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지방공기업 CEO 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근영
Issued Date
2018
Keyword
지방공기업 CEO 리더십, 조직문화, 임파워먼트, 조직성과
Abstract
Since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Act was enacted, local public corporations’ scale and role have been expanding and increasing. However, rapidly increasing deficit in local public corporations operation is a huge pressure factor on local finance. To overcome the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find a positive research model to improve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local corporations. In particular,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local public corporations, some research on the internal factors such as a stereotype dominating members in the organization, and variables originating a new way of thinking is much more important than the compelling strategy by law or system.
From this perspective, this thesi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internal factors such as the leadership of local public corporations, the empower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is empirically analyzed. Specifically, the research is focusing on whether there exists a leadership type or a organizational culture type which enhance local public corporation’s management performanc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subjective management performance perceived by organizational members and objective management performance which as represented as a actual management evaluation sc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dership of local public corporations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and there were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among leadership types according to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In particular, the organizational members of the local public corporations perceived that all types of leaderships were influencing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which could be inferred to be a key variable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rom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train leaders who can achieve actual management performance of local public enterprises.
Second, organizational cultur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which varies by organizational culture type according to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In subjective management performance, all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were positive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but only hierarchical culture had a meaningful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objectivity. In particular, the culture type that enhances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in local public corporations is suggested as a hierarchical culture emphasizing centralized control and rules. This results imply that an effective organization management strategy could be not to reject the hierarchical culture in achieving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goals, but to establish a stable hierarchical cultur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public corporations.
Third, empowerment has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and it has some mediating effects between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In particular, structural empowerment was a positive influence factor. However, structural empowerment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adhocracy culture and subjectivity, and between innovation-oriented leadership and subjectivity.
Fourth, in this study, in which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are typified by the competitive value mode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tended to be consistent with the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the effect of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are complementary and not separate concepts in improving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of local public corporations,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can be improved when these two variables are appropriately organized.
Fourth, in this study, in which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are typified by the competitive value mode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tended to be consistent with the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the effect of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are complementary and not separate concepts in improving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of local public corporations,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can be improved when these two variables are appropriately organiz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measuring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empirical tests on subjective performance and objective performance are implemented at the same time to prove the causality of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owerment on individual performance in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owerment were empirically tested from the integrated viewpoint to find some management performance factors within the organization of the local public corporations.
Third, precedent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only group culture, innovation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have a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a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strategy based on predictable rules and controls could be more advantageous in achieving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Fourth, in order to respond positively to the rapidly changing organizational environment, local public corporations have verifie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empowerment. In addition, existing researches have only studied and identified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approach. However, this study contributes to find a more efficient organization management strategy in local public corporations through the integrated empirical test of structural empowermen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지방공기업법이 제정된 이래 지방공기업은 규모와 역할은 확대되었다. 하지만, 매년 급증하는 경영적자폭은 지방재정을 압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지방공기업의 경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증적인 연구모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지방공기업의 조직성과 향상은 법규나 제도에 의한 강제적 전략보다 내부구성원을 지배하는 고정관념, 새로운 사고 틀을 형성시키는 내부 요인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지방공기업의 리더십, 조직구성원의 임파워먼트, 조직문화 등 내부요인에 초점을 맞추고 이들 변수 간 인관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방공기업 성과를 높이는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 유형은 존재하는지, 조직구성원이 인지하는 주관적 성과와 실제 경영평가 점수인 객관적 성과에서 인식의 차이는 존재하는 지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공기업의 리더십은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이며, 성과 측정 방법에 따라 리더십 유형 간 차별적 특성이 있었다. 특히 지방방공기업의 조직구성원들은 모든 유형의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어 조직성과의 핵심 변수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현 시점에서 지방공기업의 실질적인 경영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리더를 양성할 필요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조직문화는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조직성과 측정방법에 따라 조직문화 유형별 영향력의 차이가 있었다. 주관성과에서는 모든 유형의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 요인이었으나, 객관성과에는 위계문화만 의미 있는 영향관계를 보였다. 특히 지방공기업에서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 문화유형은 통제와 규칙을 강조한 위계문화로 제시되었다. 이는 조직이 개인차원 및 조직차원의 목표를 달성함에 있어 위계문화를 배척할 것이 아니라, 지방공기업의 특성에 맞는 안정적인 위계문화를 정착 시키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효율적인 조직관리 전략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셋째, 임파워먼트는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리더십과 조직문화, 조직성과 사이에서 일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구조적임파워먼트는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요인이었다. 하지만, 구조적임파워먼트는 리더십과 조직문화 그리고 조직성과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다. 반면, 심리적임파워먼트는 혁신지향리더십과 주관성과 사이에서, 애드호크라시문화와 주관성과 사이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넷째, 경쟁가치모형으로 리더십과 조직문화를 유형화한 본 연구에서 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하는 리더십과 조직문화 유형이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지방공기업에서 조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최고 경영자는 조직문화를 고려한 리더십을 발휘할 때 조직성과가 높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지방공기업의 조직성과를 향상시킴에 있어 리더십과 조직문화는 서로 분리되는 개념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 관계이며, 이 두 변수가 적합할 때 조직성과가 더 높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성과를 측정함에 있어 주관성과와 객관적 성과를 병행함으로써 리더십과 조직문화, 임파워먼트가 개인차원의 조직성과와 조직차원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인과관계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했다.
둘째, 리더십, 조직문화, 임파워먼트를 통합적인 관점에서 연구함으로써 지방공기업에서 조직내부의 성과요인을 종합적으로 탐색했다.
셋째, 이론적으로 경쟁가치모형을 통해 연구한 기존의 논의는 집단문화, 혁신문화, 합리문화만 조직효과성에 긍정적인 인과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밝혔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 예측 가능한 규칙과 통제를 기반으로 한 위계적 조직문화 전략이 조직성과를 달성하는데 더 유리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넷째, 급변하는 조직환경에 지방공기업이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임파워먼트에 대한 도입의 필요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가 심리적임파워먼트의 접근방법만을 연구하고 규명한데 그쳤다. 하지만, 본 연구는 구조적임파워먼트와 심리적임파워먼트를 통합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지방공기업에서 더 효율적인 조직운영 전략을 탐색하는데 기여하였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ffects of CEO’s Leadership and Organization Culture on the Organization Performance in Local Public Corporations
Alternative Author(s)
Park GeunYo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공공행정학과
Advisor
한인섭
Awarded Date
2019-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 목적 1
제 2 절 연구 범위 및 방법 5

제 2 장 연구의 이론적 논의 8
제 1 절 리더십 이론 8
1. 리더십의 개념 8
2. 리더십의 유형 16
3. 지방공기업의 리더십 20
제 2 절 조직문화 23
1. 조직문화의 개념 23
2. 조직문화의 유형 26
3. 지방공기업의 조직문화 38
제 3 절 조직성과 40
1. 성과의 개념 40
2. 조직성과의 유형 45
3. 지방공기업의 조직성과 56
제 4 절 임파워먼트 59
1. 임파워먼트의 개념 59
2. 임파워먼트의 유형 64
3. 지방공기업의 임파워먼트 75
제 5 절 변수 간 관계 77
1.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 관계 77
2.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간 관계 82
3. 리더십, 조직문화, 조직성과, 임파워먼트 간 관계 86

제 3 장 연구모형과 조사설계 93
제 1 절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93
1. 연구모형 93
2. 연구가설 94
제 2 절 변수의 정의와 측정 101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101
2. 설문지 구성 106
3. 분석방법 111

제 4 장 실증분석 114
제 1 절 자료 수집 및 분석방법 114
1. 조사대상과 범위 114
2. 자료수집 115
제 2 절 변수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118
1. 변수의 신뢰도 및 요인분석 118
2. 변수들 간 상관관계 분석 126
제 3 절 가설검증 결과 130
1.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 관계 130
2.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간 관계 134
3.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138

제 5 장 결론 163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163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165
1. 이론적 시사점 165
2. 정책적 시사점 166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 및 연구과제 175

참고문헌 177

부록 192
















[표 2-1] 리더십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 10
[표 2-2] 리더십 이론의 유형화 14
[표 2-3] 조직문화의 개념 24
[표 2-4] 학자별 조직문화 유형 분류 27
[표 2-5] 공공부문 문화유형 연구 사례 37
[표 2-6] 성과의 개념 정의 요약 43
[표 2-7] 지방공기업 경영성과 지표별 평가 내용 46
[표 2-8] 지방공기업 성과 선행요인 연구 54
[표 2-9] 임파워먼트 개념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 63
[표 2-10] 임파워먼트의 선행연구 요약 74
[표 2-11] 경쟁가치모형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 선행연구 80
[표 2-12] 조직문화, 조직성과 간 선행연구 요약 84
[표 2-13] 리더십, 조직문화, 조직성과 간 임파워먼트의 매개요인 선행연구 90
[표 3-1] 변수 및 조작적 정의 105
[표 3-2] 설문지의 구성 107
[표 3-3] 변수에 대한 설문문항 108
[표 4-1] 분석 대상 114
[표 4-2]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116
[표 4-3] 리더십 측정항목의 신뢰도 및 요인분석 결과 120
[표 4-4] 조직문화 신뢰도 검증 및 요인분석 122
[표 4-5] 임파워먼트 측정항목의 신뢰도 및 요인분석 결과 123
[표 4-6] 조직성과 신뢰도 검증 및 요인분석 125
[표 4-7] 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127
[표 4-8] 변수 간 상관관계 129
[표 4-9] 리더십과 주관성과 간 관계 130
[표 4-10] 리더십과 객관성과 간 관계 133
[표 4-11] 조직문화와 주관성과 간 관계 135
[표 4-12]조직문화와 객관성과 간 관계 137
[표 4-13] 리더십과 임파워먼트 간 회귀분석 결과 139
[표 4-14] 임파워먼트와 조직성과 간 회귀분석 결과 140
[표 4-15] 리더십, 주관성과 간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회귀분석 결과 142
[표 4-16] 리더십과 객관성과 간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회귀분석 결과 144
[표 4-17] 리더십, 조직성과 간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Sobel-test 검증 결과 147
[표 4-18] 조직문화와 임파워먼트 간 회귀분석 결과 150
[표 4-19] 조직문화 주관성과 간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151
[표 4-20] 조직문화 객관성과 간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154
[표 4-21]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간 Sobel 테스트 검증결과 157
[표 4-22] 가설 검증결과 요약 159


[그림 2-1] 경쟁가치모형의 리더십 유형 18
[그림 2-2] Cameron & Quinn(2011)의 경쟁가치모형의 조직문화 32
[그림 2-3] Conger & Kanungo의 임파워먼트 과정 68
[그림 2-4] Spreitzer(1995)의 임파워먼트 과정 71
[그림 3-1] 연구모형 94
[그림 4-1] 리더십과 주관성과 간 관계 131
[그림 4-2] 리더십과 객관성과 간 관계 133
[그림 4-3] 조직문화와 주관성과 간 관계 135
[그림 4-4]조직문화와 객관성과 간 관계 137
[그림 4-5] 리더십과 임파워먼트 간 회귀분석 결과 139
[그림 4-6] 임파워먼트와 조직성과 간 관계 141
[그림 4-7] 리더십과 주관성과 간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회귀분석 결과 143
[그림 4-8] 리더십과 객관성과 간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145
[그림 4-9] 리더십과 주관성과 간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Sobel-test 검증 결과 148
[그림 4-1] 리더십과 객관성과 간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Sobel-test 검증 결과 148
[그림 4-11] 조직문화와 임파워먼트 간 회귀분석 결과 150
[그림 4-12] 조직문화와 주관성과 간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153
[그림 4-13] 조직문화와 객관성과 간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155
[그림 4-14] 조직문화 주관성과 간 임파워먼트 Sobel 테스트 검증결과 158
[그림 4-15] 조직문화와 객관성과 간 임파워먼트 Sobel 테스트 검증결과 158
[그림 4-16] 리더십과 주관성과 간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161
[그림 4-17] 리더십과 객관성과 간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161
[그림 4-18] 조직문화와 주관성과 간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162
[그림 4-19] 조직문화와 객관성과 간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162


[수식 3-1] 회귀분석을 활용한 매개관계 판별법 112
[수식 3-2] Sobel test의 검증방법 113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박근영. (2018). 지방공기업 CEO 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81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7284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9-02-08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