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의 교수적합화가 경도지체장애학생의 신체활동수준과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윤형준
Issued Date
2014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일반학급에 입급되어 있는 경도지체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통합교육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통합체육수업 교수적합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경도지체장애 중학생을 대상으로 통합체육수업의 교수적합화가 신체활동수준과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학교 1학년 체육교과 도전활동 영역의 ‘단거리 달리기’ 활동과 경쟁활동 영역의 간이활동인 ‘플로어 볼(floor ball)'활동, 건강활동 영역의 ‘줄넘기’ 활동을 참여학생의 특성과 능력에 맞게 통합체육수업 교수적합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장애학생의 일반학급 수업참여를 위한 교수적합화의 5가지 유형(교수환경의 적합화, 교수집단의 적합화, 교수방법의 적합화, 교수내용의 적합화, 평가방법의 적합화)의 수정을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한 후 적용하였다.
참여학생의 신체활동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McKenzie 등(1991)이 개발한 SOFIT의 신체활동수준, 수업내용, 교사행동의 세 가지 측정영역 중 신체활동수준의 다섯 가지 유형(눕기, 앉기, 서기, 걷기, 매우 활동적인 움직임)을 측정하였으며, 참여학생의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Ammah(2001) 및 Place와 Hodge(2001)이 개발한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측정도구인 AIPE-S와 장애학생과 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측정도구인 AIPE-T를 측정도구로 적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중학교 일반학급에 입급되어 있는 만 13세의 경도지체장애학생 3명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중재, 유지기간 모두 연구 참여학생의 실제 체육수업시간에 학교 운동장과 다목적 체육관에서 이루어졌으며, 중재는 주 2~3회씩 3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유지는 중재종료 4주 후 연속 3회기 동안 기초선 조건과 동일한 상황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본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통합체육수업의 현장관찰과 함께 통합체육수업의 교수적합화 적용에 대한 참여자들의 경험과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 참여하는 경도지체장애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면담 등의 다양한 문서자료를 수집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분석절차에 따라 전사하여 그 내용을 신체활동수준 총 발생빈도와 신체활동수준 유형별 발생빈도, 참여학생과 일반학생과의 상호작용행동 총 발생빈도와 상호작용행동 유형별 발생빈도, 참여학생과 교사와의 상호작용행동 총 발생빈도와 상호작용행동 유형별 발생빈도로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통합체육수업의 현장관찰기록과 연구 참여자들의 면담 내용을 전사한 자료는 내용 분석을 통해 코딩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체육수업 교수적합화 중재는 경도지체장애학생의 역동적 신체활동수준의 발생 빈도를 증가시켰으며, 신체활동수준의 유형별 변화에서도 걷기와 매우 활동적인 움직임 신체활동수준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중재 종료 후에도 기초선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둘째, 통합체육수업 교수적합화 중재는 경도지체장애학생과 일반학생과의 상호작용활동의 발생빈도를 증가시켰으며, 상호작용행동 유형별 변화에서도 학생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유형별로 다양하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이 아닌 상호작용(I)과 급우와의 의사소통(T) 행동이 증가되었다. 그 밖에 시범을 보여주거나 요청(D) 행동도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중재 종료 후에도 기초선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셋째, 통합체육수업 교수적합화 중재는 경도지체장애학생과 교사의 상호작용활동의 발생빈도를 증가시켰으며, 상호작용행동 유형별 변화에서도 상호작용행동이 유형별로 다양하게 발생할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별 변화의 빈도를 보면 변형과 적용(M)과 지도(I)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이 외에도 급우와 의사소통 유도(PI), 언어적 의사소통(V), 보조(S), 분위기 전환(D), 심리적 안정유도(PS)등이 중재기간에 발생하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중재 종료 후에도 기초선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넷째, 통합체육수업의 현장관찰기록과 함께 통합체육수업의 교수적합화 적용에 대한 참여자들의 개별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2개의 분석범주 안에 4개의 주제와 9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는 통합체육수업의 내적 어려움, 외적 어려움, 통합체육수업의 교수적합화에 대한 학생의 경험과 생각과 교사의 경험과 생각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통합체육수업의 교수적합화가 경도지체장애학생의 역동적 신체활동수준, 일반학생과의 상호작용,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일반학교에서 통합체육수업의 적용에 있어서 실제적 어려움을 파악하고 통합체육수업 교수적합화 실행의 가능성 또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현장 실천적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경도지체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통합체육수업의 교수적합화 중재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앞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넘어 실제 일반학교 체육수업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통합체육수업 자료와 매뉴얼 등을 개발할 필요가 있고, 체육교사와 경도지체장애학생 뿐만 아니라 학교행정가, 특수교사, 일반학급교사 등의 협력적 지원이 함께 실행될 수 있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instructional adaptation program for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where students with mild physical disabilities, placed in general middle schools classrooms, can be successfully included in educational fields.
Specifically,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program on physical activities levels and the inter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ild physical disabilities, this study developed an instructional adaptation program for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nd the program was made of the following: 'sprint' as one of the challenging activit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Grade 1, 'floor ball' as a simple and easy activity competitive activity and 'jump-rope' as a healthy activit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of the subjects.
As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is study reorganized the revised version of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program (with adaptations in instructional environment, instructional groups, instructional methods, instructional content, and evaluation methods).
To measure the physical activity levels of the subjects, this study measured five levels of activity (lying down, sitting, standing, walking, and very active movement) involved in the three physical activities, the program content and the teacher's behaviors using SOFIT developed by McKenzie et. al. (1991). As for interaction between the subjects, AIPE-S developed by Ammah(2001), and Place and Hodge(2001) to measure social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ordinary students and AIPE-T which measures social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eachers were used as measuring instruments.
The subjects were three 13 year old students with mild physical disabilities placed in ordinary middle school classrooms, and a three-step test consisting of a baseline, an intervention and a maintenance period was conducted with the use of the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The test was made in an actual physical education class on a school athletic field and in a multi-purpose gymnasium and the intervention was made two or three times a week for three months. The maintenance was measured with the same condition as that of the baseline for three consecutive sessions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To understand experiences and thinking of the subjects including field observation during the testing, this study collected documents and data including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having mild physical disabilities and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test, and analysed their content.
The data collected was analys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analysis involving the followings: a total of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ies, their frequency according to types of the activities, frequency of interactive behaviors between participants and other students and their frequency according to the types of interactive behavior, and frequency of interactive behavior between participants and teachers and the type of interactive behavior.
Also, data in the records of field observations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e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were cod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cont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intervention for instructional adaptation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creased the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y level, and as for the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levels according to their types, the frequency of walking and very active movement increased. Such changes have been maintained at a higher level than the baseline.
Second, the intervention for instructional adaptation in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creased the frequency of interactive behavior between participants and other students, and although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changes in interactive behavior according to their types between students, diverse types of the behaviors occurred. This increased the chance for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classmates. In addition, those interactions for a demonstration or asking for a demonstration increased. Such changes have been maintained at a higher level than the baseline even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Third, the intervention for instructional adaptation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creased the frequency of interactive activities between students with mild physical disabilities and their teachers, and diverse types of interactive activities occurred after the intervention.
As for frequency of changes in behavior, modification, application and instruction consistently increased, and in addition, communication with classmates, verbal communication, support, diversification and psychological stability increased during the intervention. Such changes have been maintained at a higher level than the baseline after the intervention.
Fourth, when participants' responses to the question on the application of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for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were analysed, four themes and nine sub-themes in two analytical categories were obtained. The themes obtained were internal and external difficulties, as well as students' and teachers' experiences and thought on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Through the results above, it was concluded that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dynamic physical activity level, and on the interaction of those with mild disabilities with ordinary students and teachers. This study had meaning in that it identified that there is real difficulty in the application of inclusive classes at ordinary schools and presented possibilities for executing instructional adaptation programs for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tudy on intervention programs for students with mild physical disabilities is in its infancy. It is suggested that diverse materials and manuals for the easy application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programs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at ordinary schools should be developed beyond the limi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 with the cooperative support of school administration staf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ordinary class teachers as well as P.E. teachers and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will be made.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Adaptation on the Physical Activity Level and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Mild Physical Disabilities Placed in Inclusiv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Alternative Author(s)
Yun, Hyung Ju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과
Department
일반대학원 특수교육학과
Advisor
김정연
Awarded Date
2014-08
Table Of Contents
목 차

표목차 ⅲ
그림목차 ⅴ
ABSTRACT ⅵ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9
1. 지체장애학생의 신체활동 특성 9
2. 지체장애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12
3. 체육교과 교육과정 14
4. 교수적합화 19
5.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통합체육수업 21
6. 통합체육수업 관련 선행연구 24

Ⅲ. 연구방법 27
1. 연구 참여자 27
2. 연구 기간 및 실험 장소 31
3. 통합체육수업의 교수적합화 개발 34
4. 연구 설계 52
5. 연구 절차 52
6. 관찰 및 측정 54
7. 관찰자 신뢰도 62
8. 사회적 타당도 65

Ⅳ. 연구결과 67
1. 통합체육수업의 교수적합화가 경도지체장애학생의 신체활동수준에
미치는 영향 67
2. 통합체육수업의 교수적합화가 경도지체장애학생과 일반학생과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75
3. 통합체육수업의 교수적합화가 경도지체장애학생과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84
4. 통합체육수업의 교수적합화에 대한 경험 93

Ⅴ. 논의 104
1. 통합체육수업의 교수적합화가 신체활동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 104
2. 통합체육수업의 교수적합화가 일반학생과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 107
3. 통합체육수업의 교수적합화가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 110
4. 통합체육수업의 교수적합화 경험을 통한 학생과 교사의 생각에 대한
논의 114

Ⅴ. 결론 및 제언 118
1. 결론 118
2. 제언 120

참고문헌 122
부 록 137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윤형준. (2014).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의 교수적합화가 경도지체장애학생의 신체활동수준과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231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76362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4-08-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