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개발 및 효과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서영
Issued Date
2016
Keyword
스마트폰 중독 아동, 스마트폰 중독, 만족지연, 집단미술치료
Abstract
ABSTRACT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Delay of Gratification of Children addicted to Smartphone.


Kim seo young
Advisor : Prof. Kim Tack ho
Psychological Art Therapy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delay of gratification of children who are addicted to smartphone, and also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achieve these goal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as Research I and Research II with the following structures.
Research I was focused on developing a group art therapy based on an analysis of factors causing children’s addiction to smartphone, the delay of gratification theory and other related variables in order to develop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delay of gratification. The program established the goals depending on development procedures and was composed of activities suitable for the goals. Its preliminary program was conducted for seven children addicted to smartphone. Then the result of the preliminary program was evaluated and analyzed for amendment with the advices of a professional group which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ogram.
Research II focused on the program’s delay of gratification ability and its effectiveness on smartphone addiction by providing the program to children addicted to smartphone.
The research group was composed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each with 15 children who had a smartphone and who scored high in high risk and potential risk scores of smartphone addiction in a community child center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The total duration of the program was twelve weeks which was carried out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per week for six week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the major result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significant result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in delay of gratification ability test.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increase in delay of gratification ability score than the comparison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significant result in long-term gratification result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increase in long-term gratification score than the comparison group.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significant result in spontaneous gratification result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increase in spontaneous gratification score, the score reversed graded.
Last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result than the comparison group in smartphone addiction level. Among the sub-elements of smartphone addic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difficulties in daily life, virtual world aspiration, withdrawal symptoms and tolerance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From these results, a conclusion can be drawn that whe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delay of gratification is provided to children addicted to smartphone, it showed effectiveness on increasing the delay of gratification ability and reducing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developed with the objectives of increasing the delay of gratification ability and reducing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developed in the research can contribute to bring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the delay of gratification ability and reducing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if it can be consistently provided to children addicted to smartphone.



Keywords: Children addicted to smartphone, smartphone addiction, delay of gratification, group art therapy
|국 문 초 록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서영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지도교수 김 택 호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중독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스마트폰 중독아동에게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상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Ⅰ과 연구Ⅱ로 구성하여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연구Ⅰ은 스마트폰 중독 아동을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요인과 만족지연이론 및 관련 변인을 분석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개발 절차에 따라 목표를 수립하고, 이에 적합한 활동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스마트폰 중독 아동 7명을 대상으로 예비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후 예비연구 내용과 결과를 평가 및 분석하고 전문가 집단에게 자문을 받아 수정·보완하였다. 개발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연구Ⅱ에서는 집단미술 치료 프로그램을 스마트폰 중독 아동에게 제공하여 만족지연능력과 스마트폰 중독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집단은 G광역시 지역아동센터에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고,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에서 스마트폰 중독군에 해당하는 고위험과 잠재적 위험 점수에 상응하는 아동으로 실험집단 15명, 대기집단 15명으로 구성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주 2회 6주 동안 실험집단에게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족지연능력 검사에서 실험집단이 대기집단보다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만족지연능력 점수에서 실험집단이 대기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 하였다.
둘째, 장기적 만족에서 실험집단이 대기집단보다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장기적 만족점수에서 실험집단이 대기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즉각적 만족에서 실험집단이 대기집단보다 유의미한 결과를 있었다.
역 채점된 즉각적 만족점수에서 실험집단이 대기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 하였다.
넷째,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실험집단이 대기 집단보다 유의한 결과가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요소 중 일상생활 장애, 가상세계지향, 금단, 내성에서 실험집단이 대기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이를 요약하면 개발된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스마트폰 중독 아동에게 제공하였을 때 만족지연능력 증가와 스마트폰 중독 수준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능력 증가와 스마트폰 중독 수준 감소 목표로 단계에 따라 개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스마트폰 중독 아동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한다면 만족지연능력 증가와 스마트폰 중독 수준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lternative Title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Delay of Gratification of Children addicted to Smartphone.
Alternative Author(s)
kim, seoyoung
Department
일반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Advisor
김택호
Awarded Date
2016-08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스마트폰 중독 7
1. 스마트폰 중독의 개념 및 특징 7
2.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특징 14
B. 만족지연 20
1. 만족지연 개념 및 특징 20
2. 만족지연 발달이론 22
3. 만족지연 관련 변인 24
C. 스마트폰 중독과 만족지연 32
1. 스마트폰 중독과 만족지연의 관계 32
D. 집단미술치료 34
1. 집단미술치료의 개념 및 특징 34
2. 집단미술치료와 스마트폰 중독 37
3. 집단미술치료와 만족지연 38
E. 연구 모형 39

Ⅲ.연구Ⅰ: 스마트폰 중독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41
A. 연구목적 41
B. 연구절차 41
C. 프로그램 개발모형 42
D. 프로그램 개발절차 43
1. 단계 1: 목표수립 45
2. 단계 2: 프로그램 구성 46
3. 단계 3: 예비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54
2. 단계 4: 본 프로그램 개발 59

Ⅳ. 연구Ⅱ: 스마트폰 중독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프로그램 효과 검증 67
A. 연구목적 67
B. 연구가설 67
C. 연구방법 68
1. 연구대상 68
2. 연구의 윤리적 고려 69
3. 연구도구 69
4. 연구설계 72
5. 연구절차 72
6. 자료분석 73
D. 연구결과 74
1. 기술 통계치 74
2. 사전 동질성 검증 75
3.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족지연에 미치는 효과 76
4.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미치는 효과 80
E. 질적 내용분석 연구 결과 84
1. 참여자 행동 특성 양적 분석 84
2. 참여자 행동 특성 관찰 내용 분석 87

Ⅴ. 결론 및 제언 100
A. 논의 100
1. 연구 Ⅰ :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100
2. 연구 Ⅱ :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검증 102
B. 결론 및 제언 103

참고문헌 106

국문초록 124

부 록 126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원
Citation
김서영. (2016).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개발 및 효과.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292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5720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6-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