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제7차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물리 부분 성취기준 비교 분석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와 과학과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나무
Issued Date
2016
Keyword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7차 교육과정, 성취기준, 핵심역량,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
Abstrac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developed to aim at integrating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 educating students with creativity and fused thinking, and promoting their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future. They suggested the goal of the curriculum such as fostering better literacies for liberal arts, social studies, and science and technology, integrated study of multi-discipline, and exploration of core competency. In the line of that movement, integrated science for high school was newly designed. Five science core competencies and the goal of science education were deeply related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curriculum because they emphasized the science core competencies which students should theoretically attain with their guidances. However, the relevance between core competency and achievement standards have not analysed much so far in the previous research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eature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physics part in the 7th and 2015 revision science curriculums considering the relation to core competency. For this, firstly, we compared achievement standards of two curriculums in elementary, middle, and 1st grade high school science on the basis of the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Secondly, the same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sed with contents-performance frame developed by the author. Finally, similar analysis was done through the analysis tool of goal-competency frame.
As a result of the first analysis, we found that ‘factual knowledge’ and ‘conceptual knowledge’ in the knowledge dimension were frequently written in both curriculums. However, the ratio of procedural knowledge in 2015 revision curriculum was higher than that in the 7th curriculum. I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to understand' was the dominant category in both curriculums but 'to remember' had high proportion in the 7th curriculum, especially.
Secondly, in analysis of contents-performance frame, 'methods' was the majority category in the distribution of both curriculums. 'Concept', 'cognitive reception', and 'inquiry reception' frequently emerged in the 7th curriculum, though 'STS', 'cognitive enlargement', and 'inquiry enlargement' did in the 2015 revision. This could be explained with the difference of the aim and goal of two curricula.
In the final, the category of 'communication skill' among core competencies was most frequently shown and had no result in the category of 'attitude' or 'lifelong education' in both curriculums. These are similar features but the 7th curriculum focused on the 'concept' and 2015 revision did on the 'STS',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we could conclude that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established considering their aim and goal of each curriculum by comparative analysis of them for physics parts in compulsory school education. In addition, as suggestion, some teaching material and methods should be developed to prevent the unbalance of science education and to lessen the absence of some competency, because some domain of dimension did not show up with concrete sentences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문‧이과 통합, 창의융합 인재 양성,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 증진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모든 학생들의 인문·사회·과학기술에 대한 기초 소양의 함양, 범교과적 통합적 학습, 핵심역량 방안 모색 등을 주요 개정 방향으로 제시하였고, 문‧이과의 통합적 교육을 지향하는 측면에서 통합과학을 신설하였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개정의 방향 설정에서부터 핵심역량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의 ‘성격’ 부분에 이를 포함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취기준은 학습자가 목표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하며, 다섯 가지 과학과 핵심역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과학과 핵심역량을 강조하고 있으며, 성취기준에서 이를 상세화 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핵심역량과 성취기준 사이의 실제 관계가 분석된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이 연구에서는 7차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물리 부분을 중심으로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핵심 역량의 증진과 관련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교육목표의 일반적 분류틀인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근거하여 초‧중학교 및 고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을 비교하였다. 둘째, 과학의 학문적 성격을 반영한 내용-실행 이원 분류틀을 개발하여 동일 대상을 비교‧분석하였다. 셋째, 과학과 목표와 과학과 핵심역량을 고려한 목표-역량 이원 분류틀을 통해 성취기준에서 목표와 핵심역량의 구현 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7차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 모두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의 지식 차원에서 ‘사실적 지식’과 ‘개념적 지식’에 편중되었다. 그러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절차적 지식’ 비율이 7차 교육과정보다 높게 나타났다. 인지 차원은 7차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 모두 ‘이해하다’의 비율이 높았지만, 7차 교육과정에서는 ‘기억하다’의 비율도 높아,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차이점이 나타났다.
둘째, 내용-실행 이원 분류틀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 7차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공통적으로 내용 차원의 ‘방법’ 부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7차 교육과정은 내용 차원의 ‘개념’, 실행 차원의 ‘인지 수용’, ‘탐구 수용’ 부분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내용 차원의 ‘STS’, 실행 차원의 ‘인지 확장’, ‘탐구 확장’에 집중되어 차이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각 교육과정의 성격이나 지향에 따른 차이로 해석할 수 있다. 즉, 7차 교육과정은 지식의 습득을 중요시하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실생활과 관계된 지식의 적용을 강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과학과 목표-역량 이원 분류틀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두 교육과정 모두 ‘의사소통 능력’의 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목표 차원에서는 ‘태도’ 부분이, 역량 차원에서는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이 존재하지 않는 유사점이 나타났다. 그러나 목표 차원에서 7차 교육과정은 ‘개념’이, 2015 개정 교육과정은 ‘STS’ 차원에 집중된 경향성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7차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초‧중등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학습하는 물리부분을 중심으로 성취기준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에 따라 성취기준이 서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일부 목표와 역량이 성취기준에 누락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핵심역량 증진과 교육목표의 종합적인 달성을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명시되지 않은 부분을 학교 현장의 실제 교육 상황에서 보완할 수 있도록 후속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lternative Title
Comparativ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Physics Part in the 7th and 2015 Revision Science Curriculums : Focu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Science Core Competency
Alternative Author(s)
Na Mu Park
Affiliation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Department
일반대학원 과학교육학과
Advisor
조광희
Awarded Date
2016-08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3
3.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1. 교육과정 4
1) 교육과정의 정의 4
2) 2015 개정 교육과정 10
2.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 12
3. 성취기준 및 핵심역량 15
4. 선행 연구 17

Ⅲ. 연구 방법
1. 연구 절차 25
2. 연구 대상 26
3. 분석틀 구성 28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 33
1) 지식 33
2) 인지과정 36
3)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 39
2. 내용-실행 이원 분류틀 43
1) 내용 43
2) 실행 45
3) 내용 차원과 실행 차원 47
3. 목표-역량 이원 분류틀 51
1) 목표 51
2) 역량 53
3) 목표 차원과 역량 차원 55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및 제언 59

【참고문헌】 61
【부 록】 64
1.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따른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학교급별 성취기준 분석 결과 64
2.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따른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학교급별 성취기준 분석 결과 67
3. 내용-실행 이원 분류틀에 따른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학교급별 성취기준 분석 결과 70
4. 내용-실행 이원 분류틀에 따른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학교급별 성취기준 분석 결과 73
5. 목표-역량 이원 분류틀에 따른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학교급별 성취기준 분석 결과 75
6. 목표-역량 이원 분류틀에 따른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학교급별 성취기준 분석 결과 78
【감사의 글】 80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박나무. (2016). 제7차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물리 부분 성취기준 비교 분석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와 과학과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295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578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6-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