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진의 매개효과와 공감능력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정선미
Issued Date
2016
Keyword
감정노동, 소진, 공감능력, 이직의도
Abstract
The Effects of the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s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s of Burnout and the Moderation Effects of Empathy Ability

Jung, Sun Mi
Advisor : Prof. Kim, Jin Sook, Ph.D.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lower turnover of child-care teachers' who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site of child-care, and improves child-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and qualitative service of child-care provided to infants by lowering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caused by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discovering influence factors of moderating effect of empathy ability amongst emotional labor,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n whether or not emotional labor exerts a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hether or not exhaustion plays an intermediary role wh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ffects turnover intention, and whether or not empathy ability plays a moderating effect among emotional labor,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that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exerts on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established a hypothesis and analyzed·verified and produced implications on whether or not motional exhaustion, dehumanization, reduction of a sense of personal fulfillment in exhaustion differ by mediating effect, and attracting attention, imagining of cognitive elements of empathy ability, and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pain of emotional elements differ by moderating effect. To verify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this study collected subjects using quota sampling method targeting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Jeollanam-do province who are capable of understanding contents of questionnaire and linguistic communication is available, and approved objectives of this study. This study distributed total 700 sheets of questionnaire to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350 sheets respectively, and collected 700 sheets, and 615 sheets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is excepting 84 that data is considered unfaithful.
This study analyzed collected data as follows using SPSS/PC 23.0 program.
First,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to investigate emotional labor, turnover intention, exhaustion and empathy ability.
Second,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for looking into gener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Third, this study carried out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to compare mean difference between more than groups to investigate emotional labor, turnover intention, exhaustion and empathy ability according to gener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Fourth, this study conduct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for investigating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Fifth, this study conducted hierarchical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Sixth, this study conducte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o understand mediating effect of exhaustion.
Seventh, this study conducte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o search moderating effect of empathy ability.
As a result of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has a significant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and exhaustion plays a significant intermediary role partially when emotional labor affects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empathy a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tial relationship partially showing difference wh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exhaustion affect turnover intention. In conclusion, turnover intention can be lowered through the method of providing a measure to reduce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reduce exhaustion, a protective factor. The foregoing is to lower emotional labor,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by seeking a measure to improve empathy ability which is a moderating variable. Through the aforementioned, reduction of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 and improvement of qualitative service of child-care can be brought as a result of improvement of child-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Based on the above result, this study produced implications of a research on the influence on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
First, implication can be placed in a sense that this study attempted expansion of theoretical knowledge basis and diversification of study approach by investigating and revealing an influential relationship in “Mediating effect of exhaus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empathy ability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Second, making installation of CCTV in child-care institutions mandatory, interaction with officials of institution make child-care teachers' exposed to emotional labor, which heightens emotional labor and exhaustion, so it is necessary to lower turnover intention by providing a political support for establishing an educational system to improve formation and construction of social relation networks, parents difficulty handling center, supervision system and empathy ability.
Third, reducing asymmetry of inform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parents of infants by making a communication channel (homepage, mobile phone application etc.) to reduce emotional labor and exhaustion caused by protection and education of infants, and because empathy ability is a moderating variable, development of programs capable of heightening empathy ability and microscopic and therapeutic approach for individuals or groups with high emotional labor,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r improvement of empathy ability are considered urgent.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ollow-up studies,
Although this study investigated and verified the effect of moderating empathy ability on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 follow-up studies need to conduct a research on the factors affecting empathy ability.

Keywords: emotional labor, exhaustion, empathy ability, turnover intention|본 연구는 영유아를 보육하는 현장에서 가장 핵심적인 보육교사들의 이직을 낮추고 감정노동에 따른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소진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감정노동, 소진, 이직의도 사이에서 공감능력의 조절효과를 하는지 실증분석하여,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으로 인한 소진, 이직의도를 낮추고 감정노동, 소진, 이직의도 사이에서 공감능력의 조절효과의 영향요인을 찾아 보육교사의 업무환경 개선과 영유아들에게 제공되는 보육의 질적 서비스 향상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매개효과로 소진의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성취감 감소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조절효과로 공감능력의 인지적 요소 중 관심취하기, 상상하기와 정서적 요소 중 공감적 관심, 개인적 고통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관해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실증적 방법으로 분석·검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대상자는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지역 소재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로 설문지 내용을 이해할 수 있고, 언어적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할 것을 동의자로 할당 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였다. 광주광역시 350부, 전라남도 350부 총 700부를 배부하여 700부가 회수되었고, 이중 자료가 불성실한 총84부를 제외한 615부가 최종 자료분석에 이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감정노동, 이직의도, 소진, 공감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직업관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이직의도, 소진, 공감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둘 이상의 집단 간의 평균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넷째,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소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일곱째, 공감능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은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있고, 감정노동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소진이 매개역할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소진,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공감능력은 차이를 보이며 조절역할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을 낮추고 보호요인인 소진을 줄이는 방안을 제공하여 이직의도를 낮추는 것이다. 조절변수인 공감능력을 향상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감정노동, 소진, 이직의도를 낮는 것이다. 그리하여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개선에 따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줄이고 영유아들에게 제공되는 보육의 질적 서비스 향상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의 영향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영향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와 공감능력의 조절효과” 영향관계를 밝혀 이론적 지식기반의 확장과 연구접근의 다양화를 시도에 보았다는데 그 함의를 둘 수 있다.
둘째, 보육기관에 CCTV 의무화, 기관 관계자들과의 상호작용 등 보육교사들은 감정노동환경에 노출된다. 그러므로 감정노동은 높아지고 소진되므로 사회관계망 형성 및 구축, 학부모 고충 처리 센터, 수퍼비젼 시스템, 공감능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 시스템 구축 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하여 이직의도를 낮추어야 할 것이다.
셋째, 영유아의 보호 및 교육으로 인한 감정노동과 소진을 줄이기 위한 의사소통의 통로(홈페이지, 핸드폰 어플, 앱. 등)를 만들어 보육교사와 영·유아 부모들과의 정보의 비대칭성을 줄이고, 공감능력이 조절변인이므로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감정노동이 높고 소진과 이직의도가 높은 집단에 대해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개인 또는 집단에 미시적 치료접근등이 시급하다.
향후 연구방향을 제언한다면,
본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공감능력 조절변수의 영향관계 요인임를 밝혔지만 후속연구에서는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핵심어 : 감정노동, 소진, 공감능력, 이직의도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the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s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s of Burnout and the Moderation Effects of Empathy Ability
Alternative Author(s)
Jung, Sun Mi
Affiliation
조선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Advisor
김진숙
Awarded Date
2016-08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목적 1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4
1. 연구 범위 4
2. 연구 방법 5

제2장 이론적 배경 6
제1절 보육교사에 대한 이해 6
1. 보육의 개념과 필요성 6
2. 보육교사의 역할 8
3.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10
제2절 감정노동 12
1. 감정노동의 개념 12
2. 감정노동의 구성요소 14
3.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17
제3절 소진 18
1. 소진의 개념 18
2. 소진의 구성요소 20
3. 보육교사의 소진 22
제4절 공감능력 24
1. 공감능력의 개념 24
2. 공감능력의 구성요소 26
3.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30
제5절 이직의도 33
1. 이직의도의 개념 33
2. 이직의도의 영향요인 34
3.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35
제6절 선행연구 37
1.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37
2. 소진의 매개효과 39
3. 공감능력의 조절효과 43
4. 종합적 평가 46

제3장 연구설계 47
제1절 연구모형의 정립과 가설의 설정 47
1. 연구모형의 정립 47
2. 가설의 설정 48
제2절 변수의 조작화 및 측정 50
1. 변수의 조작화 50
2. 설문지 구성과 측정 53
제3절 자료 수집 및 분석 54
1. 자료의 수집 54
2. 자료의 분석 54

제4장 실증분석 55
제1절 측정도구 검증 55
1. 타당도 분석 55
2. 신뢰도 분석 57
제2절 기술적 통계 59
1.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분석 59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0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 62
4. 대상자의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특성별 차이분석 67
5. 상관관계 분석 76
제3절 가설의 검증 77
1.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77
2. 소진의 매개효과 검증 78
3. 공감능력의 조절효과 검증 83
제4절 분석결과의 논의 116

제5장 결 론 122
제1절 연구결과 요약 122
1. 기술적 통계 분석결과 122
2. 가설검증 결과 123
제2절 연구결과 시사점 124
1. 이론적 시사점 124
2. 정책적 시사점 125
3. 실천적 시사점 127
제3절 향후 연구 및 제언 129

참고문헌 130

부록 : 설문지 154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정선미. (2016).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진의 매개효과와 공감능력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290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5703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6-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