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아트 맵(Art Map) 표현형식과 사용자 지식이해과정의 관계

Metadata Downloads
Author(s)
최혜진
Issued Date
2018
Keyword
Art Map, pictorial expression, Users' Knowledge-building Process, PODMA stages
Abstract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relation between the art map and the understanding process of user knowledge. It defined the art map and verified the relation with the understanding process of users’ knowledge using the expression form of art map found through the collection of domestic and overseas’ cases.

A map is a result of visualiz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a three-dimensional space into a two-dimensional format. In recent years, due to the increase in demand for travel, various types of tourist maps are being produced that express essential information about sightseeing spots in a unique way. However, some of tourist maps are produced in a way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process of users’ accepting information. Too complex tourist maps are difficult to understand and cause users’ cognitive errors. Also, it is often the case that a general tourist map is not effective in attracting users' memories.

Art Map can be defined as 'a map produced through pictorial expressions'. More broadly, it can be said that it is a map of artwork form in which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place is shared emotionally by conveying the makers’ point of views to the users by utilizing a pictorial expression method. However,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art map is to effectively provide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that the user desir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art map and the users' knowledge-building process. It defined the art map and verified the relation with the users' knowledge-building process using the representation types of art map found. A representative art map expression types was found through the collection of domestic and overseas’ cases, and based on this, four kinds of art maps (line drawing, imagery, patterning, ink spreading) which can be applied to the domestic case study were produced.

Within the literature review, it is identified that the user's knowledge acquisition behavior (PODMA steps: Preattention-Overview-Memory-Detail-Application) through art map can be interpreted as the users' knowledge-building process. Through the questionnaires and users inter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types of art map presented as the case samples and the detailed steps of the users' knowledge-building process was identifie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type of the art map and the users’ interest, attractiveness, and subject suitability were also identifi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found that the users’ information processing on the art map is closely related to the PODMA st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rt map is not a simple information but a knowledge object that can be understood as knowledge by users.

Second, 'line drawing' style among line drawing, imagery, patterning, and ink spreading was most influential in PODMA stages consisted of five steps. This means that the 'line drawing' style among the four types of art maps is most effective for the users’ knowledge acquisition process.

Third,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four types of art map and the users' knowledge-building process. The 'line drawing' type helps in semantic stimulation, stream understanding of flow, interest induction, way finding, procedural memory, path finding association, and image association part. The 'imagery' type helps visual stimulation, semantic stimulation, association of directions, and image association. The 'patterning' type was effective in volume identification and image association. It was found that the type of 'ink spreading' was very useful for the flow understanding and procedural memory.

Fourth, the degree of relevance between users’ interest, attractiveness, subject suitability, and four types of art maps was identified. The 'imagery' type was rated highly in the interest and attractiveness categories. However, in the topic suitability category, the 'line drawing' type received a high score. The 'patterning' and 'ink spreading' types were rated relatively low in all areas of interest, attractiveness, and subject suitability.

With in the overall comprehension,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adoption of the 'line drawing' type is generally effective for generating the users' knowledge-building process. However, 'patterning' type can be relatively advantageous when producing art maps for large-scale areas. This is because it helps to identify the volume of the area and remind the image about that areas. If a relatively small-scale tourist destination is considered, it is possible to consider adopting the 'imagery' type. The 'imagery' type is not effective for complicated way-findings, but it is very effective in users’ reminding to imagine the area for a long time after visiting a tourist destination. Also, if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natural flow for travelers, it is desirable to adopt the ‘ink spreading’ typ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art map and the users' knowledge-building process. Most notably,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appropriate type of art map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use in the production of art map.

|본 연구는 아트 맵과 사용자지식이해과정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으로, 아트 맵(Art map)을 정의하고, 국외사례 수집을 통해 발견한 아트 맵 표현형식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지식이해과정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지도는 3차원 공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2차원적 형식으로 시각화시킨 결과물이다. 최근, 여행 수요의 증가에 따라 관광지에 대한 필수적인 정보를 색다른 방식으로 표현하는 다양한 형태의 관광지도가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상당수의 관광지도는 사용자의 정보수용과정에 부합되지 못한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너무 복잡한 관광지도는 이해하기 어렵고 사용자의 인지적 오류를 유발시킨다. 또 평이한 관광지도는 사용자의 기억 인출에 효과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다.

아트 맵(Art Map)은 ‘회화적 표현을 통해 제작되는 지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좀 더 광의적으로는, 회화적 표현방식을 활용하여 제작자의 관점을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특정 장소에 대한 정보를 감성적으로 함께 공유하는 예술작품 형태의 지도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아트 맵의 본질적인 용도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와 지식을 효과적으로 제공함에 있다.

본 연구는 아트 맵(Art map)과 사용자지식이해과정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아트 맵을 정의하고, 국외사례 수집을 통해 발견한 아트 맵 표현형식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지식이해과정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국내외사례 수집을 통해 대표적인 아트 맵 표현형식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국내 사례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4가지 타입(라인드로잉, 형상화, 패턴화, 발묵)의 아트 맵을 제작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아트 맵을 통한 사용자의 지식습득 행위(PODMA 전개)는 사용자의 지식이해과정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설문조사와 피험자 인터뷰를 통해서, 사례로 제시된 4가지 아트 맵 유형과 사용자의 지식이해과정의 세부 단계들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각각의 아트 맵 유형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도, 매력성, 주제 적합성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트 맵에 대한 사용자의 정보처리 과정이 PODMA 단계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트 맵은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사용자에게 지식으로 이해될 수 있는 지식적 대상임을 의미한다.

둘째, 라인드로잉, 형상화, 패턴화, 발묵 중에서 ‘라인드로잉’ 형식이 다섯 단계로 구성된 PODMA 전개 과정에 가장 높은 영향을 주었다. 이는 앞서 4가지 아트 맵 유형 중에서 ‘라인드로잉’ 형식이 사용자의 지식 습득 과정에 가장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셋째, 4가지 아트 맵 유형과 사용자 지식이해과정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라인드로잉’ 유형은 의미적 자극, 동선의 흐름 파악, 흥미 유발, 길 찾기, 절차적 기억, 길 찾기 연상, 이미지 연상 부분에 도움을 준다. ‘형상화’ 유형은 시각적 자극, 의미적 자극, 길 찾기 연상, 이미지 연상 부분에 도움을 준다. ‘패턴화’ 유형은 규모 파악, 이미지 연상에 효과적이었다. ‘발묵’ 유형은 동선의 흐름 파악, 절차적 기억에 매우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사용자의 흥미도, 매력성, 주제 적합성과 4가지 유형의 아트 맵 사이의 관련성 정도가 파악되었다. ‘형상화’ 유형은 흥미도와 매력성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주제적합성 부문에서는 ‘라인드로잉’ 유형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패턴화’와 ‘번지기’ 유형은 흥미도, 매력성, 주제 적합성의 모든 부문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이상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아트 맵 제작 시에 ‘라인드로잉’ 유형을 채택하는 것이 사용자의 지식이해과정에 대체적으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규모가 큰 대단위 지역에 대한 아트 맵 제작 시에는 ‘패턴화’ 유형이 상대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 해당 지역의 규모를 파악하고 이미지를 연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관광지라면 ‘형상화’ 유형을 채택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형상화’ 유형은 복잡한 길 찾기에 효과적이지 못하지만, 관광지를 다녀간 이후에 오랫동안 해당 지역을 사용자가 이미지 형태로 연상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행자들에게 자연스럽게 동선의 흐름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경우라면 ‘발묵’ 유형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아트 맵 표현 형식과 사용자 지식이해과정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것의 의미는 관광지 아트 맵 제작 시에 목적과 용도에 따라 적절한 아트 맵 유형을 선택할 필요가 있음을 밝힌 것이다.
금후에는 이를 토대로 국내 아트 맵(Art Map)에 대해 다양한 분야의 학술적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Alternative Tit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esentive Types of Art Map and Users' Knowledge-building process
Alternative Author(s)
Choi, hye ji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창의공학디자인융합학과
Department
일반대학원 창의공학디자인융합학과
Advisor
류시천
Awarded Date
2019-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01
서 론

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02
관광지도에서
아트 맵(Art Map)의 역할

1절
아트 맵(Art Map)의 이해

1. 아트 맵(Art Map)의 개념 및 정의
2. 아트 맵(Art Map)의 역할 및 특징

2절
아트 맵(Art Map) 표현형식


1. 아트 맵(Art Map) 사례 및 표현형식
2. 라인드로잉
3. 형상화
4. 패턴화
5. 발묵 (번지기)

03
사용자 지식형성과
아트 맵(Art Map)의 관계

1절
지식이미지 및 지식시각화 구성

2절
지식의 이해과정

3절
지식형성과 아트 맵(Art Map)의 관계

아트 맵(Art Map)표현형식별
실험자극물제작 및 설계

1절
실험연구 목적 및 방법

2절
실험연구 자극물제작 및 설문지설계


1. 아트 맵 표현형식을 활용한
실험자극물제작

2. 설문지 설계

3절
사례연구 결과 및 분석

결 론

1절
연구의 주요 발견점

2절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

3절
금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국문초록
부 록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창의공학디자인융합학과
Citation
최혜진. (2018). 아트 맵(Art Map) 표현형식과 사용자 지식이해과정의 관계.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78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7221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9-02-08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