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사물인터넷산업에 관한 주요국의 현황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양굉연
Issued Date
2018
Abstrac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ound the world, and the pace of development is accelerating in response to governments and corporations in each country.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introduction of a new system, every field of society is transformed into a completely new on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re element technologies (Internet of Thing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sensors, biotechnology, new materials, automation technology, etc.) will have a great impact on human innovation and progress through fusion and expansion with other industries.
In major countries the ICT environment in the public sector and the private sector is naturally permeating every day life. As the expectation of the value generated from the Internet of things is heightened,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how the Internet of things can have an impact on the social, economic, and industrial aspects.
In order to examine the growth potential of the internet of things market and to maximize its growth, around the world has developed policies and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ut Korea still lacks discussions on its policies and strategi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try to develop the areas where Korean companies have relatively strong strengths or strengths.
After reviewing the major papers and reports related to the IoT industry,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policies and strategies of the IoT industry in major countries to find out the problems of the IoT industry and to find ways.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major countries and the IoT industry in Korea, the following problems were found. First, there is a lack of industrial innovation strategy design based on platform and digitization. Second, the lack of legal system and policy support. Third,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on social problem responses caus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urth, concerns about personal and national information leakage. Fifth, the lack of experts in the field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ixth, negative views about jobs.
The following are the ways to improve the IoT industry. First, there is a need for digital conversion to enhance value through digital technology. Second, improvement of legal system and regulation. Third, it is governmental policy support. Fourth, the effects of the new industry, which will emerge throug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discussed. Fifth, information security measures. Sixth, Specialization through the training of specialists in Internet of things. Seventh, the creation of convergence services in various industries. Finally, securing R & D bases and globalization of innovation entrepreneurial ecosystem creation.
There is no guarantee tha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will lead to unconditional prosperity. But major countries in there are social discussions are taking place on the impact of technology development on employment and industry. Therefore, if Korea supports good policies in the long term, it will bring great benefits.|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은 증대되고 있으며, 각국의 정부와 기업의 대응으로 그 발전의 속도는 가속화되고 있으며, 산업혁명은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이기 때문에 사회의 모든 분야는 완전히 새로운 변신을 하게 된다.
4차 산업혁명에서 핵심요소 기술(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빅데이터, 센서, 바이오 기술, 신소재, 자동화 기술 등)은 타산업과의 융합과 확대를 통하여 인류의 혁신 및 진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현재 주요국에서는 공공 부문에서 뿐만 아니라 민간 부문 역시 ICT 환경이 모든 일상생활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있다. 사물인터넷으로부터 창출되는 가치에 대하여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사물인터넷이 사회적, 경제적, 산업부문별 측면에 어떤 파급력을 갖을 수 있는지에 대하여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 가능성 검토 및 성장 극대화를 위해 4차 산업혁명 발전을 위한 정책 및 전략을 전개하고 있지만 아직 한국은 그에 대한 정책 및 전략에 대하여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한국 기업이 상대적으로 강점을 보이거나 강점을 보일 수 있는 영역들을 발전시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사물인터넷산업들에 관련된 주요 논문과 보고서를 중점으로 검토한 후 주요국의 사물인터넷산업의 현황과 정책 및 전략을 면밀히 분석하여 사물인터넷산업의 문제점 파악과 함께 개선 방안 도출을 모색하였다.
주요국과 한국의 사물인터넷산업의 현황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플랫폼화 및 디지털화 기반의 산업 혁신전략 설계의 부족이다. 둘째, 법적제도 및 정책적 지원의 미비이다. 셋째,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야기되는 사회 문제 대응책 논의 부족이다. 넷째, 개인 및 국가 정보 누출 우려이다. 다섯째, 4차 산업혁명 분야의 전문가 부족이다. 여섯째, 일자리에 관한 부정적인 시선이다.
이에 따른 사물인터넷산업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기술을 통해 가치를 제고하는 디지털 전환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법적제도 및 규제 개선이다. 셋째,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다. 넷째, 4차 산업혁명을 통해 등장할 신산업의 영향 논의이다. 다섯째, 정보 보안 대책이다. 여섯째, 사물인터넷 분야의 전문가 양성을 통한 전문화이다. 일곱째, 다양한 산업의 융합서비스 창출이다. 마지막으로 R&D 거점 확보 및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의 글로벌화이다.
기술의 발전이 무조건 번영을 가져온다는 보장은 없지만 현재 선진 국가를 중심으로 기술발전이 고용 및 산업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사회적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한국도 장기적으로 좋은 정책이 뒷받침해 준다면 큰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Major Countries in the Internet of Things Industry
Alternative Author(s)
LIANG HONGYAN
Department
일반대학원 무역학과
Advisor
정분도
Awarded Date
2019-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ⅴ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3

제2장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4

제1절 이론적 고찰 4
1. 4차 산업혁명 4
2.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7
제2절 선행연구 검토 16
1. 국내연구 16
2. 해외연구 19

제3장 주요국의 사물인터넷산업 현황 및 비교 분석 21

제1절 주요국의 사물인터넷산업 현황 21
1. 미국 21
2. 유럽 24
3. 일본 27
4. 중국 30
5. 한국 32
제2절 주요국의 사물인터넷산업 현황 비교 37

제4장 사물인터넷산업의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40

제1절 사물인터넷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40
1. 플랫폼화 및 디지털화 기반의 산업 혁신전략 설계의 부족 40
2. 법적제도 및 정책적 지원의 미비 41
3.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야기되는 사회 문제 대응책 논의 부족 41
4. 개인 및 국가 정보 누출 우려 42
5. 4차 산업혁명 분야의 전문가 부족 44
6. 일자리에 관한 부정적 시선 45
제2절 사물인터넷산업의 활성화 방안 46
1. 디지털 전환을 위한 노력 46
2. 법적제도 및 규제 개선 46
3. 정부의 정책적 지원 48
4. 4차 산업혁명을 통해 등장할 신산업의 영향 논의 49
5. 정보 보안 대책 49
6. 사물인터넷 분야의 전문가 양성을 통한 전문화 51
7. 다양한 산업의 연계 및 융합서비스 창출 51
8. R&D 거점 확보 및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의 글로벌화 52

제5장 결 론 53
제1절 논문의 요약 53
제2절 논문의 한계 및 향후과제 57

참고문헌 58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양굉연. (2018). 사물인터넷산업에 관한 주요국의 현황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77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7191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9-02-08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