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勞動組合專任者의 法的地位에 관한 硏究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도하
Issued Date
2014
Abstract
A b s t r c t

The Study on Legal Position of
Official of Trade Union


Park, Do-Hah
Advidor : Prof. Choi, Hong-Yop. Ph. D.
Department of Law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Labor has the autonomous organized right, the collective bargaining right, the right to collective action for maintain and advancement of working condition(Ch33 ver3). Such Labor's three primary rights of Labor can't virtually bring in the employer as an opponent.

For an individual worker is being inferiority socially, economically and dealing with the number of workers, when she/he deals with cooperating with them together to the power of autonomy unity. when they cope with the position of unity in strength, they can be improved on working conditions in themselves effectively.

In terms of the typical unity can be said the labor union, this paper which comes after under Section 4 Article 2 of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ct(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Labor Act") regulates that "Labor Tarde union is the group or the organization that has a goal to support and make better working conditions and improve the socioeconomic statue for workers, uniting voluntarily and workers must be a principal agent.

Trade union needs a person that is devoted to union activity in order to support and improve working conditions for Labors and the representative person is called the Full-time official of Trade union (hereinafter referred as "FTOT").
Article 24(1) under the Labor Act stipulates that workers are in only their jobs of Trade union not to provide prescribed working hours of a Labor contract in case of being an agreement of users or setting a labor collective agreement by workers.

This Full-time official of Trade union system can be partly explicable by discussion of legalization process, scholar's study, precedent, administrational interpretation about the a legal position of FTOT since it was introduced Trade union act the 1997 until the present in Korea. But by act 9330 Jan 1st 2010, which is prohibited trade union representatives, wage payment as a rule, passing off actually the settlement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That is, Time-off system was introduced as the eclectic alternative, which sanctions a wage payment restricted an exceptional case(strictly speaking 'without a pay loss'),
This Time-off system surely couldn't be an object of discussion Because of the unfamiliar system even the notion, Discussion about Time-off system became a new phase.

Also, Government choose legislative solution system about a problem of payment of FTOT not the principle of autonomy in Labor and Management.
Despite everything, labor union act just regulates a minimum under section 4, Article 24 in regard to a practical part of Time-off system. The rest practical case is charged with a administrate commission and a minister of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o-called the Time-off system can't be neglected.

Meanwhile opening plurality union's era from 1st Jan 2011, Full-time official system of Trade union is confronted with another circumstance.
A study about Full-time official of Trade union system in korea has been done centrally on Trade union of business unit. Now if there is a plurality union on Business or business unit, it needs to be done more study about unreasonable discrimination in a predecessor´s number of Trade Union, a predecessor´s time between Plurality Union on account of majority trade Union or the authority of Enterprise.

Eventually, This study is arranged an academic and judicial achievement about a legal position of Full-time official of Trade Union primarily.
Furthermore, the matter and theory of analysis of Time-off system the considerable matter in legislation process and Law system, investigating relation between Time-off system and established FTOT, implementing legalization. It is considered How the legal position of FTOT will be amended under the established Full-Time system, processing legaliz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researched how the FTOT and Time-off system go into effect in realistic considered aspect and has a carried certain problem in reality of labor and management after introduced Time-off system by revised Labor law and Plurality unions in usiness or business unit, recognizing and analyzing what kind of alternative there is.

Eventu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rranged the study result of the existing legal position of FTOT, explaining the legal position of FTOT in the changed reality after a revised Labor law has been implemented Time-off system and Plurality Union introduction of business or business unit, pointing the legal problem about current FTOT system according to an issue, suggested in this article what the future desirable solution is.

▣ Keywords : Union Official, Working condition, Trade union, Labor Relations Act, Wage payment, Time-off system, Administrate commission, Plurality union on Business or business unit, Legislative solution system about a problem of payment.
Alternative Title
The Study on Legal Position of Official of Trade Union
Alternative Author(s)
Park, Do-Hah
Department
일반대학원 법학과
Advisor
최홍엽
Awarded Date
2014-08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대상·체계 및 방법 3
Ⅰ. 연구의 대상과 체계 3
Ⅱ. 연구의 방법 5

제2장 노동조합 전임자제도의 일반론 7
제1절 노동조합 전임자의 의의 7
제2절 노조전임자제도의 법적 근거 9
Ⅰ. 문제의 제기 9
Ⅱ. 학설의 대립 9
1. 단결권설 9
2. 협정설 11
3. 절충적 견해 12
Ⅲ. 판례의 태도 13
1. 대법원 1997. 4. 25. 선고 97다6926 판결 13
2. 대법원 1997. 6. 13. 선고 96누17738 판결 14
3. 대법원 2011. 8. 18. 선고 2010다106054 판결 14
4. 일본 판례의 소개 15
5. 판례의 태도 정리 16
Ⅳ. 소 결 16
제3절 입법례 19
Ⅰ. 주요국가의 입법례 19
1. ILO 기준 19
2. 독 일 21
3. 프랑스 23
4. 영 국 26
5. 미 국 28
6. 일 본 29
Ⅱ.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31
1. ILO 관련 31
2. 독일 관련 31
3. 프랑스 관련 32
4. 영국 관련 32
5. 미국 관련 33
6. 일본 관련 33
제4절 노조전임자의 일반적 지위 34
Ⅰ. 일반적 지위에 관한 논의 34
1. 문제의 제기 34
2. 견해의 대립 35
3. 판 례 37
4. 소 결 38
Ⅱ. 타임오프 사용주체의 문제 39
1. 문제의 제기 39
2. 학설의 대립 40
3. 소 결 43
4. 근로시간면제제도 실시 이후의 상황 44
제3장 개별적 근로관계에서 노조전임자의 지위 46
제1절 취업규칙의 노조전임자에의 적용 여부 46
Ⅰ. 문제의 제기 46
Ⅱ. 학설의 대립 47
1. 적용된다는 견해 47
2. 적용되지 않는다는 견해 47
Ⅲ. 판 례 49
Ⅳ. 소 결 51
제2절 노조전임자의 휴가 및 복리후생 53
Ⅰ. 문제의 제기 53
Ⅱ. 특성에 따른 분류 53
1. 법률근거 유무에 따른 분류 54
2. 휴가의 성격에 따른 분류 54
Ⅲ. 인정여부에 관한 학설의 대립 54
Ⅳ. 판례 및 행정해석 55
Ⅴ. 소 결 55
제3절 노조전임자에 대한 인사관리에 있어서의 쟁점 57
Ⅰ. 문제의 제기 57
Ⅱ. 전임의 시기와 종기 59
Ⅲ. 전 직 60
1. 문제의 제기 60
2. 관련 판례 검토 61
3. 소 결 62
Ⅳ. 원직복귀 63
1. 문제의 제기 63
2. 원직의 기준 63
3. 사용자의 인사권과의 관계 65
4. 원직복귀와 부당노동행위 66
5. 근로시간면제제도의 도입 관련 71
Ⅴ. 노조전임 기간 중 전임해제 71
1. 문제의 제기 71
2. 사용자의 일방적인 전임해제 가부 71
3. 노조의 전임해제 요청이 있을 경우 74
4. 소 결 74
Ⅵ. 노조전임자 변경 및 증ㆍ감원 74
1. 문제의 제기 74
2. 사용자 측의 요청 75
3. 노조 측의 요청 77
4. 법 개정 이후의 해석론 79
5. 소 결 80
Ⅶ. 노조전임자의 승진 및 평가 82
1. 문제의 제기 83
2. 관련 사례 83
3. 승진 청구권 인정여부 87
4. 소 결 87
제4절 산업재해보상보장법상 노조전임자의 지위 89
Ⅰ. 문제의 제기 89
Ⅱ. 업무에의 해당 여부 90
1. 견해의 대립 90
2. 재결, 행정해석 91
3. 판 례 92
4. 소 결 98
제5절 노조전임자의 징계 및 해고 99
Ⅰ. 노조전임자의 징계 99
1. 문제의 제기 99
2. 징계사유에 따른 정당성 판단 99
3. 징계의 상당성, 형평성에 따른 정당성 판단 103
가. 감봉(감급)의 경우 104
나. 정직의 경우 105
Ⅱ. 노조전임자의 해고 106
1. 문제의 제기 106
2. 노조전임자의 징계해고 107
3. 노조전임자의 정리해고 108
제6절 단체협약 유효기간 만료와 노조전임자의 임금청구권 존부 110
Ⅰ. 문제의 제기 110
Ⅱ. 관련 사례 111
1. 자동갱신의 경우 111
2. 자동연장의 경우 112
Ⅲ. 소 결 113
제7절 노조전임자의 퇴직급여 산정 114
Ⅰ. 문제의 제기 114
Ⅱ. 판 례 115
1. 계속근로기간 문제 115
2. 평균임금 산정기준액 116
Ⅲ. 소 결 117

제4장 집단적 노사관계에서 노조전임자의 지위 119
제1절 단체협약 상 전임자 조항의 법적 성격과 교섭대상성 여부 119
Ⅰ. 문제의 제기 119
Ⅱ. 단체협약 상 전임자 조항의 법적 성격 119
1. 학설 119
2. 판 례 121
3. 소 결 121
Ⅲ. 전임자 조항의 단체교섭·노동쟁의의 조정 대상성 여부 122
1. 학설의 입장 122
2. 판 례 122
3. 소 결 124
제2절 노조전임자 업무의 범위와 조합활동 125
Ⅰ. 조합활동의 의의 125
Ⅱ. 노조전임자의 업무와 조합활동 125
1. 근거 규정 125
2. 관련 판례 126
3. 소 결 127
Ⅲ. 근로시간면제제도하에서의 조합활동 127
Ⅳ. 소 결 128
제3절 노조전임자에 대한 급여지급 제한 129
Ⅰ. 일본에서의 논의 129
Ⅱ. 급여지급과 부당노동행위 133
1. 문제의 제기 133
2. 부당노동행위 기준 135
3. 부당노동행위 적용 범위의 문제 136
4. 노조법 제24조 등 규정들의 국제법 존중주의 위배 여부 137
제4절 근로시간면제제도 140
Ⅰ. 서 설 140
Ⅱ. 외국 입법례와의 차이 140
Ⅲ. 노조전임자 도입 현황 141
1. 도입 방식 141
2. 노조전임자 수 142
Ⅳ. 근로시간면제의 한도 142
1. 근로시간면제심의위원회 142
2. 노동부 고시-제2010-39호(2010.5.14) 144
3.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3-31호 145
가. 조합원 규모별 근로시간 면제 한도 145
나. 지역분포에 따른 근로시간 면제 한도 146
다. 고용노동부 고시 내용의 설명 146
4. 고용노동부 행정지침(근로시간 면제 한도 적용 매뉴얼 내용) 148
5. 소 결 149
Ⅴ. 인원제한에 대한 논의 및 노조법 시행령 제11조의2 위헌 여부 149
1. 인원제한에 대한 논의 149
2. 노조법 시행령 제11조의2의 위헌 여부 151
Ⅵ. 근로시간면제 대상 업무 155
1. 서 설 155
2. 대상 업무 156
3. 상급단체 파견의 문제 157
4. 대상 업무 제한에 따른 노조전임자 활동의 제약 여부 159
5. 비 판 160
Ⅶ. 근로시간 면제 한도 위반의 경우 160
1. 근로시간 면제 한도 위반의 단체협약의 사법상 효력 160
2. 부당노동행위의 성립 여부 162
Ⅷ. 근로시간면제제도 도입 이후의 상황 및 개선방향 164
1. 조직관리상의 애로사항 164
2. 근로시간면제제도 도입시 조합비 인상 164
3. 무급 전임자의 급여 충당 방법 165
4. 무급 노조전임자의 급여 충당으로 인한 노조활동 변화 165
5. 근로시간면제제도 도입으로 인한 편의제공 사항 변화 165
6. 근로시간면제제도 시행이 노조활동, 교섭력, 노사관계에 미 치는 영향 165
7. 정부의 지도·감독 및 개선방향 166
제5절 복수노조 체제하에서의 노조전임자 168
Ⅰ. 문제의 제기 168
Ⅱ. 총 근로시간 면제 한도의 산정방법 169
Ⅲ. 복수 노조 사이의 면제 한도의 배분 169
Ⅳ. 차별 존재 시 소수 노조 보호 169
1. 부당노동행위 법리에 의한 보호 170
2. 공정대표의무 법리에 의한 보호 171
Ⅴ. 복수노조에 있어서 근로시간 면제 한도 배분 상황 172

제5장 결 론 173

▣ 참고문헌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박도하. (2014). 勞動組合專任者의 法的地位에 관한 硏究.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225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76242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4-08-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