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비주얼 패러그래프에서 표지 그래픽과 그 역할

Metadata Downloads
Author(s)
노제희
Issued Date
2016
Keyword
인포그래픽, 정보시각화, 비주얼 패러그래프, 표지 그래픽
Abstract
Understanding the visual language demands the ‘Visual clue’ which helps the information audiences comprehend the structure of the visual language and grasp the meaning from the structure. In this respect, the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the signal graphic as the visual clue and their roles on the visual paragraph which is a mass of graphics stemmed from concept and structure of text paragraph.

In terms of the written language: texts, the information audiences examine the structures of the texts in order to grasp the intention and meaning of the information providers more easily when they read the texts. However, when the structure of the text is unclear or the content is not familiar with the information audiences, they experiences difficulty with comprehending the texts by examining the structure only. In the situ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audiences tries to employ the marker of text structure providing the clues about the relations between the proposit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 more easily. By the idea that visual clue has on impact on visual language like those of text, I defined the type and concept of the visual graphic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texts. When considering the visual paragraph, I considered that the visual clue, similar to that of the text, would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visual paragraph if the type of the visual paragraph were unclear.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roles of the signal graphic and to see if the graphic is recognized by the information audiences in practice by defining the concept of the signal graphic on the visual paragraph.
The study is divided into two processes; one was to investigate the related references to define the concept and type of the signal graphic on the visual paragraph; the other was a case study to figure out the role and validity of the signal graphic based on the reading function of the marker of text structure. The following result was drawn by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he literature review enabled the researcher to gain the five conclusions. The first was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signal graphic which connect the different information on the visual graphic. Second,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types of the signal graph into five types: list type, cause-effect type, problem-solution type, comparison type, time flow type. Third, the signal graphic is subdivided the signal graphic into the point-point signal graphic and the cluster-cluster signal graphic; the point-point signal graphic is detailed and direct whereas the cluster-cluster is revealed as a structural form. Fourth, it is seen that cause-effect and problem-solution types of signal graphics tend to be unclear because of the semantic relations. Fifth, it was confirmed that more than two types of signal graphics were shown in the one visual graph.
By the case study, there were fourth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information audiences, in practice, recognized the signal graphic whose concept is defin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Second, the signal graphic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adability of the information consumers; the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al stimulants with the signal graphic and the stimulants without the signal graphic shows that the graphic helps the consumers to comprehend the information. Third, the study show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signal graphic can be predictable. Fourth, I validated that the speed of recognizing the information becomes faster by signal graphics. The study reveals that the information audiences can understand the information more easily by employing the signal graphics when learning the visual language.
It is expected that the signal graphics is actively used to improve the visual literacy and the information providers employ the signal graphic to improve the visual literacy of the audiences. In addition to this, it is essential to conduct a follow-up study in order to definitize the signal graphics and figure out the details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signal graphics.
|정보 수용자가 시각언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각언어의 구조와 그 안에서 시각언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종의 ‘시각적 단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의 구조 유형과 유사한 개념으로 의미를 지니는 그래픽 덩어리인 비주얼 패러그래프에서 시각적 단서로써 표지 그래픽의 개념과 그 역할을 제시하였다.

읽는 문화에서 정보 수용자는 문자언어인 텍스트에서 정보 제공자의 의도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텍스트의 구조를 활용해 정보를 보다 쉽게 이해하려한다. 그러나 텍스트의 구조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거나 텍스트의 내용이 정보 수용자에게 친숙하지 않을 경우 텍스트의 구조만으로는 정보 수용자가 텍스트를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때 정보 수용자는 정보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명제들 간의 관계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는 언어적 장치인 텍스트 표지어를 활용해 텍스트를 이해하려고 한다. 이와 유사한 개념인 시각적 단서가 시각 언어에서도 나타날 것이라는 생각을 토대로 비주얼 패러그래프의 개념과 그 유형을 정립하였다. 또한 비주얼 패러그래프에서도 비주얼 패러그래프의 유형이 뚜렷이 드러나지 않을 때 텍스트 표지어와 비슷한 개념의 시각적 단서가 비주얼 패러그래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비주얼 패러그래프에서 표지 그래픽의 인식여부와 역할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비주얼 패러그래프에서 표지 그래픽의 개념과 유형을 정립하고, 텍스트 표지어의 독해 기능을 바탕으로 표지 그래픽의 유효성과 그 역할을 파악하는 사례연구로 진행되었다.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한 결과는 여섯 가지이다. 첫째, 비주얼 패러그래프 안에서 정보와 정보를 연결해주는 연결 장치인 표지 그래픽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둘째, 표지 그래픽의 유형을 나열 유형, 원인·결과 유형, 문제·해결 유형, 비교·대조 유형, 시간의 흐름 유형인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셋째, 표지 그래픽을 포인트-포인트(point-point)를 연결해주는 표지 그래픽, 클러스터-클러스터(cluster-cluster)를 연결해주는 표지 그래픽으로 세분화 시킬 수 있었다. 포인트-포인트를 연결해주는 표지 그래픽은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형태로 나타나며 클러스터-클러스터를 연결해주는 표지 그래픽은 구조적인 형태로 나타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원인·결과, 문제·해결 유형의 표지 그래픽은 의미적인 관계로 나타나기 때문에 표지 그래픽이 뚜렷이 드러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하나의 비주얼 패러그래프 안에 두 가지 이상의 표지 그래픽 유형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표지 그래픽의 역할을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비주얼 패러그래프의 구성 요소들의 결속력을 높여줄 것이다. 둘째, 정보들의 의미 관계를 유추할 수 있게 도움을 주며 셋째, 비주얼 패러그래프의 유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넷째, 정보의 전개 예측에 도움을 주며 다섯째, 정보 인식 속도를 향상시켜 줄 것이다. 다음으로 사례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네 가지이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개념을 정립한 표지 그래픽이 실제로 정보 수용자들에게 인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표지 그래픽이 정보 수용자의 가독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표지 그래픽이 존재하는 실험 자극물과 표지 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실험 자극물의 비교를 통해 표지 그래픽이 정보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표지 그래픽의 역할인 전개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표지 그래픽으로 인해 정보 인지 속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정보 수용자들은 시각언어를 받아들일 때 표지 그래픽을 활용하여 보다 쉽게 정보를 이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표지 그래픽이 시각적 문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발히 활용될 것이라 기대하며, 정보 제공자 또한 정보 수용자의 시각적 문식성을 높이기 위해 표지 그래픽을 활발히 활용할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표지 그래픽이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표지 그래픽을 조금 더 구체화시키고 세부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Alternative Title
The Signal Graphics of Visual Paragraph and their Roles
Alternative Author(s)
Roh, Je Hee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창의공학디자인융합학과
Advisor
류시천
Awarded Date
2017-02
Table Of Contents
01 서 론
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2
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4

02 인포그래픽과 비주얼 패러그래프
1절 인포그래픽의 이해 7
1. 인포그래픽의 개념 및 정의 7
2. 인포그래픽의 특성 8
2절 비주얼 패러그래프의 개념 및 유형 10
1. 언어학에서 텍스트의 의미와 유형 10
2. 인포그래픽에서 비주얼 패러그래프의 정의 13
3. 비주얼 패러그래프의 요소 13
4. 비주얼 패러그래프의 유형 16
3절 비주얼 패러그래프의 가독성 22
1. 가독성 테스트에 대한 목적 및 방법 22
2. 테스트 설계 및 실험 자극물 선정 24
3. 가독성 테스트 결과 28

03 비주얼 패러그래프에서 표지 그래픽의 개념
1절 텍스트에서 표지어 30
1. 표지어의 정의 30
2. 표지어의 구조 33
3. 표지어의 역할과 기능 39
2절 비주얼 패러그래프에서 표지 그래픽 42
1. 표지 그래픽의 정의 42
2. 표지 그래픽의 유형 42
3. 표지 그래픽의 역할 44
4. 표지 그래픽의 중요성 44
3절 표지 그래픽의 유형에 따른 정보의 시각화 45
1. 나열 유형 45
2. 원인·결과 유형 47
3. 문제·해결 유형 49
4. 비교·대조 유형 51
5. 시간의 흐름 유형 53

04 표지 그래픽에 대한 사례연구
1절 사례연구 목적 및 방법 60
2절 실험 자극물 및 설문지 설계 62
1. 실험 자극물 선정 62
2. 설문지 설계 및 설문 대상 77
3절 사례연구 결과 81

05 결 론
1절 연구 결론 87
2절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 89
3절 금후 연구 과제 90

참고문헌 91

국문초록 97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노제희. (2016). 비주얼 패러그래프에서 표지 그래픽과 그 역할.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12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6040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7-02-21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