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서연
Issued Date
2018
Keyword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 청소년의 사회자본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의 수준을 제고시켜 줄 수 있는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변수들인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사회자본 그리고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정립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청소년에 대한 부모의 양육태도의 하위변수로서 애착형 양육태도, 감독형 양육태도, 부정적 양육태도를 선정하고, 종속변수는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을 선정하였으며, 조절변수인 청소년의 사회자본에 대해서는 학교 사회자본, 지역사회 사회자본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청소년에 대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조절변수인 청소년의 학교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청소년에 대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 있어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한 실증분석을 위해서 2015년도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의 중1 패널자료에 대해서 SPSS Statistics 2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해서 실증분석 한 결과, 각각의 변수들 간에 인과관계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애착형 양육태도와 감독형 양육태도는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애착형과 감독적 양육태도는 지역사회 사회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인 교사와의 관계는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사회 사회자본은 주관적 행복감의 수준을 높여주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사회자본은 부모의 양육태도와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의 수준을 제고시켜 줄 수 있는 있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론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자본, 그리고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세 개의 변수들을 종합적인 차원에서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연구범위의 확대와 이와 관련된 선험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에 대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의 사회자본의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연구가 미흡한 실정에서 학교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사회자본을 조절변수로 사용하여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연구범위를 확장시켰다는 데 의의가 있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자녀에 대해서 좋아한다는 표현과 잘한 일에 대해서는 칭찬을 해주고 힘들어 할 때 격려와 용기를 주고 자녀가 어디에 가서 어떻게 보내고 있는지 등 자녀의 일상 활동에 대해서 관심을 갖는 부모의 애착형 양육태도와 권위적이지 않은 감독형 양육태도가 필요하다.
둘째, 부모는 자녀들이 지역사회 사회자본을 축척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이 교사와의 더 좋은 상호작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정에서의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한편 긍정적 친구관계를 통하여 주관적 행복감을 높여 주기 위해 학교에서 청소년들이 친구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친구관계를 소중하게 생각하고 타인과의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청소년들의 사회적 적응수준을 높여 주기 위하여 지역사회에서 개최하는 축제나 교육 문화행사에의 참여유도와 자원봉사활동 참여 등을 통하여 주민들과 직접적인 접촉의 횟수를 늘려갈 수 있는 지역사회 중심의 참여프로그램의 개발과 참여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다섯째, 청소년의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의 수준을 제고할 수 있다고 보았을 때, 청소년에게 학교생활과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자기발전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여섯째, 청소년들의 행복수준을 제고시켜줄 수 있는 국가의 청소년 관련 정책의 개발과 추진, 그리고 청소년보호법, 청소년활동진흥법 등 청소년관련법에 명시된 청소년활동과 관련된 규정의 강화와 실천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ABSTRACT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n the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Focusing on Moderation Effects of School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Kim, Seo Yeon
Adviser : Prof. Park, Hwie Seo, Ph.D.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juvenile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aring attitude, juvenile social capital, and subjective well-being.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this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parental rearing attitude, juvenile social capital, and subjective well-being.
As for the independent variables, attachment type rearing attitude, supervisory rearing attitude, and negative rearing attitude were selected as sub-variables of parental rearing attitude for adolescents. Juvenile subjective well-being was selected as the dependent variable. As for the juvenile social capital, which is a moderating variable, school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were select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parental rearing attitude on juvenile subjective well-being and examined whether the school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as moderating variables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aring attitude for adolescents and juvenile subjective well-being.
Middle school 1 panel materials of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in 2015 were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s 20 for Windows program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hypothesi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select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an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variables.
In other words, attachment type rearing attitude and supervisory rearing attitude have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Second, attachment type rearing attitude and supervisory rearing attitude have a positive effect on community social capital. Thir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Fourth, community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School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level of juvenile subjective well-being.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ree variables about parental rearing attitude, social capital, and juvenile subjective well-being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comprehensive dimension.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expanded the scope of research and tried the priori research related to it.
Second,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juvenile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chool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as moderating variables. This has implications for extending the scope of the study.
As the policy implications, first, parental attachment type rearing attitude caring for their children's daily activities, such as expressing love for their children, giving praise for good things, encouraging them when they are tired, and caring about where and how their children are going and non-authoritarian supervisory rearing attitude are needed.
Second, parents need adequate intervention to allow their children to scale and utilize their social capital.
Third, parent education in the home is needed to enable the adolescent to maintain better interaction with teachers. In order for adolescents to establish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in school for improving positive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positive friendship, parent education is needed so that parental rearing attitude can respect friendship and maintain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Fourth, to raise the level of social adaptation of adolescents,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of community-based participation programs that can increase the number of direct contact with residents through participation in festivals and educational cultural events held in local communities and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should be promoted.
Fifth, when the juvenile social capital can raise the level of juvenile subjective well-being, it is necessary to find policy measures to give adolescents opportunities to develop themselves as a member of school life and community.
Sixth, developing and promoting adolescent-related policies that can enhance the happiness level of adolescents, and strengthening and practicing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juvenile activities specified in the adolescent-related laws such as the Juvenile Protection Act and the Juvenile Activity Promotion Act should be done in parallel.

Key words : Parenting Attitudes, Subjective Well-being, Social Capital, Community Social Capital, KCYP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n the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Focusing on Moderation Effects of School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Alternative Author(s)
Kim, Seo Yeo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Advisor
박희서
Awarded Date
2018-08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목적 1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5
1. 연구범위 5
2. 연구방법 6

제2장 이론적 배경 7

제1절 부모의 양육태도 7
1. 부모의 양육태도의 의의 7
2. 부모의 양육태도의 구성요소 9

제2절 주관적 행복감 15
1. 주관적 행복감의 의의 15
2. 주관적 행복감의 구성요소 16
3. 주관적 행복감의 접근방법 18
4. 주관적 행복감의 영향요인 20

제3절 사회자본 29
1. 청소년 사회자본의 의의 29
2. 청소년 사회자본의 구성요소 34
3. 청소년 사회자본의 영향요인 45
4. 청소년 사회자본의 결과 47

제4절 선행연구 51
1. 부모의 양육태도와 주관적 행복감 51
2. 청소년의 사회자본과 주관적 행복감 53
3. 선행연구의 평가 56

제3장 연구설계 58

제1절 연구모형의 정립과 가설의 설정 58
1. 연구모형의 정립 58
2. 가설의 설정 59

제2절 변수의 조작화와 측정 63
1. 변수의 조작화 63
2. 설문의 구성과 측정 64

제3절 자료의 수집과 분석 66
1. 자료의 수집 66
2. 표본의 특성 66
3. 자료의 분석방법 68


제4장 실증분석 69

제1절 측정도구 검증 69
1. 타당도 분석 69
2. 신뢰도 분석 73

제2절 기술통계분석 74
1. 변수의 기술적 통계 74
2.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분석 78
3. 상관관계 분석 80

제3절 가설검증 82
1.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사회자본 82
2.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85
3. 청소년의 사회자본과 주관적 행복감 86
4. 사회자본의 조절효과 88

제5장 결 론 92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92
1. 기술적 통계분석 결과 92
2.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분석 결과 94
3.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결과 94

제2절 연구결과의 시사점 96
1. 이론적 시사점 96
2. 정책적 시사점 97

제3절 향후 연구방향 101

참고문헌 102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서연. (2018).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63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691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8-08-2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