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빛을 활용한 조각보 공예품 개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미자
Issued Date
2016
Keyword
전통문화, 융합, 조각보, 기술, 공예품, 인공 빛, EL
Abstract
In this age, traditional crafts play roles as a bridge connecting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the present and the future and also in maximizing cultural value influencing our lives with the process of creative communication through culture. By rediscovering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and integrating cultural diversity with Korean-style, creative ideas and new technology, modernized ‘reinterpretation’ and ‘re-creation’ are being conducted, and traditional crafts’ popularization, modernization, globalization, and convergence are being performed as national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convergent combination on traditional crafts in the aspects of modernization and find out ways to form environment where new changes can be realized. This author proposes developing patchwork craftwork applying light through convergence between traditional crafts, patchwork, and new material, artificial light of EL (Electro-Luminescence),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modernizing traditional crafts. Furthermore, based on the technology, material, and process to apply light to traditional patchwork, it suggests how to form such environment while contributing to modernizing traditional patchwork afterwards, too.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geometric compositions and forms of formative elements found in traditional patchwork according to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crafts and suggest contemporary design possibility by reinterpreting the beauty of Korea as the original, formative beauty. Applying the Korean images of traditional crafts to contemporary design demanding newness continuously to the trends, this researcher focuses on creating beauty with value. Also, this author constructs formative images by making lines and surfaces into plane and cubic expressions in order to express beauty diversely. Designing the freeness and emotion of contemporary senses grounded on traditional crafts, this researcher extends light from its roles of unconscious material remaining as softness and delicacy in our people’s sentiment so as to turn people’s eye to craftwork combined with fiber. Based on that, this author uses new technology and technique in the area of crafts to develop creative and competitive craftwork and furthermore strives to change it into competitive craftwork compared to industrial produc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a new form of approach to develop convergent craftwork in the future by presenting realization of practical forms and conducting theoretical consideration over traditional patchwork and artificial light of EL at the point of combining technology and tradition as well as technological, artistic, and emotional elements that need to be considered afterwards in developing convergent craftwork in the process of modernizing traditional crafts.
|현대의 전통공예는 문화를 통한 창조적 소통의 과정으로 삶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가치의 극대화와 과거와 현재,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는 가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전통문화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문화의 다양성에 한국적이고 창의적 아이디어와 신기술 접목을 통한 현대적 ‘재해석’과 ‘재창조’가 이뤄지고 있으며, 전통공예의 대중화, 현대화, 세계화, 융합화 등이 국가 정책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공예의 현대화 관점에서 전통조각보의 융합(融合)적 결합을 통해 새로운 변화가 이뤄질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 도출로 전통공예인 조각보와 새로운 소재인 인공 빛 EL(Electro-Luminescence)의 융합을 통해 빛을 활용한 조각보 공예품의 개발을 제안함으로써 전통공예의 현대화 방안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전통조각보에 빛을 활용할 수 있는 기술, 소재, 프로세스를 근거로 향후 전통조각보의 현대화에 따른 기여는 물론, 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이다. 전통공예의 현대화에 따른 여러 전통조각보에 나타난 조형적 요소인 기하학적 구성과 형태를 분석하고 독창적인 조형미로 한국미의 재해석을 통해 현대적인 디자인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더 나아가 한국문화를 세계화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트랜드(trend)에 따라 끊임없이 새로움이 요구되는 현대 디자인에 전통공예의 한국적 이미지를 응용하여 가치 있는 미(美)창조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아름다움을 다양하게 표현 할 수 있도록 선과 면을 평면과 입체로 표현하여 조형(造形)적 이미지로 구성하였다. 전통공예를 기초로 한 현대 감각의 자유로움과 감성적 디자인으로 빛이 우리 민족 정서에 부드럽고 은은함으로 남아있는 무의식적 소재의 역할에서 확장하어 섬유와 결합된 공예품에 관심을 갖게 하였다. 이를 토대로 공예분야의 새로운 기술과 기법을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경쟁력 있는 공예품을 개발하고 나아가 공산품과 비교해서 경쟁력 있는 공예품으로 변화하는데 주력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전통공예의 현대화 과정에 융합을 통한 공예품 개발에 고려해야 할 기술적, 예술적, 감성적 요소들과 기술과 전통의 결합 지점에 전통조각보와 인공 빛 EL(Electro-Luminescence)이론적 고찰과 실제적 형태의 구현을 제시함으로써 미래 융합(融合)적 공예품 개발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접근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lternative Titl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Light embedded Jogakbo
Alternative Author(s)
Lee, mi ja
Affiliation
창의공학디자인융합학과
Department
일반대학원 창의공학디자인융합학과
Advisor
이진렬
Awarded Date
2017-02
Table Of Contents
01 서론
1절 연구의 배경
2절 연구의 목적
3절 연구의 구성
02 이론적 고찰
1절 조각보에 대한 고찰
1. 조각보의 개념과 특성
2. 조각보의 활용 요소
2절 조각보의 현대화에 대한 고찰
1. 전통공예의 현대화
2. 조각보의 현대화
03 조각보에 응용 가능한 빛 소재 연구
1절 빛의 개념과 특성
2절 조각보에 응용 가능한 인공 빛 소재
1. 인공 빛의 개념과 종류
2. EL 소재의 특성과 종류
3절 EL 소재를 응용한 빛 구현 방향
1. 조각보와 빛의 물리적 요소 선 · 면
2. 조각보와 빛의 심리적 요소 색(色)
04 빛을 활용한 조각보 공예품 제작
1절 빛 조각 재료 선정
2절 빛 조각 재료 손질
3절 빛 조각 형태 구성
4절 빛 조각 공예품 최종설계
05 결 론
1절 연구의 결과
2절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참고문헌
국문초록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미자. (2016). 빛을 활용한 조각보 공예품 개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12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6042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7-02-21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