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茶禪一如'의 시대적 고찰 : 茶詩를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은영
Issued Date
2011
Abstract
우리나라 차문화의 시대별 변천과정을 통해서 다선일여의 사상이 선승들과 문인들에게 어떠한 방법으로 영향을 주었는지 다시를 통해서 얻는 결론을 다음과 같이 요약해본다.
삼국시대의 차는 공양물로 사용하면서 헌다의식이 발달하였고 중국 당나라의 문화교류 속에서 선불교와 차문화가 함께 유입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선불교가 활성화되면서 보조국사를 비롯한 많은 선승들과 문인들이 차생활을 통해서 다선일여의 사상을 고취시켰다. 특히 대문장가 이규보는 다선일여의 사상을 그의 시문에 무려 40여수를 남겼다.
조선시대에는 김시습, 김정희, 정약용, 초의선사 등에 의해서 다선일여의 사상이 확립되었다. 특히 초의선사의 다신전과 동다송 등 문헌을 통해서 당대의 차문화와 선문화가 함께 하면서 다선일여 사상이 확립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 O국의 다선일여의 비교는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중국의 다선일여의 연원은 끽다거에서 시작되어 육우에 의해서 다도정신이 확립되었다.
우리나라는 초의선사에 의해 중정에 의한 다선일여가 정립되었다.
이와 같은 다선일여는 오늘을 사는 현대인들에게 정신적 문화음료로 자리하면서 명상과 마음챙김으로 발전되고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I summarize that the periodic changes and development of our tea culture and how the theory of Daseonilyeo(tea and zen are one and the same) influenced to zen(seon) monks and writers through the-poetry as follows:
In the age of three kingdoms, tea-ceremony had been developing by using tea as an offering. Zen(seon) buddhism and tea culture was brought into our country at the same time from Tang(china) in the process of exchanging culture between two countries.
In koryo, as zen-buddhism was more activated, many zen-buddhists including Bozo-guksa and writers developed the theory of Daseonilyeo through their tea-enjoying lives.
Especially, Lee kyu-bo, the great writer, wrote 40 poems about Daseonilyeo.
In chosun, the theory of Daseonilyeo was completed by Kim si-seup, Kim
jeong-hee, Jeong yak-yong, cho-eui(a zen duddhist monk and the saint of korea tea) etc..
We analogize through the books such as ‘Dashinjeon’(The story of the tea god) and ‘dongdasong’(Inpraise of korea tea) by cho-eui that tea culture and zen-buddhism culture to the completion of the theory of Daseonilyeo.
Let’s make comparisons of three countries (china, korea) as follows:
An origin of Daseonilyeo in china began with ‘Kkigdageo’(have a cup of tea) and completed with tea-spirits by Jeong, Haeng, Geom, Deok.(the virtue of behavion with sincerity and modesty with generosity)
In korea, it was finished with impartiality by cho-eui. This study suggests that tea has been operating as a spiritual beverage to the people of today along with a meditation and self-control.
Alternative Title
A Periodic research on 'Tea-Chan yilyeo' : Focused on the poetry of korean tea
Alternative Author(s)
Lee Eun-yo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국제차문화학과
Advisor
김하림
Awarded Date
2012-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목적과 배경 1
제2절 연구내용과 방법 3

제2장 茶禪一如의 연원과 개념 5
제1절 중국 禪宗과 茶禪一如 5
1. 중국 禪宗의 연원 5
2. 禪宗과 茶의 관계 10
제2절 茶禪一如의 연원 13
제3절 茶禪一如의 개념 16

제3장 한국 차문화의 변천양상과 茶禪一如 20
제1절 고려시대 차문화 양상 21
제2절 조선시대 차문화 양상 25
제3절 시대별 차문화의 비교 30

제4장 茶詩를 통해서 본 茶禪一如 33
제1절 茶詩의 범주와 정의 33


제2절 고려시대 茶詩의 특징 35
제3절 조선시대 茶詩의 특징 47
제4절 시대별 茶禪一如의 비교 65

제5장 결론 70

참고문헌 72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이은영. (2011). ’茶禪一如’의 시대적 고찰 : 茶詩를 중심으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31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5667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2-02-0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