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아파트 오픈스페이스 영역성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하연
Issued Date
2016
Keyword
커뮤니티 활성화, 영역성, 아파트 오픈스페이스
Abstract
Because Apartment policy in Korea had been concentrated in quantitative supply and function, various social problems occurred due to the lack of concept of ‘neighbor’ among residents. So, various movement for community recovery or invigoration began to appear. This study has an interest in the territoriality for community invigoration and tries to find the methods to form it. The concept for community and territoriality, the community invigoration elements of apartment open space, and the methods for territoriality formation are considered through precedent studi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elements for community invigoration consist of accessibility, safety, comfortableness, and location and that the methods for territoriality formation consist of vertical boundary control, cognitive changes, device elements, and individu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cases of apartment open space in Gwangju city are analyzed focused on accessibility, safety, comfortableness, and location.
Frist, accessibility signifies to induce and to promote contacts and exchanges considering convenience of access and use. The results of case study show cognitive changes, device elements, vertical boundary control, and individuation in order. Cognitive changes could be seen as different height of floor surface, similar pattern materials of floor surface, pattern of floor surface, material change, steps, or stairs and device elements could be found in lighting installation(bollard light, streetlight), bench, pergola, table, gazebo, and a fountain. Vertical boundary could be passively found in trees and fences. Device elements for rest like bench and pergola can be found more, but, another element is needed to stimulate various activities, in most cases, the changes in color, pattern, or materials of floor surface are used somewhat thoughtlessly. The design of floor should be considered to clarify the change of territories for pedestrians.
Second, safety signifies for the residents not to experience limitations to lead a safe and convenient life and the results of case study show that the safety could be found in vertical boundary control, cognitive changes, device elements, and individuation in order. For vertical boundary control, trees, fences, wall, and pillar are used, and for cognitive changes, variation of floor pattern, material, and height are used in the floor surface. Device elements such as lights(bollard light, streetlight, floor light, bench light), tables, benches are also found. In most cases, vertical boundary control is used to give surrounding for space using trees for safety and comfortableness, but, overuse of trees would close the space down from people and lead to the lack of safety and the decrease of space use in some cases. To secure the surroundings and the view at the same time, proper combination of shrubs and trees is recommended.
Third, comfortableness signifies general, eco-friendly, and aesthetic feeling on spaces and is influenced by cognitive changes, vertical boundary control, individuation, and device elements in order. Cognitive changes are seen in the height gap, natural materials and color, and pattern design, vertical boundary control is seen in trees, individuation in sculptures, and device elements in a fountain. Most of the cases, trees are used for vertical boundary control, water space for cognitive changes, floor design for cognitive, and sculpture for individuation to stress esthetic environment. But, natural elements and colors took possession of the total space compare to design space. So, various colors, object, sculpture can be recommended to increase aesthetic impression and to induce positive response for design, and to be used consistently.
Fourth, location signifies establishment of identify for space itself, through significance to the space, to induce human activity. The case study showed individuation and device elements. Individuation contains object and sculpture and device elements contains pergola and circle flower-bed. In cases, sculpture or object make a cognition of entrance and a landmark such as rides at an amusement park can be used to recognize the open space using design elements. Also, interesting spaces such as a rest area, a stage, and a water space can be used to induce natural access for the visitors to the space and to think as a meaningful experience. Loc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accessibility in the point that recognition leads to access.
In this study, analyzing the methods to form the territoriality for community invigoration focusing in the cases of apartments in Gwangju city, I would like this paper to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for invigoration of open space in apartment community.|우리나라의 아파트는 양적공급, 기능성에만 치우치게 되면서 거주자 간 ‘이웃’의 개념이 결여됨에 따라 각종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고, 이에 커뮤니티 회복, 활성화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영역성에 주목하여 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선행연구를 통해 커뮤니티와 영역성에 대한 이해, 아파트 오픈스페이스의 커뮤니티 활성화 요소, 영역성 형성방법을 고찰한 결과 커뮤니티 활성화 요소는 접근성, 안전성, 쾌적성, 장소성로 나타나며 영역성 형성방법은 수직적 경계조절, 인지적 변화, 장치요소, 개성화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광주광역시 아파트 오픈스페이스의 사례 분석하였으며, 접근성, 안전성, 쾌적성, 장소성 측면에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접근성은 접근의 편리함과 이용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접촉과 교류를 유도하고 증진시키는 것을 말하며 사례분석 결과 인지적 변화, 장치요소, 수직적 경계조절, 개성화 순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변화는 바닥면의 단 차이, 바닥면의 유사 패턴 재료 사용, 바닥면의 패턴, 재료 변화, 계단, 바닥면의 층 분리, 경사로가 나타났고 장치요소는 조명장치(볼라드등, 가로등 등), 벤치, 파고라, 테이블, 정자, 분수대가 있었다. 수직적 경계조절은 소극적으로 나타났으며 수목, 담장으로 나타났다. 벤치, 파고라와 같이 휴식을 위한 장치요소가 많이 나타나고 있었으나 보다 다양한 행위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가 필요하며, 대부분의 사례에서 새로운 영역의 형성은 바닥면의 색·패턴·재료 변화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다소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바닥면의 디자인은 보행자의 시선에서 고려하여 영역의 변화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고려한다.
둘째, 안전성은 모든 거주자들이 한계를 경험하지 않고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하며 사례분석 결과 안전성은 수직적 경계조절, 인지적 변화, 장치요소, 개성화 순으로 나타났다. 수직적 경계조절은 수목, 펜스, 담장, 기둥이 있었고 인지적 변화는 바닥면의 패턴, 재료 변화와 단 차이로 나타났다. 장치요소는 조명(볼라드등, 가로등, 바닥등, 조명벤치), 테이블, 벤치가 있었다. 대부분 수직적 경계조절로써 수목을 통해 공간의 위요성을 부여하여 안전 확보뿐만 아니라 쾌적성을 고려하고 있지만, 몇몇 사례에서 나타난 수목의 과다 사용은 오히려 공간의 폐쇄감을 느끼게 하며 사람들의 시선이 미치지 않는 영역을 형성하게 되면서 안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공간의 이용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수목보다는 낮은 관목을 사용하고 수목을 적절하게 사용, 배치한다면 공간의 위요성을 부여하면서 시각적 개방감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쾌적성은 공간에 대한 전반적인 친자연적, 미적 쾌적함을 말하며 사례분석 결과 인지적 변화, 수직적 경계조절, 개성화, 장치요소 순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변화에서는 바닥면의 단 차이, 자연적 재료와 색, 패턴 디자인이 나타나고 수직적 경계조절에서는 수목, 개성화는 조형물, 장치요소는 분수대로 나타났다. 대부분 수직적 경계조절로써 수목, 인지적 변화로써 수공간을 통해 친자연적 환경을 제공하고, 인지적 변화로써 바닥면의 디자인, 개성화로써 조형물을 통해 심미성을 부여하고 있지만 전체공간은 자연요소, 자연의 색이 대부분을 자치하며 디자인을 통한 공간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주변과의 조화를 고려한 다채로운 색 사용, 오브제, 조형물 등 디자인 요소를 통해 심미성을 향상시켜 공간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 유도, 지속적인 이용이 나타날 수 있는 계획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넷째, 장소성은 공간만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것으로 장소에 의미를 부여해 인간의 활동을 유발시키는 것을 말하며 사례분석 결과 개성화와 장치요소가 나타났다. 개성화는 오브제, 조형물이 있었고 장치요소는 파고라, 원형화단이 있었다. 사례에서는 조형물이나 오브제 등을 통해 입구를 규정, 공간의 상징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놀이터의 놀이기구처럼 오픈스페이스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랜드마크적, 디자인적 요소 도입하여 오픈스페이스만의 개성 있는 공간을 연출한다. 또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영역(휴식공간, 공연무대, 수공간 등) 형성으로 자연스러운 접근을 유도하고 이용자들에게도 다양한 체험과 의미 있는 공간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장소성은 공간을 인지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접근성과 긴밀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내 아파트 사례를 중심으로 오픈스페이스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영역성 형성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아파트 오픈스페이스의 커뮤니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활성화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Territoriality in Apartment Open Space
Alternative Author(s)
Lee, Ha Yeo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디자인학
Advisor
문정민
Awarded Date
2016-08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4
1.3. 연구 흐름도 5
1.4. 선행연구 고찰 6

Ⅱ. 이론적 고찰 8
2.1. 커뮤니티와 오픈스페이스 9
1) 커뮤니티의 개념과 이해 9
2) 커뮤니티 공간으로써 오픈스페이스 11
3) 아파트 오픈스페이스의 커뮤니티 활성화 요소 16

2.2. 커뮤니티와 영역성 24
1) 영역성의 개념과 이해 24
2) 커뮤니티와 영역성의 관계 28
3) 아파트 오픈스페이스의 영역성 형성 방법 29

Ⅲ. 사례분석 33
3.1. 사례분석 개요 34
3.2. 사례분석 39
3.3. 소결 60
Ⅳ. 결론 66

【참고문헌】 69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이하연. (2016).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아파트 오픈스페이스 영역성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297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5812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6-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