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한국 노인에서 사회적 관계,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인지기능과 우울 증상과의 관련성

Metadata Downloads
Author(s)
신환호
Issued Date
2016
Keyword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ve function, Depressive Symptom, Korean National Survey on Older Adults, Social relations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relations,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ve function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Korean elderly.
Methods: Study subjects were 10,260 elderly participated in 2014 Korean National Survey on Older Adults. General characteristics, social relations,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ve functions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collected by face-to-face interview. Descriptive analyses, chi-square test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AS 9.4 statistical program.
Results: Among participants, 33.0% of elderly had depressive symptoms. In the results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odds ratios (OR) for depressive symptom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lderly without housemate [OR=1.19, 95% 95% confidence interval (CI)=1.01-1.40], without contact of living children (OR=1.87, 95% CI=1.01-3.46), lower social activity (OR=2.01, 95% CI=1.71-2.38) and without contact of friends (OR=1.49, 95% CI=1.31-1.70). And impaired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OR=1.76, 95% CI=1.27-2.44, IADL: OR=1.60, 95% CI=1.30-1.98) and cognitive impairment (OR=1.19, 95% CI=1.04-1.37) were also associated the risk of depressive symptoms.
Conclusion: About 33% of the elderly had depressive symptoms. Depressive symptoms of the elderly were associated with social relations,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cognitive function. Social support for elderly who lack social relationships and services to improve the daily life of elderly with impaired activities are helpful to decrease depressive symptoms. An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manage the depressive symptoms of elderly with impaired cognitive function.|본 연구는 인구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노인 우울 등의 정신건강의 문제점이 대두대고 있어 우리나라 노인의 우울 현황을 파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 자료는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10,451명 중 대리응답을 하였거나, 인지기능 검사를 하지 않은 191명을 제외한 총 10,26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9.4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우울 증상을 가지고 있는 노인은 33.0%였고,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독거 가구인 경우(OR=1.19, 95% CI=1.01-1.40), 비 동거 자녀가 있지만 연락을 하지 않는 경우(OR=1.87, 95% CI=1.01-3.46), 연락만 하는 경우(OR=1.36, 95% CI=1.04-1.79), 사회활동을 적게 하는 경우(1개: OR=2.01, 95% CI=1.71-2.38, 2개: OR=1.48, 95% CI=1.27-1.74), 친구/이웃/지인이 없거나(OR=1.49, 95% CI=1.31-1.70), 연락만 하는 경우(OR=3.05, 95% CI=1.68-5.55), 한 달에 한 번 미만 왕래하는 경우(OR=1.69, 95% CI=1.30-2.20),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의존적 노인인 경우(ADL: OR=1.76, 95% CI=1.27-2.44, IADL: OR=1.60, 95% CI=1.30-1.98), 인지장애인 경우(OR=1.19, 95% CI=1.04-1.37) 우울 증상에 대한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약 33%가 우울 증상이 있었고, 노인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 동거 자녀와의 관계를 포함한 사회적 관계, 일상생활 수행능력, 인지기능 등이 작용하였다. 향후 사회적 관계가 부족한 노인에 대한 지지와 신체기능 저하 노인에 대한 일상생활 향상에 필요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고, 인지기능 저하 노인에 있어 우울증의 동반 가능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관리한다면 우울증을 감소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Alternative Title
The associations between social relations,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ve function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Korean elderly : 2014 Korean National Survey on Older Adults
Alternative Author(s)
Shin, Hwan Ho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Advisor
한미아
Awarded Date
2017-02
Table Of Contents
표 목차 ⅲ
Abstract ⅳ

I. 서론 1

II. 연구 대상 및 방법 4
A. 연구 대상 및 자료 4
B. 이용 변수 5
C. 분석 방법 8

Ⅲ. 연구 결과 9
A. 연구대상자의 특성 분포
1. 일반적 특성 9
2. 건강관련 특성 11
3. 사회적 관계 12
4. 일상생활 수행능력 14
5. 인지기능 15
6. 우울 증상 16
B. 연구대상자 특성에 따른 우울 증상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증상 17
2.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우울 증상 19
3. 사회적 관계에 따른 우울 증상 21
4.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따른 우울 증상 23
5. 인지기능에 따른 우울 증상 24
C.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우울 증상 관련 요인 25

IV. 고찰 27

Ⅴ. 요약 및 결론 31

참고문헌 32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신환호. (2016). 한국 노인에서 사회적 관계,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인지기능과 우울 증상과의 관련성.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22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6228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7-02-21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