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영어, 중국어, 그리고 한국어 부사어 비교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서월아
Issued Date
2011
Abstract
영어는 물론이고 중국어의 부사어의 분류의 근간은 부사어가 수식하는 피수식어의 범주에 따라 결정된다. Jackendoff (1972)에 따르면 부사어는 문장을 수식하는 이른바 향화자부사(speaker-oriented adverb; frankly, unfortunately)및 향주어부사(subject-oriented adverb; carefully clumsily)그리고 태도부사(adverbs of manner; eloquently), 시간부사(adverb of time; infrequently), 정도부사(adverb of degree; completely), 그리고 초점부사(focusing adverb; merely, utterly)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특히 Jackendoff(1972)에서는 향화자부사와 향주어부사를 문장부사(sentence- level adverb)로 분류하고, 태도부사, 정도부사, 시간부사 등은 술부부사(verb phrase-level adverb)로 구분하였다.

특히 문장부사로 분류할 수 있는 향화자 부사는 공기하는 문장(명제)을 직접 수식하는 요소가 아니라 문장을 발화한 화자의 입장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는 공기하는 문장이 나타내는 사건(event)과 관련된 서술적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술부부사로 정의하고 있다.

이렇듯 부사어가 수식하는 대상에 따른 문장부사와 술부부사로 대별할 수 있다는 것은 언어 보편적 현상이며 이는 중국어에서도 동일한 설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어의 부사의 분류는 언어 보편적 특성을 간과하고 의미적 특성의 국부적 현상만을 근거로 하여 부사를 분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 보편적 특성을 갖는 부사 가운데 영어와 중국어 그리고 한국어의 부사를 중심으로 이들의 분류 및 의미적 특성을 형식적으로 기술하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특히 본 고에서는 부사의 의미를 기술하기 위해서 Davidson(1969)이 제시한 사건구조 의미론(event structure semantics)의 모형을 틀로 삼아 부사를 형식적으로 기술함으로써 부사가 갖는 의미적 특성이 언어 보편적 현상임을 밝히고자 한다.
Alternative Title
A Comparative Study on the adverbs in English, Chinese, and Korean
Alternative Author(s)
YUYUEE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영문학
Advisor
차희정
Awarded Date
2011-08
Table Of Contents
1. 서론 4

2. 중국어 부사기술의 문제점 5

3. 아원자 의미론 15

4. 부사의 의미 기술 18

5. 결론 31


【참고문헌】 32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서월아. (2011). 영어, 중국어, 그리고 한국어 부사어 비교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18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2005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1-08-1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