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일터학습이 학습전이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권필
Issued Date
2016
Keyword
일터학습, 학습전이, 기업성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knowledg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through workplace learning(formal, informal) of small business employees affects the learning transfer and business performance which is widely used in actual business.
The study also aims at drawing empirical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tranf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learning and business performance and moderating effects of employees’ learning orientation (within compan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learning transfer and business performance.
First of all,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learning, such as learning with others, self-reflection and external searching, of small business workers and learning transfer, business performance.
Second, The study showed how awareness level of small business employees toward learning orientation influenced learning transfer.
Third, the study analyzed moderating effects of learning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Based on above examinations, this thesis proposes vitalization of workplace learning of small business employees, improvement of learning orientation, and enhancement of learning transfer.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surveying individuals working for small business.
In particular, in order to raise representativeness of certain sampling organizations, targeted companies were limited to members of the Korea small business Association, Employees of 20 different companies under were surveyed through both online and offlin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to 25, 2015. Out of total 700 respondents, 540 responses (validity rate at 77%) were examined for the research. The rest of 44 responses were excluded due to either insincerity or unreliability.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measuring the following: level of workplace learning, learning transfer, learning orient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With respect to questions on workplace learning, examination method developed by Lohman(2005) and revised by Choi(1995) was applied. Measurement method developed by Lee Do-Hyung(1995) based on the research from Rouiller and Godstein (1993) was applied in learning transfer related questions. Questions for learning orientation were excerpted from questions created by Holton(1997) and later revised by Bae Eul-Kyu(2012). Prior to distributing the whole questionnaire, five experts in academic and business fields corrected awkward expressions.
Using collected survey results, the study ran a frequency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validity of measuring tool, questions were extract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created variables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how workplace learning impact on the learning transf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By looking into this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the study further attempted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s of learning orientation. Independent variable was workplace learning while dependent variable was learning transfer. moderating variable was learning orientation .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arrying ou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see how workplace learning specially informal learning influence learning transfer, learning with others and self-reflection in informal learning showed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transfer. However, external searching did not show any meaningful correlation with learning transfer.
Second, as a result of implemen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iscover how learning orientation(moderating variable) among small business employees influence learning transfer, peer support and business performance support that are the lower variables of learning orient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transfer.
Third, as a result of runn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plore learning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transfer of small business employees, learning orientation plays moderating role in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transfer and business performance.
In conclusion, learning with others and that are informal learning of small business employees provides positive influence to learning transfer. learning orientation also positively affects learning transfer. and learning orientation moderat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In order to ramp up learning transfer through informal learning of small business employees,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tmosphere that promotes self-reflec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with colleagues and supervisors in workplace. In addition, learning orientation should be well organized so that informal learning, including and external searching, can be well performed.
|최근 한국노동시장은 청년들의 졸업 후 안정적인 노동시장 진입실패로 인해 청년실업률의 증가와 고용율 하락 현상이 나타나 이제는 현장수요에 부응하는 새로운 직업학습방식의 변화가 필요한 때이다.
우리나라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 중 70% 이상이 대학을 진학하고, 대학졸업후 자신들이 원하는 좋은 직장에서 근무하고자 취업에 도움이 되지 않은 필요이상의 스펙을 취득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고 있다. 이런 스펙을 취득하는데 막대한 시간과 비용을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체에서는 신입사원들의 다양한 직무교육에 연간 13조원 넘게 사용하고 있는 현실이다(나영돈, 2013).
더욱이 한국근로자 1인당 연간 평균 근로시간은 2,163시간(2013년 기준)으로 미국(1,788시간), 일본(1,735시간), 독일(1,388시간) 등 OECD 국가평균의 1.3배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근로자 노동생산성은 미국(60.2), 독일(55.8), 일본(41.6), 한국(29.9) 순서로 OECD 국가 중 매우 낮은 상황이다. 현 정부에서는 국민 행복과 국가 발전이 선순환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고용률 70% 달성을 위한 방안으로 ‘한국형 일학습병행제를 도입하였다. 21세기지식기반시대에서 한 분야에 대한 지식은 그 지식의 생애 주기가 갈수록 짧아지고 있으며, 기업과 종업원들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학습해야 하는 압박을 받게 되었다. 치열한 경쟁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 인적자원을 개발하는 기업은 자신의 고유한 목적과 용도에 따라 설계된 학습프로그램을 갖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이루는 것이다(Nadler, Wiggs, & Smith, 1988). 학습활동을 통한 업무수행의 개선과 변화를 통해 업무능력을 향상시키고, 비용 절감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특히, 직무 순환, 프로젝트 공동수행, 그리고 OJT 등과 같은‘업무경험에 의한 역량 개발’이 가장 효과적이며, 그다음으로 코칭, 피드백, 그리고 멘토링 등의‘인간관계에 의한 개발’로 나타나고 있다(Michaels, Withagen, Jacobs, Zaal & Bongers, 2001).
이와 같이 학습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학습은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조직의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따라 집합식 학습중심의 전통적인 인적자원개발에서는 학습자를 수동적으로 인식함에 따라 학습전이가 적시에 이루어질 수 없고,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현장에서의 학습전이수준이 낮다는 한계를 지니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최근 인적자원개발 패러다임은 수동적 훈련에서 능동적 학습으로 전환되고 있는데, 주목할 것은 인적자원개발의 중요한 가치를 학습에 두고 있다는 점이다. 즉 모든 인적자원개발은 학습이라는 Tobin(2001)의 견해와 같이 인적자원개발의 모든 국면을 학습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개인들의 능력개발과 기업의 성과 향상을 위한 일터학습을 계획, 실행, 평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일터학습은(Workplace Learning) 학습을 특정 장소와 연결시키면서 자연스럽게 등장한 말로 학교에서의 학습이나 가정에서의 학습처럼 일터에서 일어나는 학습이다. 따라서 일터는 업무활동 속에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이 형성되어야 하며 동료 혹은 리더와의 대화로도 학습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일터가 학습하는 환경으로 변해야 한다. 일터학습에 대한 관심은 1990년 초부터 업무활동과 학습을 유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일터학습’이라는 연구에서 시작되었다(Fenwick, 2003).
이 말은 일터학습이 조직의 처방적 관점에서 일어나는 각종 학습활동뿐만 아니라, 학습자 중심으로 전개되는 경험적이고 일상적인 학습활동까지 포함하는 매우 포괄적인 의미로 업무와 관련된 학습, 일을 통한 학습, 일에 기반하여 일어나는 학습 등 ‘일’과 관련된 모든 학습을 포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학습이 유기적이며, 역동적으로, 범생애적으로 점차 폭이 넓어지고 확장되어 가고 있다는 평생학습패러다임변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일터학습도 점차 일과 학습은 분리된 개념이 아니라 조직이나 조직내의 종업원을 포함하여 전개되는 전략적인 학습촉진 활동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와같이 기업성과를 높이기 위해 구성원들에게 체계적인 학습을 통해 업무성과를 높이고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을 배우는 과정을 시행하고 있는 일터학습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나 많은 연구들이 양적연구나 질적연구 등을 통해 단편적인 연구만을 진행해 왔다. 대부분의 대기업들은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들이 구성되어 있어 형식적학습이 잘 이루어지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학습의 기회가 대기업에 비해 부실할 수 밖에 없다.
Day(1998)의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 일터에서의 학습은 형식적이라기보다 무형식적으로 일어난다고 하였다. 중소기업 근로자의 학습이 주로 무형식적으로 일어나므로 중소기업의 일터학습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일터학습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관련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몇 가지 한계점도 있다.
첫째, 일터학습 방법의 적용수준을 기업성과로 직접 연결시키기 때문에, 일터학습에 대한 연구들은(윤태인,2012; 배을규·김대영, 2008; 안동윤, 2005) 기업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정 하에 구성원의 직무만족, 학습전이, 역량간의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런 연구들은 일터학습을 OJT, CoP, Action Learning 등과 같은 유형으로 무형식적학습을 측정하였다. 이는 일터에서의 자연스럽고 자발적인 무형식적학습 활동의 요인들을 규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둘째, 습득된 지식, 기술, 태도 등을 통한 행동의 변화로 이어지는 학습전이에 대한 연구가 기업의 훈련프로그램과 같은 형식적학습에 제한되어 연구되고 있다. 학습전이는 교육프로그램에서 획득된 지식, 기술, 태도를 업무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이를 통한 행동의 변화의 수준으로(현영섭, 2001;2004), 학습이 기업의 업무수행과 얼마나 연결되는지를 학습전이를 통해 판단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증연구에서는 학습전이의 발생 비율이 대략 10~20%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Holton & Baldwin, 2003). 이는 일터에서의 학습 중 70~90%가 무형식적학습으로 발생된다는 결과(Cross, 2007; Rowden,2007; Sorohanm, 1993; Marsick & Watkins, 1990)에도 불구하고 학습전이의 평가대상을 훈련프로그램과 같은 정형화된 형식적학습에 한정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Enos, Kehrhahn, & Bell, 2003;Rouiller & Goldstein, 1993).
더욱 기업에서의 학습전이는 학습지향성과 긴밀한 연관성이 있다(Gilly & Hoekstra, 2003; Leslie, Aring, & Brand,1998; Stamps, 1998). 기업에서의 일터학습 활동이 학습전이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학습지향성에 대한 세밀하고 실질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통해 일터에서 발생하는 일터학습유형을 살펴보고, 이런 학습이 학습전이와 기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일터학습의 유형에 따른 종업원의 학습전이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고, 일터학습과의 연계성을 알아보는데 주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학습을 경쟁 우위의 원천으로 삼고자 하는 중소기업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종업원들이 지각하는 일터학습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터학습의 유형(형식적 학습, 무형식적 학습)이 학습전이와 기업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중소기업에서의 학습전이는 기업성과와 긴밀한 연관성이 있다. 따라서 일터학습과 기업성과 간의 학습전이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학습지향성은 선행연구에서 기업성과와 관련성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학습지향성의 조절효과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즉 중소기업종업원들이 지각하는 일터학습의 유형들과 학습전이와 기업성과간의 관계에서 학습지향성이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the Workplace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on Business Performance
Alternative Author(s)
Kim Gwon-pil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Department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Advisor
윤종록
Awarded Date
2016-02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1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1
1.2 연구방법 4
1.3 논문의 구성 5

Ⅱ. 이론적 배경 7
2.1 기업내 인적자원개발 패러다임의 변화 7
2.2 일터학습 11
2.2.1 일터학습의 개념 11
2.2.2 일터학습의 모형 14
2.2.3 일터학습의 유형 21
2.2.4 일터학습에 관한 선행연구 30
2.3 학습전이 36
2.3.1 학습전이의 개념 36
2.3.2 학습전이의 모형 40
2.3.3 학습전이의 측정 46
2.3.4 일터학습과 학습전이 48
2.4 학습지향성 49
2.4.1 학습지향성의 개념 49
2.4.2 학습지향성과 경영성과와의 관련성 52
2.5 기업성과 53

Ⅲ. 연구방법 60
3.1 본 연구의 통합연구방법 60
3.2 양적연구 설계 63
3.2.1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63
3.2.2 표본의 선정 및 특성 68
3.2.3 변수의 조작적 정의 71
3.2.4 설문지 구성 및 측정 72
3.2.5 양적연구 분석방법 74
3.3 질적연구 설계: 사례연구 76
3.3.1 질적연구(사례연구)의 개념 76
3.3.2 연구대상 78
3.3.3 연구과정 82
3.3.4 자료 분석 86
3.3.5 타당도 검토 87
3.3.6 윤리적 고려 88

Ⅳ. 연구 결과 90
4.1 양적분석 결과 90
4.1.1 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90
4.1.2 요인 및 신뢰성 분석 91
4.1.3 상관관계 분석 93
4.1.4 다중공선성 검토 94
4.1.5 차이분석 95
4.1.6 가설검증 100
4.2 질적연구 결과 110
4.2.1 일터학습 영역 분석 110
4.2.2 일터학습 관계양상 분석 123
4.2.3 일터학습과 기업성과 128
4.2.4 학습전이의 매개효과 분석 134
4.2.5 질적연구 결과 해석 135

Ⅴ. 결 론 137
5.1 연구결과의 요약 137
5.2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139

참고문헌
설 문 지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Citation
김권필. (2016). 일터학습이 학습전이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276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5453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6-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