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테러리즘 확산에 따른 한국군의 역할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태성
Issued Date
2017
Abstract
The 9/11 terrorist attack that occurred in the United States, the series of simultaneous terrorist attacks that took place in France in November of 2015, and the various incidents of terrorism that have continuously happened up to the present can be said to be of New Terrorism, a redefinition of the original concept. New Terrorism involves indiscriminate attacks against many unspecified victims, and various efforts are currently being made to take fundamental measures against it in major countries of the world.
The Republic of Korea emerged in the 21st century as a central na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its national status has been steadily rising due to its participation in various field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military in a manner that befits a pattern of globalization.
Consequently, The Republic of Korea is now well known not only to advanced countries and developing countries but also to Arabic countries and terrorist organizations such as Islamic Extremism(Islamic State), which was responsible for the recent major acts of terrorism. The Republic of Korea is therefore receiving attention from those organizations as a potential target for terrorism.
This paper analyzes the leg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in relation to causes of terrorism within the period ranging from the Cold War era to the present. In terms of range of locations for analysis, terrorist incidents in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Britain, France and other countries were compared and evaluated to analyze the new threat of international terrorism, North Korea’s terrorism, and other relevant terrorism. The basic research method was application of literary analysis, and in the paper I sought to suggest an institutional plan of improvement by analyzing the processes undertaken in the incidents of terrorism. Relevant laws and institutional problems were analyzed by comparing interviews, data from conversations with relevant experts, and anti-terrorism provisions.
This paper analyzes theories regarding causes of the spread of New Terrorism, factors pertinent to the domestic and foreign security situation (circumstantial) for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legal aspects of Republic of Korea’s counterterrorism system and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operated. Institutional problems deemed as currently existing in The Republic of Korea’s anti-terrorism laws and anti-terrorism measures were concluded as such from a comparison analysis between Republic of Korea’s system and anti-terrorism systems of the world’s main countries. The following paper centers on suggesting fortification of the role of Republic of Korea’s military as the main point of improvement for these problems.
First, the domestic and foreign environmental causative factors in Republic of Korea’s security situation and the possible threat of terrorism it faces were analyzed in the following manner. In terms of domestic factors,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lashes arising from the country’s transformation into a multicultural country with a rapid increase of foreign workers and domestic tourists, the increase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the threats of terrorism from North Korea could be considered factors in New Terrorism.
The next set of main external causative factors is Korean companies’ business activities in the Middle East where terrorism occurs frequently, activeness of religious and volunteering organizations, overseas dispatch as an ally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increase of overseas travelers. The could develop into issues in the areas of military, society and religion. As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errorism are undergoing a huge change in realit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untermeasure for them.
Second, an analysis was implemented regarding the threat of Islamic terrorism. An organization like IS is a supranational and asymmetrical terrorist organization. Its members believe that since Republic of Korea, an ally of the United States, has sent troops to the Kurdish region to combat the Iraqi armed forces in the past that it may send troops again if necessary in the future. Therefore, Republic of Korea is included as one of the organization’s target countries. However, in actuality, Republic of Korea places its priority on responding to provocations from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ereinafter North Korea) rather than prepare for the potential threat from IS. Therefore, this paper studied the necessity to fortify countermeasures prepared against Islamic terrorism not only in the short term but also in the medium and long term.
Third, the paper analyzed North Korea's strategies regarding Republic of Korea and its threats of terrorism. Since the 1953 Armistice, North Korean terrorism has continued up to the present while actively undergoing change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As some experts have recently warned of threats of terrorism from the North Korean regime, which is linked to international terrorism such as IS, this paper suggests the necessity for ROK military to fortify a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terrorism.
Fourth, subsequent to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unter-terrorism policies of the world’s major countries, the paper delves into emphasizing, while referencing these countries’ policies and systems, that Republic of Korea must promptly fortify practical preventative measures that are customized to the country’s own situation. Additionally, I offered the suggestion through this paper that it is necessary to simultaneously develop abilities to executes immediate countermeasures against terrorism and also implement appropriate follow-up measures. I also suggested the backup requirements needed in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the counterterrorism policy.
Fifth, in major countries including United States, the government assumes leadership in operating the anti-terrorism system and anti-terrorism center, thereby unifying the command system including the armed forces. In comparison, in Republic of Korea the Anti-terrorism Act legislated and enacted in the first half of 2016 designated that the operation shall be assumed by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under the Prime Minister's Office. However, because it is separate from the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we can foresee problems the event of large-scale terrorism in that there may be lack of singular consistency in the counter-terrorism strategy. Therefore, a proposal that was customized to the actual situ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was made, which is to set up the operation in the National Security Office of the Blue House that coordinates and controls politics, diplomacy, unification, and security.
Sixth, Republic of Korea's Anti-terrorism Act came into effect in June 2016 only as a means toward the direction of fortifying its physical control. However, experts have expressed concern and posited that it should be improved due to worries about the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from strengthening intelligence agencies, the problem of military force management restriction in the event of terrorism, and equity with other laws.
Therefore, in the paper I sought to suggest a reasonable and effective improvement plan through a close review of the main controversial matters related to the Anti-terrorism Act and then posited the necessity to improve the Anti-terrorism Act and Enforcement Decree as well as to fortify institutional progressive measures in order to prevent and minimize damages through an active involvement of the military from the early stage in the event of a terrorist attack.
In conclusion, it was specifically suggested through this paper that in consideration of the domestic and foreign environmental factors, i.e. security situ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the Anti-terrorism Act and Enforcement Decree should be corrected and improved so that the military would actively participate from the early stage onwards in the event of an attack of New Terrorism. Through such changes, the government, the citizens, and related organizations and military should be able to provide a well-established responsive system, which is deemed the best option of all, and it should actively respond from the early stage in the event of terrorism so that the event can be suppressed early on. It was also evaluated that now is the time to equip and establish a societal foundation system for prompt follow-up measures after the event and thus the necessity for such preparation was posited. The paper discussed these matters with the focus on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complementary measures as well as fortification of the role of ROK armed forces.

Key words : New Terrorism, Islamic Extremism, Islamic State, Terrorism against Republic of Korea, Anti-terrorism Act and Enforcement Decree, Anti-Terrorism Center, National Security Office| 미국에서 발생한 9ㆍ11 테러리즘과 2015년 11월에 발생한 프랑스 동시다발 테러리즘 및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각종 테러리즘은 새로운 개념으로 변환되고 있는 뉴테러리즘(New Terrorism)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뉴테러리즘이 불특정 대상의 다수를 무차별적으로 공격하게 됨으로써 세계 주요 국가들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대책을 강구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
한국은 21세기에 들어서 국제사회의 중심부로 부상하였고 경제ㆍ사회ㆍ문화를 비롯한 정치ㆍ군사 등 제반 분야에서 글로벌화 추세에 맞는 참여 활동을 통하여 국격이 지속적으로 상승되어 왔다. 따라서 한국은 선진강대국과 개발도상국은 물론 아랍권 국가들과 최근 주요 테러리즘을 자행하는 이슬람극단주의(IS) 등의 테러리즘 단체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으며 이들로 부터 테러리즘 대상국으로 지목 받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냉전시기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테러리즘의 발생원인에 대해서 법적ㆍ제도적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공간적 범위는 미국, 영국, 프랑스, 기타국가 등 주요국가의 테러리즘 사례를 비교 및 평가하여 국제테러리즘과 북한의 테러리즘, 그리고 이들이 연계된 테러리즘 등의 새로운 위협을 분석하였다. 기본적인 방법은 문헌분석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사례를 중심으로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제도적인 개선방안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관련법과 제도적 문제는 해당 전문가들과의 인터뷰와 대담자료 및 테러방지법조항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뉴테러리즘의 확산 원인에 대한 이론을 분석하고, 한반도의 국내․외적인 안보환경(상황) 요인과 한국 대테러리즘 체계의 법률적 측면 및 추진체계 측면의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세계 주요국가의 대테러정책과 제도를 비교 평가하여 이를 바탕으로 현 한국의 테러방지법 및 대테러대책의 제도적인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방안의 중점은 주로 한국군의 역할 강화방안을 제시하는데 두고 아래와 같이 논술하였다.
첫째, 한국의 안보상황과 발생 가능한 테러 위협에 대한 국내ㆍ외 환경적 요인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먼저 국내적 요인으로는 다문화국가로 발전되고 있고 외국인 노동자와 국내여행객의 급격한 증가와 탈북자의 증가 및 북한의 테러위협 등으로 인하여 파생되는 경제적ㆍ사회적ㆍ문화적 충돌을 뉴테러리즘 요인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다음 국외적 요인으로는 테러가 자주 발생하는 중동의 이슬람권지역에 한국기업의 활동, 종교 및 봉사단체의 적극적인 활동,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해외파병, 해외 여행객의 증가 등은 군사적ㆍ사회적ㆍ종교적 문제로 발전되어 테러리즘의 환경적 요인이 크게 변화되고 있는 실정으로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이슬람 테러리즘에 대한 위협분석이다. IS 등은 초국가적, 비대칭적 테러조직으로서 미국의 동맹국인 한국이 이라크 무장세력 퇴치를 위해 쿠르드 지역에 파병한 전력이 있으며, 향후에도 필요하다면 추가로 파병할 수도 있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은 한국을 테러 대상국에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이에 대한 대비보다는 북한의 도발에 우선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실태이다. 따라서 이슬람 테러리즘에 대한 대책도 단기적 뿐만 아니라 중ㆍ장기적으로 강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검토하였다.
셋째, 북한의 대남전략과 테러위협분석이다. 북한의 테러리즘은 1953년 휴전이후 지금까지 상황에 따라 변화를 추구하면서 지속되어왔으며 최근에는 IS 등의 국제테러리즘과 연계된 북한정권 차원의 국가지원 합작테러에 대한 위협도 일부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는 실정으로서 한국군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대응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국제사회속의 주요 국가들의 테러대비 정책을 참고하여 이들 국가의 정책과 제도를 비교ㆍ분석한 후 한국의 실정에 적합한 실질적인 예방대책이 조속히 강구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테러리즘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과 적절한 사후조치를 위한 대책이 병행되어야 하는 필요성과 함께 대테러리즘 정책의 제도적 발전을 위한 보완 소요도 함께 제시하였다.
다섯째, 미국 등의 세계 주요 국가들은 대테러체제와 대테러센터 등을 정부가 주도적으로 운영함으로서 군을 포함한 지휘체계를 단일화하는 등 실질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한국은 2016년 상반기에 법률상 국무총리실 예하의 국무조정실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테러방지 법률이 제정 및 발효되었다. 그러나 국가위기관리시스템과 분리되어 있어서 북한과 연계된 대규모 테러 발생 시 일사분란한 대테러작전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한국의 현실에 적합한 대안으로서 정치ㆍ외교ㆍ통일ㆍ안보를 조정 및 통제하는 청와대 국가안보실에 설치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한국의 테러리즘 방지법은 물리적인 통제력만 강화하는 방향으로 2016년 6월에 발효되었으나 정보기관의 권한강화로 인한 인권침해가능성, 상황발생시 군 병력 운용 제한 문제, 타 법률과의 형평성 문제 등은 조속히 개선이 되어야 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우려를 표하고 있다. 따라서 테러방지법과 연관된 주요 쟁점사항을 면밀하게 검토하여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군이 테러발생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가담하여 예방 및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테러방지법 및 시행령 개선과 제도적 발전 방안을 강구해야 할 필요성과 함께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국내·외 환경적 요인 측면, 즉 한반도 안보상황을 고려하여 뉴테러리즘 발생 시 군이 초기부터 적극 개입하도록 테러방지 법률과 시행령을 보완하고 개선하여야 함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정부와 국민 그리고 관련된 기관과 군이 통합된 대응체제를 잘 갖추어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며 테러리즘 발생 시는 초기부터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조기에 진압될 수 있도록 하고, 사후조치도 신속하게 하기 위한 사회적 기반체계까지도 정비하고 갖추어야 할 시점이라 판단되어 이에 대한 필요성도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들에 대해서 제도적 개선과 보완대책은 물론 특히 한국군의 역할 강화방안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고 논술하였다.
주제어 : 뉴테러리즘, 이슬람극단주의, 이슬람국가(IS), 대남테러, 테러방지법 및 시행령, 대테러센터, 국가안보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Fortification Plan for Role of ROK Armed Forces as Countermeasure to Spread of Terrorism
Alternative Author(s)
Kim. Tae S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군사학과
Advisor
김재철
Awarded Date
2017-08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4
1. 연구의 범위 4
2. 연구의 방법 5

제2장 이론적 배경과 분석의 틀 7
제1절 이론적 배경 7
1. 테러리즘의 개념 7
2. 테러리즘의 특징 12
3. 테러리즘의 유형 13
제2절 선행연구 검토 18
제3절 연구의 분석틀 21
1. 테러리즘에 대비한 테러정책의 환경분석 21
2. 대테러리즘 법률․추진체계에 대한 논의 22
3. 분석틀 25
제3장 한국의 대ㆍ내외적 테러위협 분석 27
제1절 국제테러리즘 확산과 테러위협 27
1. 이슬람테러리즘 확산과 테러위협 분석 27
2. 이슬람테러리즘의 궁극적 목표와 테러위협 40
제2절 북한의 대남전략과 테러위협 48
1. 북한의 대남전략 분석 48
2. 북한 테러리즘의 궁극적 목표와 테러위협 66
제3절 한국의 안보상황과 발생 가능한 테러위협 82
1. 한반도 안보상황과 테러위협 분석 82
2. 한국사회에서 발생 가능한 테러위협 87

제4장 외국과 한국의 대테러체제 분석 93
제1절 외국의 대테러정책과 군의 역할 93
1. 대테러정책과 대테러부대 운용실태 93
2. 대테러정책과 군의 역할 분석 103
제2절 한국의 대테러체제 실태와 문제점 104
1. 대테러정책 추진실태 104
2. 대테러부대 운용실태 116
3. 대테러 대비태세의 문제점 118
제5장 대테러리즘에 대비한 한국군의 역할
강화방안 121
제1절 뉴테러리즘 대응시 군 전력운용의 필요성
및 제한사항 121
1. 뉴테러리즘 대응시 군 전력운용의 필요성 121
2. 뉴테러리즘 대응시 군 전력운용의 제한사항 127
제2절 군의 테러대응체제 분석과 보완방향 130
1. 방어적 대테러작전시 군의 역할 132
2. 공세적 대테러작전시 군의 역할 136
3. 군의 테러대응체제 완비를 위한 보완방향 138
제3절 대테러작전간 군의 역할 강화방안 139
1. 국가차원의 대테러 역량강화 방안 140
2. 한국군의 대테러 역량강화 방안 143

제6장 결 론 148

참고문헌 153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김태성. (2017). 테러리즘 확산에 따른 한국군의 역할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33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644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7-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