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귀 환자에서 홍역, 볼거리, 풍진 백신을 이용한 병변내 면역요법의 효과에 대한 연구
- Author(s)
- 최훈
- Issued Date
- 2013
- Keyword
- Intralesional immunotherapy, MMR, Wart
- Abstract
- 배 경: 사마귀를 치료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지만, 기존에 사용되던 파괴적인 치료법의 경우 통증이 심하거나 비효과적이며 치료 후 흉터를 유발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치료효과가 더 뛰어나면서 앞서 언급한 부작용들을 최소화한 새로운 치료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목 적: 사마귀 환자를 대상으로 홍역, 볼거리, 풍진(Measles, Mumps, and Rubella, MMR) 백신을 이용한 병변내 면역 요법의 치료 효과와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 2011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다양한 임상양상의 사마귀를 주소로 피부과에 내원하여 MMR 병변내 면역 요법을 시행한 1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2주 간격으로 총 6회까지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치료반응을 매 방문시마다 사진촬영을 통해 확인하였다. 치료 반응은 사마귀의 크기와 수의 감소 정도에 따라 세 그룹(0-49%, 50-99%, 100%)으로 분류하였고, 완전 관해를 보인 환자군의 경우 6개월 뒤 재발여부를 확인하였다.
결 과: 치료한 사마귀 중 51.5%, 그리고 원위부 사마귀의 경우 46.7%에서 50% 이상의 호전을 보였다. 보통 사마귀의 경우 다른 임상양상의 사마귀에 비해 더 높은 치료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하지만 치료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되었던 다른 인자들(성별, 연령, 이환기간, 병변의 개수, 과거치료력 등)의 경우 통계학적인 연관성을 가지지 않았다. 모든 환자들이 병변내 주사시 약간의 통증을 호소하였지만 다른 부작용은 거의 없었으며, 완전 관해를 보인 환자 중 5.6%에서 6개월 후 재발하는 양상이었다.
결 론: 본 연구의 경우 사마귀에 대한 병변내 면역요법에 대한 기존 연구보다 다소 낮은 치료반응을 보였지만, 다수의 보통 사마귀를 가지면서 통증에 민감한 환자들에게 있어 일차적인 치료법으로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부분 관해를 보인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횟수를 늘림으로써 더 높은 치료 반응율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며, 추후 이에 대한 부분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3-08-22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