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光州폴리의 空間的 特性에 관한 平價 硏究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용관
Issued Date
2012
Abstract
근래 인구증가의 둔화는 물론, 심지어는 인구가 감소되는 도시적 상황속에서도 지속된 도시외곽지역의 택지개발 사업 등은 기성시가지에 거주하던 인구의 이동현상과 함께 기성 시가지의 기능쇠퇴 현상을 가져왔고, 도시들은 이의 해소를 위해서 다양한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광주광역시는 2011년 디자인 비엔날레 사업 일환으로 세계적 건축가들을 초청하여 옛 읍성이 있던 장소에 광주폴리 설치라는 창조적 재생 사업을 시행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광주폴리의 장소적․입지적․형태적․점유적 특성과 이에 대한 인식 및 시지각 특성을 실측조사, 면접 및 설문조사, 이미지평가를 통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주폴리의 입지장소는 도로변의 인도입지가 반 정도로 가장 많고, 다음은 도로 교차점변의 인도 입지, 보차 혼용도로의 교차점 입지 순이며, 입지형태는 인도 폭 전체 입지와 인도 폭 일부 입지, 보차 혼용도로의 교차점 중앙 일부 입지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폴리형태는 사람들이 머무를 수 있는 실용적 형태가 2/3정도로 가장 많은데, 인도폭 일부 입지의 경우는 사람이 잠시 쉬거나 머무르면서 주변을 조망 할 수 있는 형태가 반 정도로 가장 많고, 인도 폭 전체 입지의 경우는 사람들이 통과하는 출입문 형태가 2/5정도로 많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인도 폭이 보행만을 위한 최소한의 폭을 갖고 있어서 인도 폭 일부 점유형이나 전체 점유형 모두 장소가 협소하여 광주 폴리의 이미지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2. 광주폴리의 점유형태는 직사각형, 원형, 정사각형 등의 면적점유 형태가 대부분이고, 선형의 선적 점유형태는 적게 나타나고 있다. 규모는 면적점유 형태는 평균면적이 55.5㎡ 이고, 선적 점유 형태경우는 평균 면적이 102.6㎡이고, 이의 길이는 최소 약 30m, 최대 약 35m정도로 나타나고 있다. 광주 폴리 설계 작가들의 작품 지향성은 도시의 공공성 회복이나 도시 커뮤니티에 관련된 주제가 2/3 정도로 가장 많고, 나머지는 역사성 회복에 관련된 주제로 나타나고 있다.
3. 광주폴리의 조형적 형태는 3개의 시각적 요소를 갖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고, 면적비는 입체→면→선, 면→선, 선 순이며, 기본 형태는 2/3정도는 기하학적 형태, 나머지는 유기적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사용 재료는 강관이나 파이프등 철제가 가장 많고, 색채는 1/3정도가 회청색으로 나타나고 있다. 재료별 색채는 철재의 경우는 회청색이 가장 많고,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자체색, 목재는 목재와 동일한 색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4. 광주폴리에 대한 인지도는 일반인들 보다는 대학생들이 더 높고 대학생들 중에서 전공과 관련이 있는 건축학과 학생들이 높은 것이라는 전제아래 구분하여 조사 한 결과 건축학과 학생은 2/3정도가, 이외의 학과 학생의 2/5정도만이 광주폴리를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의 광주폴리에 대한 정보습득 경로는 건축학과 학생은 광주비엔날레를 통해서가 가장 많고, 이외의 학과 학생은 우연히 지나가다가와 광주비엔날레를 통해서가 많게 나타나고 있다.
5. 광주폴리의 이미지 선호도는 인도 폭의 일부에 입지하면서 사람들이 쉬거나 주변을 조망 할 수 있는 등 약간의 공간이용이 가능한 실리적 목적을 갖고 있는 형태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광주 폴리가 인도 폭 일부 입지로 인해 사람들의 흐름체계를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독립적 공간 기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처럼 광주폴리는 이들과 관련이 있는 전문가나 공무원, 언론 등은 세계적 건축가들의 작품성을 바탕으로 어느 정도의 인지도를 갖고 있으며, 이에 대한 평가도 다소 긍정 평가와 함께 도시 이미지 향상에도 어느 정도 공헌을 하였다고 평가 하고 있는 반면 일반 시민들의 인식도 아주 낮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광주폴리는 입지장소의 비좁음 등으로 인해 피규어로서의 역할이나 작가 의도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못하는 경향도 함께 보이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광주폴리가 옹색한 이미지를 보이지 않고, 작가의 의도가 시민들의 문화적 역량으로 잘 나타낼 수 있도록 장소 정비계획과 함께 시민들에게 작품의 의도와 가치를 인식시키는 작업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광주의 정체성과 매력을 만드는 도시 자산을 정착이 필요하다. 아울러 앞으로의 광주 폴리는 보다 실용적 목적을 겸용 하도록 하여 시각적 즐거움을 갖는 형태 중심에서 체험적 즐거움을 갖는 공간 중심으로의 관점 변화가 필요하다.|Recently in the urban situation of a slowdown in population growth, as well as population decrease, continued housing development projects in the outskirts of cities have brought about the movement of population residing in existing urban ares and a decline in the functions of existing urban areas. Cities have exerted themselves to solve this problem. Gwangju Metropolitan City has implemented a creative regeneration project of Gwangju Follies in the site of Gwangju-eup Fortress as part of the Gwangju Design Biennale 2011 by inviting well-known international architect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lace, location, formation, and occupation and their awareness and visual perception through actual survey, interviews, a questionnaire survey, and image evalu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1. The most common location of Gwangju Follies was a footpath, followed by footpath cross and mixed street(Woonerf) cross. The most frequent location type was the full location of footpath width, followed by the partial location of footpath width, and the partial location of the center of mixed street(Woonerf) cross. For follies types, the practical type which people can stay was the most common(2/3). In the partial location of footpath width, the type which people take a rest and look out over the surroundings accounted for a half. In the full location of footpath width, the gate type which people pass accounted for 2/5. However, as footpath width was minimum for walking, both partial and full occupation types were narrow in place. It influenced the image of Gwangju Follies.
2. Most occupation types of Gwangju Follies were area occupation such as rectangle, circle, and square and linear occupation was small. Mean area of area occupation and linear occupation was 55.5㎡ and 102.6㎡ respectively. The length was about 30m at a minimum and length was about 35m at a maximum. 2/3 of Gwangju Follies architects aimed to restore urban publicity and urban community and the rest intended to restore history.
3. Most formative types of Gwangju Follies had three visual elements. The most common area ratio was a solid → a plane → a line, followed by a plane → a line and a line. 3/2 of basic types were geometric and the rest were organic. The most frequently used material was steel or pipe and the most commonly used color was grayish blue. Concrete and wood had their own color.
4. The recognition of Gwangju Follies was examined on the assumption that colleg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public and of college students and students studying architectural engineering were the highest. 2/3 of architecture students and only 2/5 of students of other departments knew Gwangju Follies. For their information paths, architecture students got information in the Gwangju Biennale and students of other departments found Gwangju Follies by accident or obtained information in the Gwangju Biennale.
5. Image preference of Gwangju Follies was the highest in the partial location of footpath width which had a practical purpose by using some space to take a rest and look out over the surroundings. Probably it is because that Gwangju Follies in the partial location of footpath do not disturb people's flow and have an independent func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Gwangju Follies had some recognition by related experts, public servants, and mass media based on world-famous architects' artistic quality. Their evaluation was positive and they were evalua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urban image. On the other hand, the recognition of citizens was very low. Moreover, Gwangju Follies did not play as a figure and show architects' intentions because of their narrow locations. Therefore, it is very necessary to make a plan to maintain places so that Gwangju Follies do not have a cramped image and architects' intentions become clear with citizens' cultural competence. Also, urban property which creates the identity and attraction of Gwangju continuously should be settled down through helping citizens recognize the intention and value of artistic works. Moreover, Gwangju Follies should include more practical purposes and change its viewpoint from formation-focused visual enjoyment to space-focused happy experience.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Gwangju Folly
Alternative Author(s)
Park, Yong-Kwan
Department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Advisor
조용준
Awarded Date
2012-08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ⅸ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1.3 연구의 구성 및 관련연구 동향 5
2. 도시공간의 공공성 및 광주폴리에 관한 고찰
2.1 도시공간의 공공성과 도시계획 사조 17
2.1.1 도시공간의 공공성 의미와 특성 17
2.1.2 도시계획사조와 도시의 공공공간 19
2.2 한국의 도시 공공성 정책과 광주폴리 23
2.2.1 한국의 도시디자인 정책과 공공공간 23
2.2.2 광주폴리 계획과 광주 공공성 회복 정책 25
3. 광주폴리의 일반적 현황
3.1 광주폴리의 입지·공간적 특성 30
3.1.1 광주폴리 프로젝트 배경과 장소적 특성 30
3.1.2 광주폴리의 공간적 특성과 규모 42
3.2 광주폴리의 형태적 특성 52
3.2.1 광주폴리의 형태적 특성 52
3.2.2 광주폴리의 재료적 특성 63
4. 광주폴리의 인식 및 이용행태 분석
4.1 조사개요 70
4.1.1 조사 방법 및 시기 70
4.1.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속성 71
4.2 광주폴리의 인식 및 이용행태 분석 74
4.2.1 면접대상자의 인식 74
4.2.2 설문대상자의 인식 82
5. 광주폴리의 시지각 평가
5.1 평가개요 90
5.1.1 평가방법 및 시기 90
5.1.2 평가자의 일반적 속성 95
5.2 광주폴리 이미지 선호도 및 시지각 특성 분석 97
5.2.1 광주폴리 이미지 선호도 및 시지각 특성 분석 97
5.2.2 광주폴리 평가 요인 분석 109
6. 결론 147
참고문헌 150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박용관. (2012). 光州폴리의 空間的 特性에 관한 平價 硏究.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54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3352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2-08-09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