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참여 중심의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창작공간 설계연구
- Author(s)
- 김경호
- Issued Date
- 2012
- Abstract
- 국문초록
20세기 후반 탈산업사회에 접어들면서 세계의 선진도시들은 기존의 산업사회와는 확연히 구별되는 도시민들의 문화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어 가고 있다. 다시 말해 문화가 21세기 도시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정체성 확립 및 경제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키워드로 떠오르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대표적인 문화도시인 파리, 요코하마, 뉴욕과 같은 해외 도시들은 문화정책의 실현을 통해 도시민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문화산업의 활성화를 통한 새로운 도시적 창조성을 강화해가고 있다. 이를 통해 도시의 가치를 새롭게 탄생시키는 등 새로운 도시변화의 원동력으로 문화활동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문화를 바탕으로 한 도시의 생명력의 부여는 최근 국내의 대도시와 중소도시들에서도 새로운 도시활력을 생성하고, 도시민들의 문화활동을 유도하는 주요시설로서 소규모 창작공간들의 건립이 새롭게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 사례로는 ‘서울창작공간’, ‘광주대인시장아트마켓’과 같이 이용 주민들과 지역예술가들을 지원해주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사업의 특징은 도심지 혹은 주택가에서 시민들의 생활공간 가까이에서 문화예술을 경험할 수 있게 하려는 사업들이다. 보다 많은 대중의 예술 참여를 통해 예술의 접근성 확대에 최우선을 목표를 하는 방식으로 “커뮤니티 아트”는 대중이 주체가 되어 자신들의 일상과 환경을 토대로 문화의 사회적인 소통의 역할을 회복하는 운동으로 새롭게 자리잡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국내·외의 문화환경의 변화에 대한 새로운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문화시설의 의미와 커뮤니티 아트활동에 필요한 소규모 문화시설의 기능과 건축적 특성분석을 통해 시민참여 중심형 소규모 문화시설의 계획방향 및 계획지침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건축설계 대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례분석을 통한 계획방향설정 및 계획지침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최적의 설계안을 제시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외사례 2개소와 국내사례 6개소의 선행사례분석을 통해 공간개요, 공간운영전략, 공간현황, 공간프로그램, 지역적 특성과의 연관성을 종합적으로 분석 고찰하였다. 이어서 주민참여 중심형 창작공간의 계획방향 및 계획지침 설정 및 구체적인 건축설계 대안을 제시하였다.
창작공간 국내·외 9개소 사례를 건축물 배치, 평면구성, 동선체계, 건축물 외관 이미지, 공간의 사용자 지향 정도관련 평가항목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선행 창작공간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건축물 배치는 대부분 단일건물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공간 중심형과 비중심형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중정형과 같은 외부공간으로 열린 형태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내·외부 공간의 연계성이 결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면구성과 수직이동수단의 구성에서는 동선의 분리정도가 상 혹은 하 한쪽으로 치우친 경향이 많았다.
셋째, 건축물 외관의 이미지는 단독 건축물의 경우 내부공간과 외부공간 사이의 시각적 소통이 부족하고, 무거운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다.
넷째, 공간 사용자 지향 정도를 예술가, 시민, 공용(예술가+시민), 운영지원으로 나누었을 때 예술가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시민중심 보다는 공용공간 중심의 공간이 더 많게 구성됨으로서 창작공간과 지역주민과의 지속적이 소통에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소규모 시민참여 중심형 창작공간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지역주민들이 쉽게 참여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건축계획 방향 및 계획지침을 설정 하였다.
이를 토대로 시민들이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지역커뮤니티를 활성화 시킬 수 있게 하는 구체적인 창작공간의 설계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문화시설이 부족한 지역으로 창작공간의 필요성이 높은 공간과 유동인구가 많거나 도시의 중심지역과 거리가 가까운 곳으로 지역주민외의 방문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여야 한다. 또한 기존 공공시설과 인접한 대지를 선정하여서 주민들이 인식하기 쉬운 곳으로 선정 한다.
둘째, 배치형태를 외부공간과 관계성을 강하게 하고 내부공간은 기능별 구분과 사용자들이 소통이 내·외부에서 소통이 활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양한 활동이 일어날 수 있는 공간에는 변경이 자유로운 구조를 선택하여 운영프로그램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반응할 수 있게 한다.
셋째, 입면은 내부의 프로그램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홀과 갤러리 소극장과 같은 공간은 투명한 외벽으로 외부공간과 시야적 소통이 일어날 수 있게 계획한다. 시야적 소통과 입면의 패턴으로 공간의 흥미를 줄 수 있게 한다.
넷째, 대지 인접한 공공시설과 직접 연결되는 길의 요소를 사용하여서 창작공간을 지나는 주민들이 조금 더 자연스러운 소통을 유도하고 휴게공간을 구성하여서 외부공간도 공공의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계획한다.
그러나 창작공간이 국내에 초기도입단계에 있기 때문에 많은 사례를 통해서 일반적인 결과를 도출하는데 있어 미흡한 점이 많았다. 본 연구는 정확한 기준을 마련할 수는 없었지만 광주광역시 문화예술공간에서 서울과 해외와 비교하여 눈에 뛰게 부족한 부분으로 단순한 문화예술컨텐츠 감상이 아닌 예술가를 지원하고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창작활동을 통해서 지역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경쟁력 또한 강화할 수 있는 것을 보여 주는 것으로 그 의미가 있다고 본다.|ABSTRACT
As we move into de-industrial society in the late 20 century, in citizen's desire for culture has been increased in advanced cities in the world, which is definitely distinct from the existing industrial society. In other words, we enter an era that culture appears as a new keyword to establish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identity and reinforce economic power of cities in the 21st century. Representative foreign cities such as Paris, Yokohama, and New York raise citizen's pride through the realization of cultural policies and enhance new urban creativity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the cultural industry. It greatly contributes to the position of cultural activity as the driving force of city changes such as creating the new value of a city. Giving life to a city based on culture has led to new attempts to build small creative spaces to produce new urban vitality and induce citizen's cultural activity in large and small cities.
Relevant examples include 'Seoul Creative Space' and 'Gwangju Daein Market Art Market' to support users and local artists. They aims to help citizens experience culture and art near their life space such as downtowns or residential streets. "Community Art" which mainly aims at increasing accessibility of art through public's participation in art has established itself as a movement to recover the social communication role of culture based on daily life and environment by the public's independent action. In order to respond to such new needs for changes in cultural environment at home and abroa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cultural facilities and the functions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small cultural facilities which are necessary for community art activity, establish the direction and guideline of citizen participation-based small cultural facilities, and suggest alternatives to architectural design.
For this, this study established a direction and suggested its guideline through case analysis, and a detailed optimal design was presented. In other words, space outline, space operation strategies, the present state of space, space programs, and association with local features were generally analyzed and considered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cases of 2 foreign spots and 6 domestic spots. Subsequently, the direction and guideline of citizen participation-based small cultural facilities were established and detailed alternatives to architectural design were made.
9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creative space were analyzed mainly in terms of a layout, plane composition, a circulation system, exterior images of buildings, and the degree of user-oriented space, and the following problems were found.
First, most layouts of buildings were made as a single building type with their focus on main space and non-space. Consequently, it failed in openness toward exterior space like a court type, resulting in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space.
Second, for the composition of plane and vertical transportation, the separation of circulation tended to lean toward one side of the upper or the lower.
Third, the exterior images of buildings lacked in visual communication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space and formed a heavy image in single buildings.
Finally, the degree of user-oriented space was divided into artists, citizens, common use(artists + citizens), and operation support, and it was found that the weight of artists was the highest and common use space was more common than citizen space. It caused problems of continuous communication between creative space and local residents.
The direction and guideline of architectural plan were established to solve problems of the existing small community participation-based art space and for community's easy participation and use in various ways.
Then, detailed design alternatives to art space were suggested for citizens to enjoy culture and art and invigorate their community.
First, art space was established in the places that lacked in cultural facilities, were high in the need of art sapce, had a large floating population, were near downtown, and could be used by visitors other than local people. The sites adjacent to the existing public facilities were selected for residents to easily recognize.
Second, a layout aimed at strong connectness with outer space. Inner space was divided functionally for users to have active communication inside and outside. The space where a variety of activities occurred selected a free structure easy to change to respond actively to program changes.
Third, the facade of a hall or a little theater used a transparent outer wall for visual connection with outer space, so that its programs could be easily recognized.
Finally, an element of a path directly connected with neighboring public facilities was used to elicit more natural communication of residents passing through art space. Also lounge space was prepared to use outer space for public space.
As art space was at the early stage in Korea, it is unsatisfactory to draw general conclusion through many examples. Although this study could not establish exact standards, it is significant to show the possibility to form community and enhance competitiveness through art activity which supports artists and can be directly participated by community rather than simply appreciates culture and art contents, which is remarkably insufficient in art space of Gwangju compared with that of Seoul and foreign countries.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Design of Art Space for Invigorate Community Participation Centered Local Culture
- Alternative Author(s)
- kim, kyoung ho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계획전공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 Advisor
- 김인호
- Awarded Date
- 2012-08
- Table Of Contents
- 목 차
ABSTRACT
표 목차
그림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제3절 선행연구 고찰 3
제2장 문화예술시설 및 창작 스튜디오에 대한 이론적 고찰 11
제1절 문화예술시설의 개념 및 유형 11
1. 문화와 문화시설 11
2. 문화예술 교육의 개념 14
3. 문화예술시설의 유형 19
4. 문화시설의 건축적 요소에 의한 분석 23
제2절 창작 스튜디오의 이해 24
1. 창작 스튜디오의 개념 24
2. 창작 스튜디오의 역할 31
제3장 창작공간의 사례 조사 36
제1절 국외 창작시설 사례 36
1.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하마 36
2. 독일 독일 베를린 우파 파브릭 39
제2절 국내 창작시설 사례 42
1. 서울시 창작공간 현황 42
2. 서울시창작 공간별 공간 및 프로그램 분석 43
가. 서교문화실험센터 44
나. 금천예술공장 48
다. 신당창작아케이드 54
라. 연희문학창작촌 57
마. 문래예술공장 60
바. 성북예술창작센터 64
제3절 국내·외 창작공간의 종합 분석 68
1. 창작공간 공간분석 69
가. 창작공간별 운영방향 69
나. 공간구성 분석 70
다. 공간활용 분석 75
2. 국내·외 창작공간의 문제점 80
제4장 소 결 81
제1절 계획의 방향 81
제2절 계획의 지침 82
제5장 주민참여 중심형 창작공간 설계안 83
제1절 대지선정 및 분석 83
제2절 기본 계획 방향 89
제3절 건축 계획 89
제4절 계획결과물 84
제6장 결 론 100
참고문헌 102
국문초록 105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김경호. (2012). 주민참여 중심의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창작공간 설계연구.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60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3451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2-08-09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