers community reorganizing the curriculum, what do the teachers experience?', this research had discovered that, together with the colleagues in the community and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the teachers get around to having the diverse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with the colleague teachers and through the autonomous class designs that are centered on the collective intelligence and the student learning through the cooperative activity, I got around to having the experience of the class structure and the reactions of the students changing positively. In such a process of the reorganization, one's own thoughts and feeling got around to being expressed. And I got around to having the experience of challenging the difficult tasks that I would not have attempted if I had been alone based on the trust regarding the colleagues. Also, I got around to experiencing the importance of the administrative work support structure on the level of the school for the teachers to concentrate on the cooperative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by participating in the teachers community, the diverse learnings had taken place from the curriculum, to the professional technologies regarding the class, to the educational philosophy, to the communication, and to the methods of the human relationships.
Second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at had taken a look at the research problem of 'In the teachers community for reorganizing the curriculum, how do the teachers interact?' had discovered that the interactions in the diverse forms between the teachers take place.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the teachers, also, receive the stimulations while giving and receiving each other's opinions and thoughts. And, also, they experience the conflicts in which the values collide while the values and the viewpoints tha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re confirmed. But, while sharing the difficulties of each other, a measure for the solution is sought after together, and, through this, the human sense of closeness to the colleague teachers had been formed. Although, because of the excessive change or the sense of burden regarding the relationships with the colleagues, some of the constituent members had avoided the active participation, they had been accepting that, in the process of the interaction, as the things that play the role of binding the constituent members of the community, the conflict or the friction is a process that cannot be avoided for the maintenance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Thirdly, based on the research problem of 'How do the experiences and the interactions of the teachers through the teachers community for reorganizing the curriculum get follow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eacher leadership?', this research had organized the results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teacher leadership as the following: In the teachers community for reorganizing the curriculum, the teachers had organized the class together. And, by applying this and by participating in the circulatory and repetitive executions for improving the class, their curriculum, their class execution capability, and their teacher expertises had been increased. Also, through the reflective self-examination and the process of the conversation in the teachers community for reorganizing the curriculum, they had looked back at themselves. And, through the participation and the execution, while becoming the constituent members of the teachers community, they had definitely established the identities as the teachers. In addition, the diverse interactions in the teachers community for reorganizing the curriculum had improved the communication capabilities of the teachers and had made them tie up the diverse human relationships. They got around to possessing the attitude of cooperatively solving the many problems in the field of the education through the human relationships and the communication in the teachers community and the attitude of challenging the difficult problems based on the trust regarding the community. The diverse experiences and the interactions in the teachers community made the teachers trust in themselves and the community, and they got around to learning about the shared leadership based on the communication and the cooperation.
Most of the researches in Korea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teacher leadership until now had been focused on the programs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acher leadership and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s. But, the researches in Korea that focus on how the process of the changes of the teachers is unfolded until the teacher leadership is developed and that concentrate on the process in which the essences of the changes of the teachers and the changes take place have been on an insignificant level until now. As a research that had explored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teacher leadership through the experiences of the teachers in the teachers community for reorganizing the curriculum, this research had intended to theoretically organize the specific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teacher leadership that is based on the actual experiences of the teachers and had intended to reveal and theoretically organize the causal relationships of the diverse factors that give the influences on the specific process. Also, as an alternative regarding the preexistent teacher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 which met the limitation of the effective leadership development,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the teacher leadership through the execution and the learning, which are situation-contextual, in the teachers community in the field of the school had been presented. Lastly, this research could confirm the possibilities and the potentials of the educational innovations that are possessed by the teachers communities inside the schools. |본 연구는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에서의 경험을 통한 교사리더십 개발의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교육훈련 형식의 기존 교사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에 치우친 연구 경향을 극복하고 교사의 리더십이 개발되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과정에 집중한 대안적 접근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같은 학교 교사들이 협력적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수업을 개선해가는 교사공동체에서 서로의 전문성과 리더십을 공유하는 경험을 통해 교사리더십이 개발되는 과정의 양상을 탐색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에서 교사들의 다양한 경험적 요인과 구조적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교사들의 다양한 리더십 개발의 유형을 정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에 참여한 경험이 있거나 참여중인 교사 20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교육과정재구성을 실행중인 교사공동체 1개를 선정하여 참여관찰을 시도하였다. 이렇게 자료를 수집한 후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에서 교사들의 다양한 경험 및 상호작용이 교사리더십의 개발로 어떻게 이어지는지 구체적 양상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의미 있는 발견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에서 교사들은 무엇을 경험하는가? 라는 연구문제에 기반하여 결과를 살펴보면, 이 연구는 교사들이 공동체의 동료들과 함께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동료 교사들과 교육과정재구성을 하는 과정에서 협력적 활동을 통한 집단지성과 학생 배움 중심의 자율적인 수업디자인을 통해 수업구조와 학생들의 반응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재구성의 과정에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게 되었고 혼자라면 시도해보지 않았을 어려운 과제에 동료들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도전하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또한 교사들이 협력적인 교육과정재구성에 집중하기 위한 학교 차원의 행정업무 지원구조의 중요성을 체험하게 되었다. 더불어 그들은 교사공동체에 참여하여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전문적 기술을 비롯하여 교육철학 그리고 의사소통과 인간관계 방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습이 이루어졌다.
둘째,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에서 교사는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라는 연구문제에 터하여 살펴 본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간에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교사들은 교육과정재구성을 위해 각자의 의견과 생각을 주고받으며 자극을 받게 되기도 하고 서로 다른 가치관과 관점을 확인하며 가치관이 충돌하는 갈등을 겪게 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서로의 어려움을 공유하며 함께 해결책을 모색하기도 하고 이를 통해 동료교사들과 인간적인 친밀감을 형성하였다. 일부의 구성원들은 과도한 변화나 동료 간의 관계에 대한 부담감으로 적극적인 참여를 회피하기도 하였지만 상호작용 과정에서 갈등이나 마찰은 공동체 구성원을 결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공동체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 피할 수 없는 과정임을 받아들이고 있었다.
셋째,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를 통한 교사의 경험과 상호작용은 어떻게 교사리더십의 개발로 이어지는가?라는 연구문제에 기반하여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교사리더십의 개발과정의 결과를 정리하였다.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에서 교사들은 함께 수업을 구성하고 이를 적용하여 수업을 개선하는 순환적․반복적 실행에 참여하며 그들의 교육과정과 수업실행 역량을 비롯한 교사전문성을 신장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에서의 반성적 성찰과 대화의 과정을 통해 그들은 자신을 돌아보고 참여와 실행을 통해 교사공동체의 구성원이 되어가면서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더불어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에서의 다양한 상호작용은 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켰으며 다양한 인간관계를 맺게 하였다. 그들은 교사공동체에서의 인간적 관계와 소통을 통해 교육현장의 여러 문제를 협력적으로 해결하고 공동체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어려운 문제에 도전하는 태도를 지니게 되었다. 교사공동체에서의 다양한 경험과 상호작용은 교사들로 하여금 자신 스스로와 공동체를 신뢰하게 만들었으며 소통과 협력에 기반한 ‘공유(共有)리더십’을 익히게 되었다.
지금까지 교사리더십 개발에 관한 대부분의 국내 연구는 교사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이나 효과성 검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하지만 교사리더십이 개발되기까지 교사가 변화해가는 과정이 어떻게 전개되는지에 초점을 두고 교사변화의 본질과 변화가 발생하는 과정에 집중한 국내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한 수준이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에서 교사들의 경험을 통한 교사리더십 개발의 과정을 탐색한 연구로서 교사들의 실제 경험에 기반한 교사리더십 개발의 구체적 과정과 이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의 인과관계를 드러내고 이론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또한 효과적인 리더십 개발의 한계에 봉착한 기존 교사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대안으로서 학교 현장의 교사공동체에서 상황맥락적인 ‘실행’과 ‘학습’을 통한 교사리더십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학교 안의 교사공동체가 지닌 교육 혁신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Teacher Leadership: Focu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Teachers Community
Alternative Author(s)
Kim Seonga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송경오
Awarded Date
2019-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ⅶ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3.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8
1. 교사리더십 8
1) 리더십과 교사리더십의 개념 8
2) 교사리더십 논의 배경 14
3) 교사리더십에 대한 주요 논의와 중요성 20
2. 교사리더십 개발에 대한 접근 27
1) 교사리더십 개발의 전통적 접근 28
2) 교사리더십 개발의 대안적 접근 34
3.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를 통한 교사리더십 개발 41
1) 교사공동체 개념과 선행연구 41
2) 교사공동체에서의 교사성장과 관련한 특성 47
3)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 개념과 선행연구 48
4) 교사공동체와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 52
5)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를 통한 교사리더십 개발 55

Ⅲ. 연구 방법 58
1. 연구방법 및 절차 58
1) 연구방법 58
2) 연구의 절차 60
2. 연구 대상 및 현장 선정의 과정 61
3. 자료의 수집 65
1) 심층면담 66
2) 참여관찰과 문서자료 68
4. 자료의 분석 71
1) 개방코딩 72
2) 축코딩 73
3) 선택코딩 75
5. 연구의 신뢰성 및 윤리성 75
6. 연구의 제한점 78

Ⅳ. 연구 결과 79
1.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 참여 배경 79
1) 비협력적 교사문화 80
2) 교사협력을 요구하는 교육정책의 밀물 82
3) 수동적 팔로워로서의 교사 85
4) 각자의 어려움을 공동체를 통해 극복해보려는 시도 89
2.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에서의 경험 79
1) 협력적 활동을 통한 집단지성의 경험 90
2) 배움 중심 자율적 수업디자인 경험 97
3) 내생각과 느낌을 드러내는 경험 105
4) 함께 하니까 되는구나 106
5) 수업이 재미있어졌어요 108
6) 교사가 행정업무로부터 자유로워졌어요 112
7) 일상적 배움 113
3.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에서의 상호작용 115
1) 서로 주고받으며 신선한 자극 받기 116
2) 부딪히는 가치관 117
3) 건설적인 수다 떨기 118
4) 관계 맺기 119
4.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에서의 교사리더십 개발과정 123
1) 반성과 성찰 123
2) 마음의 변화 126
3) 교사정체성 자각과 확립 130
4) 교사전문성 신장 138
5) 소통과 협력의 리더십 개발 144
5. 교사공동체 참여를 통한 동료 교사와의 연결 그리고 자신의 변화 147
1) 이야기 전개와 핵심범주 148
2)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에서의 교사리더십 개발 유형 154

Ⅴ. 논의 164
1.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에서 교사리더십이 개발되는 과정
164
2.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의 실행공동체로서의 가능성 168
3. 연구 의의 173
4. 제언 173

【참고문헌】 175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183
부록 2 면담 질문목록 184
부록 3 개방코딩 결과 185
부록 4 축코딩 결과 188
부록 5 패러다임 모형 190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성아. (2019). 교사리더십 개발과정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85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7121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9-02-08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