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노인에서 가족응집력 및 사회적 지지와 자살생각과의 관련성

Metadata Downloads
Author(s)
강미혜
Issued Date
2016
Keyword
가족응집력, 사회적 지지, 자살생각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characteristics,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suicidal ideation, family cohesion and social support on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over 65 years of age who participated i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Mental Health Survey in 2014.
Methods : Men 240, women 312, a total of 552 people were subject to a final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test,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 <0.05.
Results : In the main variable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social support is the average 37.56 ± 9.78, the average family cohesion was 64.18 ± 12.26, analyzed that 8.3% of the subjects with suicidal ideation. Finall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score of social support, the lower the suicidal ideation(OR=0.927, 95% Confidence interval 0.873∼0.983). The severity of depression(OR=7.657, 95% Confidence interval 1.829∼32.055) and the severity of depression(OR=8.119, 95% Confidence interval 2.355∼27.985)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Sleep tim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6-7 hours, compared to less than 5 hours(OR=0.281, 95% Confidence interval 0.101∼0.779).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a group with little social activity difficulty compare to the other group(OR=0.207, 95% Confidence interval 0.044∼0.967). But family cohesion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OR=0.972, 95% Confidence interval 0.934∼1.012).
Conclusions :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and stress, depression, sleeping time, difficulty in social activities, etc. Therefore, in order to decrease the suicidal ideation of elderly people,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strengthen social support and to encourage active social activities, and to reduce depression and stress.
|본 연구는 2014년 광주광역시 정신건강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의 가족응집력, 사회적 지지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남성 240명, 여성 312명, 총 552명을 최종대상자로 하였으며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 카이제곱검정 그리고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p<0.05로 하였다.
자살생각과 관련하여 주요변수인 사회적 지지 평균은 37.56±9.78, 가족응집력 평균은 64.18±12.26이었고, 대상자의 8.3%가 자살생각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종적으로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는 점수가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OR=0.927, 95% CI; 0.873∼0.983). 우울수준이 중등도인 경우(OR=7.657, 95% CI; 1.829∼32.055), 중증인 경우(OR=8.119, 95% CI; 2.355∼27.985)가 정상에 비해 자살생각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스트레스 수준은 저 스트레스보다 중등도 스트레스(OR=4.629, 95% CI; 1.401∼15.292), 수면시간은 6-7시간이, 5시간 이하에 비해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OR=0.281, 95% CI; 0.101∼0.779). 사회활동의 어려움이 약간 있는 경우가 없는 군에 비해 자살생각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OR=0.207, 95% CI; 0.044∼0.967). 가족응집력은 자살생각과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OR=0.972, 95% CI; 0.934∼1.012).
결론적으로 노인의 자살생각에는 사회적 지지가 중요하게 관련되어 있었고, 스트레스, 우울, 수면시간, 사회적 활동의 어려움 등도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노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과 적극적인 사회활동을 권장하는 분위기의 조성 등이 필요하고 우울, 스트레스 등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lternative Title
The Relevance of Family Cohesion & Social Support on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Alternative Author(s)
Kang, Mi Hye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Department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Advisor
박 종
Awarded Date
2017-02
Table Of Contents
표 목 차 ⅲ
ABSTRACT ⅳ

I. 서론 1

II. 연구방법 3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3
B. 이용변수 4
1. 독립변수 4
2. 종속변수 6
C. 자료분석 7

III. 연구결과 8
A. 대상자의 특성분포 8
1. 일반적 특성 8
2. 건강 특성 10
3. 정신건강 특성 12
4. 가족응집력, 사회적 지지 14
B. 대상자의 특성과 자살생각과의 관련성 15
1. 일반적 특성과 자살생각과의 관련성 15
2. 건강 특성과 자살생각과의 관련성 16
3. 정신건강 특성과 자살생각과의 관련성 18
4. 가족응집력, 사회적 지지와 자살생각과의 관련성 19
C. 자살생각의 관련요인 20

IV. 고찰 22

V. 요약 및 결론 26

참고문헌 27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Citation
강미혜. (2016). 노인에서 가족응집력 및 사회적 지지와 자살생각과의 관련성.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08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5966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Parmacy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7-02-21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