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및 외모만족도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고희자
Issued Date
2016
Keyword
외모관리행동
Abstract
Today,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s increasing, as the word 'lookism' suggests. Appearance is influenced by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especially age. It changes as people age and the society expects appearance to correspond to the person's age and associated role. Therefore, research on the effect of age on appearance must take into account the biological aspect as well as the social expectation for appearance based on ag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appearance interest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sociocultural background including age. In this study, it was assumed that women begin to adorn themselves for sex appeal since adolescence and the subjects, from middle school students to those in their 60s, were divided based on age groups in order to research the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 first time they took interest in appearance and relevant behaviors, use of appearance management products,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s a research metho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subjects who were women ranging from teens to those in their 60s.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 with regards to correlation between age and the first time subjects took interest in appearance, the time varied among subjects of different age groups and younger subjects took interest in their appearance earlier. Regarding the difference in first behavior of appearance management according to age, the group in their 20s and in their 30s relatively made more effort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when they first took interest in it.
Seco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were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appearance decoration, skincare, fitness, and plastic surgery.
Third, with regards to difference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age and first time the subjects took interest in appearance,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 age and the first time of taking interest in appearance – had an interaction effect only on appearance decoration. As for the main effect, 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ppearance decoration, skincare, and fitness, while the first time of taking interest in appear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appearance decoration. With regards to the interaction effect of age and first time of taking interest in appearance on appearance decoration, the group in their 40s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subjects who began appearance decoration at the age between 12 and 13, the group in their 60s began appearance decoration mostly between 14 and 16, and the groups in their 20s, 30s, and 40s had a similar proportion of subjects who began appearance decoration at the age between 17 and 19. The group in their 40s had less subjects who began appearance decoration around the age of 20, than the groups in their 30s, 50s, and 60s.
Fourth,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age and basic basic skincare products. Many subjects in the middle school group used toner and moisturizer for UV protection, and also moisturizing cream. The majority of the high school group used toner, moisturizer, sun cream, and moisturizing cream. The group in their 20s mostly used toner, moisturizer, sun cream, moisturizing cream, and serum. The group in their 30s mostly used toner, moisturizer, sun cream, moisturizing cream, serum, and nourishing cream. The groups in their 50s and 60s mostly used toner, moisturizer, serum, moisturizing cream, sun cream, and nourishing cream.
Fifth,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age and place of purchasing basic skincare products. The middle and high school groups and group in their 20s mostly used cosmetics shops, the group in their 30s cosmetics shops and department stores, and the groups in their 40s an older commonly used cosmetics shops and door-to-door sales.
Sixth, with regards to correlation between age and makeup products, lipstick was most commonly used, as well as base makeup products. Trendy products that require makeup techniques like eye liner, mascara, and eyeshadow were used less commonly in older groups.
Seventh, with regards to correlation between age and place of purchasing makeup products, the middle and high school groups and group in their 20s used cosmetic shops, the groups in their 30s and 40s cosmetics shops and department stores, and the group in their 50s mostly used door-to-door sales, cosmetics shops, and department stores. And the group in their 60s mostly received makeup products as a gift, and purchased them through door-to-door sales.
Eighth, with regards to correlation between age and source of information for appearance management, the middle and high school groups mostly obtained information from online and friends, and the group in their 20s from friends. The group in their 30s used friends and fashion magazines as main sources of information, the group in their 40s TV and fashion magazines, the group in their 50s TV and friends, and the group in their 60s friends, TV, and cosmetics salespeople.
Ninth, with regards to correlation between age and skincare products, the subjects most commonly used foam cleanser and the soap was used mostly by the middle age group and the group in their 60s. The middle school group often use soaps probably because of active sebum secretion, and the group in their 60s because of convenience of using soaps.
Tenth, in correlation between age and plastic surgery, age had an effect on distribution of surgery. The groups in their 30s and 40s had the most proportions of subjects who received plastic surgery, while the middle and high school groups rarely received it.
Eleventh, step-by-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first time of taking interest in appearance, and age on appearance satisfaction. Subjects who were satisfied with their appearance made more effort for appearance decoration and fitness, did not receive plastic surgery, and were younger. Appearance decoration was more common when the subjects first took interest in appearance at younger ages or are currently young. Fitness was more common among younger subjects, and plastic surgery was more common among subjects who took interest in appearance at younger ages. Older subjects first took interest in appearance at younger ages. In other word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the first time of taking interest in appearance had an effect on appearance satisfaction. In addition,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 first time of taking interest in appearance and age had an effect on appearance decoration and plastic surgery. Appearance decoration and plastic surgery are more active appearance decoration than skincare, and subjects who took interest in appearance or made effort for appearance management at younger ages were more like to engage in these active behaviors.
Overall, age of women was an important variable on appearance and younger subjects took interest in increasing sex appeal at younger ages. This, as supported by literature review, is attributable to sociocultural development and active social roles of women, development of the beauty industry, and increasing social perception of and attention to appearance also have an effect. These findings suggest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age groups, sociocultural aspects, and biological aspects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developing products and programs in the beauty industry.|오늘날 우리사회는 외모지상주의라고 할 만큼 외모에 대한 중요성이 큰 것이 현실이다. 외모는 사회문화적 배경에 영향을 받으며, 특히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중요시해야할 요인은 연령이었다. 외모는 노화에 의해 변해가고, 사회에서의 연령역할에 부합하는 외모를 기대하기 때문에 외모에 영향을 주는 연령을 연구할 때는 생물학적 차원과 사회에서의 연령역할에 대한 기대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시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모관련 변인에 연령을 포함한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른 외모관심 및 외모관리행동이 어떻게 차이가 있는 지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여성의 성적매력을 위해 장식하기 시작하는 연령을 사춘기 정도로 보고 연구대상을 사춘기 중학생에서부터 60대까지의 연령을 집단별로 분리하여 외모관리행동, 첫 외모관심 시기 및 관리행동, 외모관리제품이용행동, 외모만족도 등에 대하여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법이었으며, 연구대상은 10-60대까지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과 첫 외모관심 시기와의 관계를 보면, 연령별로 생애 첫 외모관심 시기에 차이가 있으며, 연령이 어릴수록 관심 갖는 시기가 더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연령에 따른 첫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보면, 20대와 30대 집단이 처음 외모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외모관리행동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는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모만족도는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첫 외모관심 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외모관리행동은 ‘외모장식’, ‘피부관리’, ‘체형관리’, ‘성형수술’의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연령 및 첫 외모관심 시기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이 차이를 외모관리행동은 연령과 첫 외모관심 시기 2개의 독립변인에 의한 상호작용효과가 외모장식요인에서만 있었다. 주효과를 보면, 연령에 따른 차이는 외모장식, 피부관리, 체형관리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첫 외모관심시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외모장식에서만 있었다. 외모장식에 대하여 연령과 첫 외모관심 시기에 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보면, 12-13세 즈음에 외모장식행동을 한 경우는 40대 집단이 가장 높았으며, 14-16세 즈음은 60대가 가장 높았고, 17-19세 즈음은 20, 30, 40대가 비슷하였다. 20세 즈음에 외모장식으로 외모관리를 한 경우에서 40대 집단이 30, 50, 60대 집단보다 낮았다.
넷째, 연령과 기초화장품이용품목과는 관계가 있었다. 즉 중학생 집단은 스킨 및 로션에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도가 높았고 수분크림도 높은 편이었다. 고등학생 집단은 스킨 및 로션, 자외선 차단제, 수분크림의 사용도가 높은 편이었다. 20대 집단은 스킨 및 로션, 자외선 차단제, 수분크림, 세럼의 사용도가 높았다. 30대 집단은 스킨 및 로션, 자외선 차단제, 수분크림, 세럼, 영양크림의 사용도가 높은 편이었다. 50, 60대 집단은 스킨 및 로션, 세럼, 수분크림, 자외선 차단제, 영양크림의 사용도가 높았다.
다섯째, 연령과 기초화장품 구매처와의 관계를 보면, 연령과 기초화장품 구매처는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즉 중학생, 고등학생, 20대 집단은 전문매장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30대 집단은 전문매장과 백화점 이용을 많이 이용하는 편이었고, 40대 이상 집단은 전문매장과 방문판매의 이용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령과 색조화장품이용품목과의 관계에서, 립스틱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외에도 피부표면의 화장품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유행하는 눈매를 강조하는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섀도와 같은 화장기술을 요하는 화장품은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점차 사용정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연령과 색조화장품 구매처와의 관계를 보면, 색조화장품을 중학생, 고등학생, 20대 집단은 전문매장에서, 30, 40대는 전문매장과 백화점에서, 50대는 방문판매, 전문매장, 백화점에서 구매하는 빈도가 높은 편이었다. 60대의 경우는 색조화장품을 선물 받는 경우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방문판매를 통하여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연령과 외모관리정보원과의 관계에서, 중고등학생 집단은 컴퓨터, 친구정보원의 분포가 가장 높았고, 20대 집단은 친구에게서 정보를 얻었다고 답한 분포가 가장 높았다. 30대 집단은 친구, 패션잡지, 40대 집단은 TV, 패션잡지, 50대 집단은 TV, 친구, 60대 집단은 친구, TV, 화장품 판매원에서 정보원으로 활용하는 분포가 높았다.
아홉째, 연령과 피부관리제품 사용과의 관계에서, 전체 연령의 세안제로는 폼클렌징의 사용이 가장 높았고, 비누의 경우는 중학생 집단과 60대 이상의 집단에서 많이 사용하였다. 중학생 집단은 피지분비가 왕성하여 비누사용이 많을 것이며, 60대 이상의 집단에서는 비누사용의 편리함으로 인하여 분포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열번째, 연령과 미용성형수술과의 관계에서 연령에 따라 수술 여부에 차이가 있었다. 즉 30, 40대 집단이 성형수술한 경우가 다른 집단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한편 중고등학생 집단은 성형수술을 거의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한번째, 연령, 외모만족도 및 첫 외모관심 시기 변인은 외모관리행동에 영향력 있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외모관리행동에서 연령은 전체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이러한 외모관리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을 나타났다. 첫 외모관심 시기의 경우, 외모장식과 성형수술요인에서는 첫 외모관심 시기가 낮을수록 외모장식이나 성형수술 행동을 많이 하였으나, 체형관리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즉 외모장식과 성형수술은 더욱 적극적인 외모장식행동으로서 외모에 대한 관심이 좀 더 낮을수록 이러한 적극적인 관리를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외모장식이나 체형관리를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형수술의 경우는 외모만족도가 낮을수록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여성의 연령은 외모관련 변인에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고, 연령이 낮을수록 여성의 성적 매력 상승에 관심을 가지는 시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헌연구고찰에서도 나타났듯이 사회문화적 산업적 발전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는데, 여성의 활발한 사회진출, 뷰티산업의 발달, 매스미디어 발달에 의한 사회적인 외모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지 확산 등이 영향변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외모관련 산업에서는 제품개발 및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는 연령적 특성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사회문화적 측면, 생물학적 측면을 고려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ccording to Socio-Cultural Backgrounds
Alternative Author(s)
Hee-Ja Ko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디자인경영학과
Department
일반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Advisor
박순천
Awarded Date
2016-02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논문의 구성 5

제2장 이론적 배경 7
제1절 뷰티산업동향 8
제2절 연령과 외모 11
제3절 외모관심 14
제4절 외모만족도 18
제5절 외모관리행동 20
1. 우리사회의 외모관리행동의 변화 고찰 20
2. 외모관리행동의 연구동향 25

제3장 연구방법 및 절차 33
제1절 연구방법 34
제2절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34
1. 연구문제 34
2. 용어정의 36
제3절 측정도구 및 절차 37
1. 예비조사 37
2. 본 조사 37
제4절 자료 수집 및 연구 대상 41
1. 자료 수집 41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1
제5절 자료 분석 43

제4장 연구결과 및 논의 44
제1절 연령과 첫 외모관심행동 45
1. 연령과 첫 외모관심시기와의 관계 45
2. 연령에 따른 첫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47
제2절 연령과 외모관심시기에 따른 외모만족도 49
제3절 연령과 외모관심시기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50
1. 외모관리행동의 차원분류 50
2. 연령 및 첫 외모관심시기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52
3. 연령과 외모관리제품이용행동 56
제4절 외모만족도, 첫 외모관심 시기, 연령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69
1. 변인들간의 상관관계 69
2.외모관리행동에 외모만족도 및 첫 외모관심 시기,
연령이 미치는 영향 71

제5장 결론 및 제언 74
제1절 요약 및 결론 75
제2절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 78
1. 연구의 시사점 78
2. 연구의 제한점 79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고희자. (2016).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및 외모만족도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270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5356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6-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