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절제술받은 여성유방암 생존자의 부부적응 과정에 대한 해석학적 근거이론 접근

Metadata Downloads
Author(s)
양정훈
Issued Date
2016
Keyword
유방암생존자, 부부적응과정, 부부적응유형, 해석학적근거이론.
Abstract
ABSTRACT

A study on the Couple Adaptation process of Female Breast Cancer Survivors after a MastectomyBased on the Hermeneutic Grounded Theory.

Author : Yang Jeong-Hun
Advisor : Prof. Kim, Jin-Sook Ph. D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In cases when breast cancer is discovered at an early stage, treatment is effective. In those cases, the 5-year survival rate is 91.3% and the 10-year survival rate is 84.9%. In particular, as the risk of breast cancer in Korean women is highest in their forties unlike western countries where the risk is highest in the fifties,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patients who are under 50 years of age means that patients have to live as survivors of breast cancers for a longer time and deal with it at an earlier stage in life.
Unlike other cancers, as most breast cancer patients are women and they are protected by men, the roles at home may change. Such changes in roles has an influence on marital relations and the spouse can be the most important supporter for cancer survivors. The couple is faced with a crisis in maintaining a stable marital relationship. Stable marital relations for cancer patients has an influence on the survival rate as well as the emotional wellbeing.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the identification of satisfaction in sexual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focus is needed on what psychological conflicts female breast cancer survivors have in their adaptation process, what effects interaction between family members have on such conflicts and how the people involved adjust to each other. The adjustment process should be intensively examined with the voices of cancer survivors considered. Also, this study suggested that qualitative research aiming at understand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would be useful to understanding the deep meaning of the adjustment process in breast cancer survivors. Therefore, this study used Rennie's Hermeneutic Grounded Theory Methodological Approach which uses poetic, literary and linguistic techniques and the abundant creativity of researchers in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and to secure the relia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interpretation.
The standards to select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female patients aged over 40, who were married, where part of or the entire breast was removed surgically after breast cancer was diagnosed, who received anticancer chemotherapy or radiation treatment more than three times, who lived with a spouse or companion in the same house, and who have been together for more than six months. They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tentional sampling principle and a total of 9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February 2015 to May 2016, and in depth interviews were made for each subject at least 2 or 3 times. For the data analysis, the data collected from in depth interviews, counselling analects and interview notes were included. The data analysis focused on a survey of in what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what psychological mechanisms the survivors who had a mastectomy used and what experiences they had in their adaptation processes such as in their sexual life. Therefore, this study approached adaptation focussing on which changes in the environment were given to satisfy their needs rather than adjustment which means they adjust to their living and environment in order to examine environmental variables which surround the cancer survivors.
As a result of this study, cancer survivors' experiences in the adaptation process were categorized into 10 superior categories, 24 sub-categories and 125 meaning units: ‘physically exhaustive fatiguing life’, ‘family-controlled life’, ‘marital relations where a crisis is an opportunity’, ‘couples who did not welcome breast cancer', ‘marital relations which were reduced because of lost femininity’, ‘marital relations in darkness’, ‘a struggle for survival’, ‘overcoming with a calm mind’, ‘treatment and then recovery of marital relations’, and ‘couples who passed rivers of suffering and death.’
First, a symbolic and central category which covers 10 superior categories and can be connotatively saturated was ‘life which is trained with flames of suffering.’
Second, through the process of analysis, this study classified categories and the process where the properties of categories wer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adjustment process of the survivors: 1. The stage where families were wholly collapsed (despair that the universe collapsed), 2. The stage where survivors shared their suffering with their spouses(couples who change crisis into opportunity), and did not welcome breast cancer(increased marital conflict), 3. The stage of reduced marital relations(sexual life out of focus), 4. The stage of marital relations recovery(increased communication), and the stage of consistent conflict(a lack of positive interaction), 5. The stage of stable marital adaptation(growth after trials) and the stage of incomplete adaptation (low affinity).
Third, as a result of attempting an adaptation type analysis,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ere four adaptation types: indifference, conflict, reality adaptation and affinity. For the indifference type, marital relations were bad both before and after surgery. In the conflict type, marital relations were good before surgery, but they became worse after surgery. In the reality adaptation type, marital relations were bad before surgery, but became better after surgery. In the affinity type, marital relations were good both before and after surgery.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is study targeted survivors who had a mastectomy. Although both the survivor and the spouse should participate in the adaptation process for breast cancer survivors, husbands did not participate in this study. Second, as the adaptation process is a continuing concept following the flow of time, aspects of adaptation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adaptation types before the discovery of breast cancer. Third, this study was limited to those who were married, lived with spouses, survived breast cancer and had a mastectomy and anti-cancer chemotherapy or radiation treatment. Therefore, for further studies, cases of survivors who are single or whose cancer reoccurred should be added. Fourth, this study examined the adaptation process in marital relations of survivors who had a mastectomy using a Hermeneutic Grounded Theory Methodological Approach.
This study did not have an organized procedure like the Strauss and Corbin approaches, but it had an advantage of securing creativity and abundance to allow new ideas in the interpretation process. However, in terms of systematic social science methodology which considers validity, exactness and reliability as important, it may be a weak point. Finally, this means that a Hermeneutic Grounded Theory Methodological Approach should be carefully and in detail complemented for strictness, and it is expected that further studies will deal with this more intensively.

Key words: breast cancer survivors, couplel adaptation process, couple adaptation types, a Hermeneutic Grounded Theory| 국문초록

절제술 받은 여성유방암 생존자의
부부적응 과정에 대한 해석학적 근거이론 접근

성명 : 양정훈
지도교수 : 김진숙
조선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유방암은 조기에 발견할 경우 치료가 비교적 잘 되어 5년 생존율이 91.3%이고, 10년 생존율은 84.9%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의 유방암의 경우, 50대에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 서구 지역과는 달리 40대의 발병률이 높아 상대적으로 50세 이하 젊은 층의 유방암 환자가 많다는 사실은 그만큼 오랜 기간 동안 유방암 생존자로서 살아가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유방암은 다른 암과는 달리 환자의 대부분이 여성이고 보호자가 남성이기 때문에 가정에서의 역할이 달라진다. 이러한 역할의 변화는 유방암 생존자의 가장 주요한 지지원이라 할 수 있는 배우자와의 부부관계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안정적인 부부관계 유지에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암환자에게 있어 안정적인 부부적응은 정서적 안녕뿐만 아니라 생존율에 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유방암 환자의 성생활 만족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여성유방암 생존자들은 배우자와의 부부적응 과정에서 어떠한 심리적 갈등을 경험하고 있고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이 이러한 갈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배우자와 어떻게 적응해 가는지에 대해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유방암 생존자의 목소리를 배제하지 않으면서 그들의 부부적응 과정에 대한 심도 있는 탐색이 필요하다. 이것을 탐색하는 방법으로 연구 참여자 체험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질적 연구 방법이 유방암 생존자의 부부적응 과정의 심층적인 의미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연구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의 해석적 풍부함을 살리면서 연구자의 시적‧문학적·언어적 기술과 풍부한 창의성이 해석과정에 활용될 수 있으며 해석의 신뢰성과 적절성을 확보할 수 있는 Rennie의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참여자의 선정기준을 40세 이상의 여성으로서 결혼한 자, 유방암 진단 후 유방을 일부나 전부 절제한자,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를 3회 이상 받은자, 배우자나 동거자와 한집에서 거주하며 생활하고 있는 자, 결혼생활 기간을 6개월 이상 계속하고 있는 자로 하였다. 선정은 의도적 표본추출의 원칙에 따라 선정했으며 총 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수집은 2015년 2월 1일부터 2016년 5월까지 이루어 졌으며 심층면담은 연구참여자 당 최소 2-3회 이루어 졌다. 자료 분석은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에 축어록과 면담 현장노트 등이 포함되었다.
자료 분석은 유방절제술 받은 여성 유방암 생존자들이 어떠한 사회문화적 맥락과 심리적 기재 속에서 배우자와의 성생활 등 부부적응 과정에서 어떤 경험이 이루어지는지를 탐색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부부적응은 유방암 생존자를 둘러싼 환경적 변수를 다각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려고 자신이 처한 생활과 환경에 자신을 맞추는 것을 뜻하는 Adjustment가 아닌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주어진 환경을 변화시키는 Adaptation으로 접근하였다.
본 연구결과 유방암 생존자가 부부적응 과정에서 경험하는 범주는 크게 ‘육체적으로 소진된 고달픈 생활’, ‘나보다 가족위주의 삶’, ‘위기가 기회가 된 부부관계’, ‘유방암이 반갑지 않은 부부’, ‘여성성의 상실로 위축된 부부관계’, ‘칠흑 같은 어둠 속의 부부관계’, ‘생존을 위한 몸부림’, ‘마음을 잘 여미고 이겨냄’, ‘치유 그 후의 부부관계 회복’, ‘삶의 고통과 죽음의 강을 건너온 부부’ 의 10개의 상위범주와 하위범주 24개, 의미단위 125개로 구성되었다.
첫째, 10개의 상위범주를 아우르면서 함축적으로 포화할 수 있는 상징적인 핵심범주는 ‘고통의 불꽃으로 단련되는 인생’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과정 분석을 통해 유방암 생존자들의 부부적응 과정의 맥락에 따라 범주, 범주의 속성이 변화되는 과정을 1. 가정이 송두리째 무너지는 단계(하늘이 무너지는 절망감), 2. 배우자와 고통을 함께하는 단계(위기가 기회가 된 부부), 유방암이 반갑지 않은 부부(부부갈등 증폭), 3. 부부관계 위축의 단계(관심 밖으로 밀려난 성생활), 4. 부부관계 회복의 단계(의사소통증가), 갈등 지속단계(긍정적 상호작용 부족), 5. 안정된 부부적응의 단계(시련후의 성장), 미완의 부부적응 단계(친밀감 낮음)로 분류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부부적응 유형분석을 시도한 결과, 냉담형, 갈등형, 현실적응형, 친밀형 등 4개의 부부적응 유형이 나타났다. 냉담형은 유방암 수술하기 전에도 부부관계가 안 좋았고, 수술 후에도 부부관계가 안 좋은 패턴이고, 갈등형은 수술하기 전에는 부부관계가 좋았지만 수술 후 관계가 나빠진 패턴이고, 현실적응형은 수술하기 전에는 부부관계가 안 좋았으나 수술 후 좋아진 패턴이고, 친밀형은 유방암 이전에도 부부관계가 좋았고, 수술 이후에도 관계가 좋은 패턴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는 절제술 받은 여성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방암 생존자의 부부적응 과정은 생존자뿐만 아니라 생존자의 배우자인 남편도 같이 참여하여야 하나 본 연구에서는 남편은 함께하지 못하였고. 둘째, 부부적응 과정은 시간적 흐름에 따른 연속적 개념이므로 유방암 발병 전 부부적응의 유형에 따라 유방암 발생 후의 부부적응의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결혼한 여성으로서 배우자와 동거하고 있는 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유방암 절제수술과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를 받은 참여자를 연구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결혼하지 않은 미혼여성이나 유방암이 재발한 유방암 생존자들이 경험한 사례들을 추가 보충어야 할 것이다. 넷째, 이 연구는 Rennie가 제안한 해석학적 근거이론의 방법을 적용하여 절제술 받은 여성유방암 생존자의 부부적응 경험 과정을 탐색하였다.
이 연구방법은 Strauss 와 Corbin의 방법처럼, 구조화된 절차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런 점에서 연구자가 해석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것을 생각해 내는 창의성과 넉넉하고 풍부함을 담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그것은 해석의 타당성과 정확성 신뢰성을 중시하는 사회과학 방법의 규율이 매우 엄격하고 철저한 성질인 엄격성 측면에서는 취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결국 이것은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이 연구의 엄격성과 관련된 좀 더 자세하고 빈틈없이 꼼꼼한 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심도 있는 탐색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유방암 생존자, 부부적응 과정, 부부적응 유형, 해석학적 근거이론.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ouple Adaptation process of Female Breast Cancer Survivors after a Mastectomy Based on the Hermeneutic Grounded Theory.
Alternative Author(s)
Yang Jeong Hun
Department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Advisor
김진숙
Awarded Date
2016-08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제2절 연구질문 및 연구목적 5

제2장 이론적 배경 7
제1절 절제술 받은 여성유방암 생존자의 특성 7
1. 여성유방암의 특성 7
2. 생존자(survivor)의 개념 및 과정 10
3. 여성유방암 생존자의 이해 16
4. 환자의 자기결정권 20
제2절 절제술 받은 여성유방암 생존자의 부부적응 과정 24
1. 부부적응의 개념 24
2. 여성유방암 생존자의 부부적응 과정 28
제3절 여성유방암 생존자의 부부적응 과정에 관한 연구논의 32

제3장 연구방법 35
제1절 연구 접근방법 35
1. Rennie의 해석학적 근거이론 35
2. Rennie의 해석학적 근거이론 유용성...............................................39
제2절 자료수집 42
1. 연구참여자 선정 42
2. 심층면담 47
제3절 자료분석 49
1. 범주화 작업 50
2. 핵심범주 51
3. 과정분석 51
4. 유형분석 53
제4절 연구과정의 적합성 54
1. 이론적 민감성 향상 54
2. 연구의 엄격성 유지 55
3. 윤리적 고려 58
제5절 연구참여자 소개 60

제4장 연구결과 81
제1절 범주의 구성과 기술 81
1. 범주의 구성 81
2. 범주의 기술 87
제2절 핵심범주 124
제3절 과정분석 133
제4절 유형분석 145

제5장 결 론 158
제1절 연구결과 논의 158
1. 연구요약 158
1. 논의 163
제2절 연구의 시사점 174
1. 이론적 시사점 174
2. 정책적·실천적 시사점 178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82

[참고문헌] 184

[부록1] 연구참여 동의서 202
[부록2] 심층면담 질문지 203

[부록2] 현장노트 205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양정훈. (2016). 절제술받은 여성유방암 생존자의 부부적응 과정에 대한 해석학적 근거이론 접근.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295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5787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6-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