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사해행위취소의 효력과 집행절차상 적용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유진
Issued Date
2016
Keyword
사해행위취소, 채권자평등주의, 가액반환, 집행절차상 적용
Abstract
【Abstract】

Research on the Effect of Fraudulent Action Revocation and the Application in the Execution Process

By, Kim, Yu-Jin
Advisor : Prof. Kang, Hyuck-Shin, Ph. D.
Department of Law,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Civil Law stipulates, in regard to a fraudulent action, in article 406 and 407 that, "a debtor has conducted legal action for the purpose of property right though knowing it does harm to a creditor, the creditor can appeal to the court to cancel and restore it to original condition, and that the cancellation and the restoration to original condition can be effective for the interest of all creditors." This is a policy to preserve the liability property of a debtor for creditors by through revocation and restoration to original condition of debtor's property, in the case of legal action which decreases his or her property by a fraudulent action, a joint mortgage of general creditors.
In addition, 'Equalitarian Principle among the Creditors' is declared, which means that the purpose of restoration to original condition is not for the individual bond satisfaction of the creditor who revokes it, but takes effect for all creditors. Creditor's revocation, ultimately, has to realize the outcome of creditor revocation suit through the procedure of civil execution act right though pertaining to civil substantive law, however, the civil law has two provisions defined, and in regard to the effect of creditor's revocation right common opinion and precedents keeps the stance of 'relative invalidity theory' in which the effect of a revocation of fraudulent action works on the creditor who revokes it and the beneficiary or subsequent purchaser, not affecting the other creditors.
restoration to original state through the exercise of creditor’s right to revoke set original repayment as a principle and compensation for damages is also possible when original repayment is impossible or remarkably in difficult situation. The types of compensation for damages can be divided into three representative cases; the first case is which specified substance are destroyed by being mixed into the general property of the other party, the second case when original repayment is impossible or remarkably difficult since beneficiary transfers specified substance to good-willed subsequent purchaser, and finally mortgagee is cancelled through repayment after a fraudulent action is made in regard to the real estate which mortgagee is settled.
In the case of original repayment, since the specified substance of a fraudulent action is returned to a debtor, the other creditors can participate in the subsequent procedures and therefore it does not violate Equalitarian Principle among the Creditors. However, in the case of compensation for damages, common opinion and precedents acknowledge right of set-off, and therefore allows materially preferential payment to creditor, which contradicts article 407 the civil law. Thus, diverse theories and precedents are suggested, however,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prevent preferential payment for creditors since there is no explicit rule in terms of execution procedure which is under way afterwards.
Compulsory execution procedures which is under way as the result of revocation of fraudulent action differ from the types of fraudulent actions,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uction of real estate, the compulsory execution procedures are different from each stage, and therefore there is difficulty to a man of affair in dealing with it based on current legislation system. In addition, litigants like revocation creditors, beneficiaries, or other creditors have distrust over vague procedures which leads to diverse supposition. Consequently they additionally take action such as bonds seizing etc besides the legal suit for revocation of fraudulent action, and the situation which creates another disputes takes place for example, they file a lawsuit for the return of unfair profits even though distribution procedures are over
The debtors of fraudulent action are often in the economic situation in which normal transaction is difficult, which is the reason there are many creditors leading to the conflict of interests among a number of creditors. Legal suit on fraudulent action is increasing since financial crisis, the legislation(bill on revocation of fraudulent action) as execution procedures after the procedures of legal suit against fraudulent action are thought to be needed. If that is not available, since the rule of creditor revocation is only preparation for compulsory execution, the Real Property Legislation Act, Civil Execution Act, and Deposit Act etc are considered to be needed to proceed to the stage for compulsory execution after suit for the revocation.
This article seeks to find out the measures for all the creditors to be protected equally in the execution procedures after restoration to original stage based on 'Equalitarian Principle among the Creditors' focused on the problems over the case occurring in the auction process, along with the problems related with the effect of revocation of fraudulent action and the legislation as a supplement.
|민법은 사해행위와 관련하여 제406조와 제407조에서 “채무자는 채권자를 해함을 알고 재산권을 목적으로 한 법률행위를 한 때에는 채권자는 그 취소 및 원상회복을 법원에 청구할 수 있고, 이에 의한 취소와 원상회복의 효력은 모든 채권자의 이익을 위하여 효력이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일반채권자들의 공동담보가 되는 채무자의 재산을 사해행위에 의하여 감소시키는 법률행위를 한 경우, 그 행위를 취소하고 채무자의 재산을 원상회복함으로써 채권자들을 위하여 채무자의 책임재산을 보전하게 하는 제도이다.
또한 원상회복의 목적은 취소채권자 개인의 채권만족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채권자들을 위하여 효력이 있다고 ‘채권자평등주의’를 선언하고 있다. 채권자취소권은 민사 실체법상의 권리이지만 궁극적으로 민사집행법상의 절차를 통하여 채권자취소소송의 결과를 실현해야 함에도 민법은 두 개의 조문만 규정하고 있고, 채권자취소권의 효력에 관하여 통설과 판례는 사해행위취소의 효력은 취소채권자와 상대방인 수익자 또는 전득자에게만 미치고 다른 채권자들에게는 미치지 않는다는 ‘상대적 무효설’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위 두 법리의 충돌로 인해 취소판결 후 진행되는 민사집행절차에서 구체적인 사례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학설과 판례에 의존하고 있어, 실체법인 채권자취소소송의 결과를 얻고도 적정한 집행절차가 마련되지 않아 반복되는 소의 남용을 가져오기도 한다.
채권자취소권의 행사에 의한 원상회복은 원물반환을 원칙으로 하고 일반적으로 원물반환이 불가능하거나 현저히 곤란한 경우에는 가액반환이 가능하다. 가액반환의 유형을 보면, 목적물이 멸실하거나 상대방의 일반재산에 혼입되어 특정성을 상실한 경우와 수익자가 목적물을 선의의 전득자에게 양도하여 원물반환이 불가능하거나 현저히 곤란한 경우, 저당권 등이 설정된 부동산에 관하여 사해행위가 이루어진 후 변제 등에 의하여 저당권이 말소된 경우가 대표적인 경우에 해당한다.
원물반환의 경우 사해행위 목적물을 채무자에게 반환하기 때문에 그 후에 진행되는 절차에 다른 채권자들이 참여할 수 있어 채권자 평등주의에 반하지 아니하나, 가액반환의 경우 통설과 판례가 취소채권자의 상계권을 인정하여 실질적으로 취소채권자의 우선변제를 허용하고 있어 민법 407조와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해결책을 제시한 다양한 학설과 판례들이 생산되고 있으나 추후 진행되는 집행절차상 명백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아 취소채권자의 사실상 우선변제권을 저지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사해행위취소의 결과로 진행되는 강제집행절차는 사해행위의 유형별에 따라 다르고, 특히 부동산경매의 경우 강제집행절차 단계별로 다르므로, 실무가들이 현재의 입법체계로 처리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 또한 소송의 당사자들인 취소채권자나 수익자와 다른 채권자들도 불명확한 절차에 대한 불신으로 여러 사항을 가정하여 사해행위취소소송 이외에 채권압류 등을 추가적으로 하고 있고, 또한 집행법원에서 배당절차가 끝나더라도 이에 대해 부당이득금반환의 소를 다시 제기하는 등 또 다른 분쟁을 만드는 상황이 발생한다. 사해행위의 채무자는 정상적인 거래를 하기 어려운 경제적 위치에 있는 상황이 많으므로 이러한 이유로 발생하는 채권자의 수도 많을 것이며, 이로 인해 다수 채권자들의 이해관계의 대립이 발생할 수 있다. 외환위기 이후 사해행위소송은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사해행위소송 절차 후 집행절차로 진행할 수 있는 입법안(사해행위취소법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 채권자취소권제도는 강제집행을 위한 준비절차에 불과하므로 취소소송 후 강제집행단계로 갈 수 있도록 부동산등기법, 민사집행법, 공탁법 등의 보완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부동산 경매절차상 발생하는 사례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채권자평등주의 원칙을 기본으로 모든 채권자들이 원상회복 후 진행되는 집행절차에 있어서 평등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고, 사해행위취소의 효력과 관련된 문제점과 그 보완의 일환으로 정비되어야 할 입법안에 대하여 연구해 보고자 한다.
Alternative Title
Research on the Effect of Fraudulent Action Revocation and the Application in the Execution Process
Alternative Author(s)
Kim, Yu Ji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법학과
Advisor
강혁신
Awarded Date
2016-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Ⅵ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제2장 채권자취소권의 일반론 3
제1절 채권자취소권 제도 3
1. 채권자취소권의 의의 3
2. 채권자취소권의 연혁 4
3. 채권자취소권과 다른 제도 4
제2절 채권자취소권의 법적성질 7
1. 학설 7
2. 판례 12
3. 검토 12
제3절 채권자취소권과 채권자평등주의 13
1. 민법 제407조의 의의 13
2. 민법 제407조의 법적성질 13
3. 채권자취소권의 효력이 미치는 채권자의 범위 17

제3장 원상회복의 방법 21
제1절 원물반환의 원칙 21
1. 의의 21
2. 판례 21
3. 검토 21
제2절 원물반환 후 유형별 처리방안 22
1. 동산 또는 금전인 경우 22
2. 채권인 경우 22
3. 부동산의 경우 23
제3절 가액배상 25
1. 가액배상의 법적성격 25
2. 가액배상과 채권자평등주의 26
3. 소결 34

제4장 채권자취소권의 효력과 부동산 집행절차상 문제 35
제1절 문제제기 35
제2절 민법 제407조 채권자평등주의의 집행절차상 적용 36
1. 집행절차상 평등주의와 민법 제407조 채권자평등주의 36
2. 배당이의의 소와 사해행위취소의 소 40
3. 배당절차 종료 후의 사해행위취소 45
제3절 사해행위취소의 효력과 집행절차상 적용을 위한 제안 52
1. 부동산등기법과의 조화를 위한 방안 52
2. 민사집행법상 공탁절차의 구체적 적용 방안 56
3. 추가배당 절차를 통한 채권자평등주의의 실현 방안 58
4. 채권자취소권에 관한 개정안의 검토 62
5. 소결 70

제5장 결론 71

부록 75
참고문헌 79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유진. (2016). 사해행위취소의 효력과 집행절차상 적용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269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5355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6-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