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대중화를 위한 자연사박물관 전시물의 과학 커뮤니케이션 반영정도 분석
- Author(s)
- 최은지
- Issued Date
- 2013
- Keyword
- 과학대중화, 자연사박물관, 전시물, 과학 커뮤니케이션
- Abstract
- 과학교육에서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과학적 소양을 함양할 수 있는 장소로 평생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비형식기관의 학습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자연사 박물관은 과학기술의 모습과 방향을 제시하는 곳으로 과학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날 수 있는 중요한 장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자연사박물관의 전시물에 과학 커뮤니케이션이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분석 도구를 개발하고 전시물을 분석하여 전시물의 기획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하는 데에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연구 대상은 국내의 S와 M 자연사박물관 상설전시관에서 생태계 등 본 연구자의 배경인 생물과 관련된 일부 전시물을 선정하였으며 전시물의 내용은 사진촬영으로 수집하였다. 과학의 대중화를 위해 과학교육의 목표인 과학적 소양과 STEAM 교육을 연계하고,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목적을 살펴보고 Burns et al.(2003)의 연구를 바탕으로 공통부분을 추출하여 Science Exhibition Panel Analysis Tool(SEPAT)이라는 분석도구를 개발하였다. 공통부분을 과학교육에서 다시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 본 연구를 위한 틀로서 조작적 정의한 후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과학개념과 인식, 과학탐구의 본성 및 STS, 실생활, 그리고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적 창의적 사고로 나타나는 의견의 5가지 요소로 나타내고 코드화하였다. 개발한 분석도구를 사용하여 전시물의 과학 커뮤니케이션 반영정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도구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S 자연사박물관의 2개 상설전시관과 M 자연사박물관의 4개의 상설전시관을 분석하였다. S 자연사박물관의 2개의 상설전시관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인간과 자연환경, 다양한 생명체 등에 대한 내용이고, M 자연사박물관의 4개의 상설전시관에는 다양한 육상동물, 수중생명, 그리고 서남해안 권역의 자연생태모습 등에 대해 전시하였다. 2개의 자연사박물관의 전체 243개 전시패널에서 파악된 과학커뮤니케이션 요소는 개념, 인식, 그리고 태도 3가지만 나타났으면 분석된 빈도수는 777이었다. 이 중 대부분은 개념을 나타냈고(94.2%, 732/777), 태도(3.5%, 28/777)와 인식(2.3%, 18/777)은 일부를 차지하였으며 이는 두 자연사박물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개념에 해당하는 전시패널의 예로는 식물의 계통으로 그에 해당하는 녹조류, 선태식물 등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 있다. 태도에 해당하는 전시패널은 재미있는 식물의 이름의 유래이야기를 표현한 패널과 북극곰을 의인화하여 표현한 패널 등이 있다. 인식의 예는 생물의 멸종위기에 대한 내용이 있었다. 그 밖에 전시물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전시연출법을 분석하여 패널에 특별한 내용이 없지만 연출법에 따라 다른 요소가 드러남을 볼 수 있었다. 그 예로는 맹꽁이의 모형에 손을 문지르면 맹꽁이 울음소리가 들리는 전시물로 패널내용은 없지만 흥미를 유발하는 것이 있었다.
표본, 박제 등과 같은 전시물이 많은 자연사박물관의 특성상 ‘개념’으로 구성된 텍스트위주의 전시패널을 포함하기에 전반적인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반영은 제한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전시 연출에 의해서 일부 보강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지만 과학 전시에서 직접적인 소통은 패널의 텍스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볼 때에 전시패널의 기획, 개발에서 과학 커뮤니케이션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대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기존의 자연사박물관을 포함한 과학관의 패널 수정 및 교체가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기존의 전시물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과학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안을 강구해야 한다. 고려할 수 있는 대안 중 하나로, 부차적인 전시패널이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개념’ 외에 다른 요소인 ‘태도’, ‘인식’, ‘의견’, ‘즐거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자연사박물관에서 체계적인 과학전시의 기획, 개발 및 연출의 연계를 통해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성공적인 반영이 가능할 것이다. 전시의 의도는 기획, 개발 그리고 연출이 서로 연계되어 과학 커뮤니케이션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정되어 있거나 수시로 바꿀 수 없는 전시물을 가지고 우리가 바라는 과학 커뮤니케이션을 반영하는 데에는 제한점이 있기 때문에 과학관의 교육전문가를 통한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완성을 이룰 수 있다. 이때 과학교육전문가 즉 도스트나 해설사를 통해서 프로그램을 통한 보충적인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달성을 이루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과학관교육의 전문가의 양성이 체계화되어야 하고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제도를 통해 양성된 도슨트나 해설사를 활용하여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완성을 기대할 수 있다.|Science education aims to nurture scientific literacy. To nurture such traits, we can think of learning in informal institutions where lifelong education can be achieved. In particular, a natural history museum is the place to suggest vision and direction of science technology of the future, and it is an important site where science communication can be achie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nalyzing tool in order to explore the level of science communication embedded exhibition panels of natural history museum in Korea, and utilize the analysis results as guidelines for the planning of the exhibits.
As for the research method, two natural history museums, S and M, were selected for the data collection related to exhibition panels. Some parts of whole exhibits such as ecological system which is researcher’s background were selected for data collection. The contents of exhibits were collected through photographs. The analyzing tool, SEPAT (Science Exhibition Panel Analysis Tool), was develop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of science communication which illustrates current paradigm of science education such as scientific literacy and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educational policy in Korea.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of science communication, the components of SEPAT were extracted and validated by comparing with those of Burns et al. (2003). The components of SEPAT which illustrates the current paradigm of science education were as follows with operational definitions; experiencing Science Concepts,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the relationship of STS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wareness (to feel seriousness from the result of science , Enjoyment, Attitude toward science, and Opinion (for evaluating the value of science influence on our life), all of which can be experienced at the context of authentic science communication. Using SEPAT, I analyzed the level of science communication embedded in the exhibition pan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analyzed the exhibits in two permanent exhibition halls of S Natural History Museum and four permanent exhibition halls of M Natural History Museum. The exhibits in the two permanent exhibition halls of S Natural History Museum dealt with men and natural environment as well as various living creatures. On the other hand, those in the four permanent exhibition halls of M Natural History Museum exhibited various land animals, aquatic life, and natural and ecological features in West and South coastal area zone. Among the entire 243 exhibit panels in the two science history museums, only three components of science communication were detected and they were Concepts (94.2%, 732/777), Awareness (2.3%, 18/777), and Attitude (3.5%, 28/777) out of total 777 components which were commonly shown in two natural history museums.
The example of exhibit panels that belonged to Concept was a plant system which explains the features of green algae, bryophyte, etc. The exhibition panels that belonged to Attitude were those expressing the origin of the interesting names of plants, and those expressing personified polar bears. The example of the Awareness was the content regarding extinction crisis of living things. On the basis of analyzing exhibition direction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of exhibits, it was found that a few exhibitions revealed certain component of science communication without texts on the panels. For example, the model of a frog generates sound when it is rubbed by hand, which attracts interest of visitors, although that exhibition doesn’t have panels with texts on it. The coordination of exhibition without texts on the panel is another way to embed the components of science communi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natural history museum that has a lot of exhibits like specimen and stuffed animals, it is found that there is a restriction for all panels to reflect all components of science communication through text-oriented exhibit panels. Some components can be complemented by exhibition coordinating. However the direct communication in science exhibition can be achieved through the texts of the exhibit panels. Therefore, science communica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planning and developing exhibit panels.
Regarding the findings,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Considering that it is difficult to correct or replace the existing panels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museum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alternative plan which enables the existing exhibition to be used as it is and enables science communication to be effective at the same time. One of the possible alternative plans is to develop secondary exhibition panels or programs so as to provide Attitude, Awareness, Opinion, and Enjoyment beyond Concept. In collaboration with systematic planning, developing and presenting of science exhibits in natural history museums, science communication might be successfully applied. The purpose of exhibitions should allow science communication to be applied when working on planning, developing, and presenting. Lastly, since there are restrictions in applying science communication to the exhibition which is limited in number and unchangeable frequently, the educators in a science museum could help science communication to be applied completely. Supplementary science communication could be achieved through programs by science museum’s educators, such as docents who interact with visitors directly. In order to do so,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pecialists for science museum education systematically. The completion of science communication could be enhanced by equipping docents with abilities essential to be expertise through training preparation o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 Alternative Title
- Analyzing the Level of Science Communication embedded in Natural History Museum Exhibition Panels for the Popularization of Science
- Alternative Author(s)
- Choi, Eun Ji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자연교육학과(과학교육학전공)
- Advisor
- 박영신
- Awarded Date
- 2013-08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Ⅴ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4
A. 과학교육의 목표 4
B. 과학 커뮤니케이션 6
C. 비형식 교육기관으로서의 과학관 10
D. 전시 14
1. 전시의 개념 14
2. 전시의 유형 15
III. 연구방법 18
A. 연구대상 선정 및 자료수집 19
1. 연구대상 선정 19
2. 자료수집 20
B. 과학 전시패널 분석 도구 개발 25
C. 자료분석 26
IV. 연구결과 29
A. S 자연사박물관의 반영정도 분석 29
1. 1층 인간과 자연관 전시패널 분석 결과 29
2. 2층 생명과 진화관 전시패널 분석 결과 37
B. M 자연사박물관의 반영정도 분석 42
1. 1층 육상생명관 1 전시패널 분석 결과 42
2. 2층 육상생명관 2 전시패널 분석 결과 46
3. 2층 수중생명관 52
4. 2층 지역생태관 전시패널 분석 결과 56
V. 결론 및 제언 62
참고 문헌 65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최은지. (2013). 과학대중화를 위한 자연사박물관 전시물의 과학 커뮤니케이션 반영정도 분석.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89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3945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3-08-22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