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휴대폰 사용패턴과 기능소유가 지각된 가치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한국과 카자흐스탄 소비자 비교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리 에카터리나
Issued Date
2011
Abstract
본 연구는 소비자의 휴대폰 사용에 있어 자기효능감과 휴대폰 교체기간이 기능적사용과 사용빈도, 상황적 사용, 상징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후속하여 즐거움과 지각된 가치, 국가원산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들 영향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과 카자흐스탄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이들 국가 간의 휴대폰 사용에 대한 행동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의 수집은 한국과 카자흐스탄 양 국가에서 실제 휴대폰을 사용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70부를 배포하여 현장에서 332부를 직접 회수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자의 자료 18부를 제외한 314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이 기능적 사용 및 사용빈도, 상황적 사용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효능감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휴대폰 사용의 다양한 기능과 다양한 상황에서 활발하게 사용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휴대폰 교체기간은 기능적 사용 및 사용빈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황적 사용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휴대폰의 기능들이 갈수록 최첨단화되고 다양해짐에 따라 소비자의 휴대폰 사용기간이 짧아지고 있어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폰 교체는 소비자들의 상황에 따른 사용을 증대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휴대폰을 사용하는 개인의 기기사용의 능숙도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용 등이 뒷받침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휴대폰의 기능적 사용은 소비자의 휴대폰 사용에 대한 즐거움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사용빈도 및 상황적 사용은 즐거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다양한 기능은 소비자의 사용에 대한 즐거움을 증대시키지만 이로인해 사용을 더 한다거나 상황적 사용을 증대시키지는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사용빈도는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능적 사용, 상황적 사용은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단순히 사용의 횟수가 많다고 해서 가치를 지각하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사용의 빈도는 기능적이고 상황적인 사용을 통해 가치를 더욱 높게 지각함을 나타내고 있다. 다섯째, 상징적 기능이 즐거움과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국가원산지 이미지는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이는 휴대폰 사용을 통해 얻게 되는 즐거움은 소비자에게 가치를 더욱 높게 지각하게 하지만 이미 상징적 기능자체가 생산되는 국가에 대한 이미지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국가원산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지각된 즐거움은 지각된 가치와 소비자 선호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가치 또한 소비자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국가 간에 휴대폰 사용을 통한 선호도의 차이가 있음을 밝혀냈다. 한국소비자의 경우 자기효능감이 사용빈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황적 사용이 즐거움과 상징적 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자흐스탄 소비자의 경우는 상황적 사용이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과 즐거움과 지각된 가치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유의적 영향을 나타내 두 국가 간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국가원산지이미지가 지각된 가치에 양 국가 모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아 휴대폰 생산국가에 대한 이미지가 소비자에게 크게 중요하게 인식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내 기업체 측면에서는 원산지이미지를 강조하기보다는 제품의 품질과 기능적 측면을 강조하거나 편리성을 강조하는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This study aimed to reveal a difference in mobile phones usage pattern among consumers in Korea and Kazakhstan. Overall, findings from the study suggest the functional, situational and frequent usage to be important factors in consumer’s mobile phone preferences.
Specifically, a positive influence of self efficacy on functional usage has been found in both countries. However, no significant result of self efficacy has been found in Kazakhstan for situational and frequency usage. On the other hand, Korean results showed a positive effect of self efficacy on situation and frequency usage. A tendency of mobile phone change has been found significantly neither in Korea nor in Kazakhstan. Similarly, frequency usage has no positive effect on enjoyment and perceived value in both counties. Another plausible finding is that functional usage appears to be the important factor for perceived value only in Kazakhstan and has no effect in Korea. Situational usage appears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enjoyment in both counties. In terms of perceived value, a positive effect of situational usage has been found only in Kazakhstan and functional possession significantly influences both enjoyment and perceived value only in case of Korean consumers. A positive effect of enjoyment on perceived value has been found in both countries. Surprisingly, country of origin appears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Neither Kazakhstan nor Korean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is factor plays an important role for perceived value. In Conclusion, perceived value and enjoyment play a crucial role in consumers’ mobile phone preferences.
Alternative Titl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Kazakhstan on the effects of Usage pattern and Functional possession on Perceived Value and Preference
Alternative Author(s)
Li Yekaterina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Advisor
정형식
Awarded Date
2011-08
Table Of Contents
ABSTRACT

Chapter 1 Introduction 1
1 Research background 1
2 Research objectives 2
3 Structure of the thesis 3

Chapter 2 Theoretical framework 4
1 Smart phone introduction 4
1.1 Mobile phone development 4
1.2. Popular trends 10
2 Usage pattern 10
2.1. Frequency usage 13
2.2. Functional usage 13
2.3. Situational usage 13
3 Self-Efficacy 14
4 Duration of mobile phone change 15
5 Function possession 15
6. Perceived enjoyment 16
7 Perceived Value 17
8 Country of origin 18
8.1. Country image 18
9 Preference 19

Chapter 3 Research methodology 19
1.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development 19
1.1 Model research 19
1.2. Hypotheses development 20
1.2.1 Self -efficacy and Usage pattern 20
1.2.2 Duration of phone change and Usage pattern 21
1.2.3 Usage pattern and Enjoyment 22
1.2.4 Usage pattern and Perceived Value 23
1.2.5 Functional possession, Enjoyment and Perceived Value 24
1.2.6 Country of origin and Perceived Value 25
1.2.7 Enjoyment and Perceived Value 25
1.2.8 Enjoyment and Preference 27
1.2.9 Perceived Value and Preference 27
1.2.10 Korea and Kazakhstan 28

Chapter 4 Empirical analysis 29
1 Data collection and measurement development 29
1.1 Data collection 29
1.2 Measurement development 29
2. Validity and reliability of variables 32
2.1. Verification of hypotheses: Total results 35
2.2. Verification of hypotheses: Korea and Kazakhstan 37


Chapter 5 Conclusion and Implementation 41
1. Research summary 41
2. Research limitation and future research 50

52
Questionnaire 57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리 에카터리나. (2011). 휴대폰 사용패턴과 기능소유가 지각된 가치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한국과 카자흐스탄 소비자 비교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25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2126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1-08-1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