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파생어 대조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방향옥
Issued Date
2010
Keyword
한국 한자어, 중국어, 파생어, 대조, 어휘핵|Sino-Korean word, Chinese Language, derivative, Contrastive, lexical head
Abstract
이 연구는 대조적인 관점에서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 접두·접미파생어의 내부 구조를 고찰하고 특징을 밝히며, X-Bar 이론의 기본 정신을 원용하여 한자어와 중국어 파생어의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이 논문은 7장으로 구성되었는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한자어와 중국어 파생어의 분석을 위해, 현대 형태론의 이론적 틀을 마련하였다. 어휘부는 단어의 형태 관계 즉 파생과 합성을 형성하는 단어형성 원리와 이를 저장하는 장소로 모든 파생어는 어휘부 안에 들어있다. 어휘핵은 내심구조에서 상위의 어휘범주를 결정하는 요소인데, 그 판단 기준은 구조적·의미적인 측면에서 모두 적용이 가능한 재조정된 ‘이다’ 조건을 적용하였다. 여기에서 영접사도 공범주 가설에 입각하여 내심구조에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한편, 내심구조에서 파생어의 핵의 모든 자질은 어휘범주 자질을 포함하여 첫분지 교점으로 삼투되어 올라간다.

3장은 한자어와 중국어 접사의 특성을 살펴보고 접사의 설정 기준을 세웠으며, 이 기준에 따라 한·중 접두·접미사의 목록을 세웠다. 한자어 접두사는 39개, 중국어 접두사는 32개로 한정하고, 한자어 접미사는 48개, 중국어 접미사는 49개로 한정하였다.

제4장은 한자어와 중국어 접두파생어를 ‘한·중 공통 접두파생어’, ‘한자어 단독 접두파생어’, ‘중국어 단독 접두파생어’로 분류하여 내부 구조를 살펴보고, 어휘핵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한자어와 중국어 접두사는 의미가 유사한 것도 있고 완전히 다른 것도 있다. 한자어 접두사는 대체로 의미의 유연성이 있는 데 반해, 중국어의 접두사는 의미의 유연성이 거의 없다.
구조적 측면에서는 차이점을 일곱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한자어 접두파생어의 어휘범주는 중국어보다 덜 다양하다. 2) 접두사에 의해 어기의 어휘범주가 바뀌는 경우는 중국어에만 나타난다. 3) 영접사 첨가에 의해 어휘핵이 이루어지는 접두파생어는 중국어에 더 많다. 4) 한·중 두 언어의 품사 차이로 인하여 내부 구조가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5) 중국어 접두파생어의 조어 양상은 중국어의 통사구조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것이 많은데 반해, 한자어는 고유어의 구조와 유사하다. 6) 한자어 접두파생어는 중국어에 비해 확대되어 사용되어 구나 절이 파생어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7) 한자어 접두파생어의 어휘핵은 항상 우측에 위치하고 중국어는 좌측 또는 우측이다. 8) 접미사의 어휘범주적 성격에 있어서 한자어는 실사만 가능하고 중국어는 실사, 허사가 다 가능하다.

제5장은 4장과 같은 방법으로 목록에 제시된 접미사에 의한 한‧중 접미파생어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내부 구조를 살펴보고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한자어와 중국어에서 모두 쓰이는 접미사는 의미상 유사점도 있지만 다른점도 있다. 그리고 한자어 접미사는 대체로 의미의 유연성이 있는 데 반해, 중국어 접미사는 의미의 유연성이 거의 없다.
차이점은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한자어 접미파생어의 어휘범주는 중국어보다 덜 다양하다. 2) 한자어 접미사는 어기와의 결합에 있어서, 한자어, 고유어, 외래어를 어기로 자유롭게 결합할 수 있다. 3) 한자어 접미파생어의 어휘핵 위치는 모두 우측이고, 중국어 접미파생어의 어휘핵 위치는 좌측 또는 우측이다. 4) 중국어 접미사는 어기의 범주를 변화시키는 기능 외에 첨사의 기능도 한다. 5) 접미사의 어휘범주적 성격에 있어서 한자어는 실사만 가능하고 중국어는 실사, 허사가 다 가능하다.
이와 같은 차이가 나타난 원인은 두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겠다. 하나는 중국어와 한자어에서 서로 다른 품사 분류 체계를 세운 데서 비롯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중국어가 전형적인 고립어이기 때문에 실사나 허사가 형태변화 없이 결합되어 사용되다가 접사화한 것으로 짐작된다.

6장은 X-bar 형태론은 통사론과 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그 기본 원리, 즉 ‘Xn → …X(n-1)…’는 같다는 전제하에, 형태론에 원용하여 한자어와 중국어의 파생어를 분석하였다. 구조적 관점에서 본 한자어와 중국어 파생어의 어휘핵 위치는 다음과 같이 일반화된다.

한자어의 접두·접미파생어는 ‘[[Y]+[X]] X]의 구조에서 X는 항상 어휘핵이다.
중국어의 접두·접미파생어는 ‘[[X]+[Y]] X] 또는 [[Y]+[X]] X]의 구조에서 X는 항상 어휘핵이다.

X-bar 이론의 기본 정신을 원용하면 통사부에서 독립해서 나타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는 X0이고, 어휘부에 나타날 수 있는 가장 큰 단위는 X0이다. 이를 전제로 하여 X-bar 이론의 계층적 구조를 적용하여 파생어 형태 단위의 층위를 기존 연구와 다르게 설정하여 확장되어 가는 중첩파생어의 계층적 구조를 보여주었다. 본고에서 주장하는 파생어의 형태단위의 층위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중첩파생어 - 단어: X0, 어간: X-1, 어근: X-2, 1층위파생접사: X-1, 2층위파생접사: X-2이다.
단순파생어 - 어간과 어근은 같은 개념으로 처리하고 이때 층위는 어근=어간: X-1이다.

층위와 관련된 어휘핵과 비어휘핵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어휘핵은 전체 구조인 X의 어휘범주를 결정하지만 비어휘핵은 불가능하다.
어휘핵과 비어휘핵의 층위는 항상 X-1이다.|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ternal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derivative suffixes and prefixes of sino-Korean and Chinese language in a contrastive point of view and analyse the structures of sino-Korean and chinese derivatives based on the basic principle of X-bar theory.
The study consists of seven chapters and is summarized as follows:
Chapter 2 presented a theoretical base of contemporary morphology to analyse sino-Korean and Chinese derivatives. Lexical category includes all the derivatives as a place of storing principles of word formation such as derivation and composition of words. Lexical head determines lexical categories in internal structures for which a condition of ‘ida’ which can be applied both in structural and semantic terms was used. It was assumed that zero-affix is included in the internal structure based on the hypothesis of empty category. However, all the qualities in heads of derivatives in internal structures are infiltrated into node of the first basin including qualities of lexical categories.
Chapter 3 identified characteristics of affixes of sin-Korean and Chinese language, set up standards of setting affixes, and developed a list of prefixes and suffixes. Prefixes of sino-Korean and Chinese language were 39 and 32 respectively and suffixes of sino-Korean and Chinese language were 48 and 49 respectively.
Chapter 4 analysed the internal structures of Chinese derivative prefixes categorized into ‘common Korean and Chinese derivative prefixes’, ‘independent sino-Korean derivative prefixes’and‘independent Chinese derivative prefixes’ and identified positions of lexical heads in order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Some prefixes of sino-Korean and Chinese language have similar meanings and the others have totally different meanings. Prefixes of sino-Korean have flexibility in meanings while those of Chinese language have little flexibility in meaning.
The differences were categorized into seven in a structural level: 1) lexical categories of sino-Korean derivative prefixes are less diverse. 2) Lexical categories are changed by prefixes only in Chinese language. 3) Chinese language have more derivative prefixes which have lexical heads by addition of zero-affixes. 4) There are some cases that internal structures are different due to different parts of speech in the two languages. 5) Coinage of derivative prefixes of Chinese language reflects its syntactic structure while sino-Korean has the similar structure to the native tongue. 6) sino-Korean derivative prefixes are used more widely compared to the Chinese ones, but phrases or clauses sometimes appear as derivatives. Finally, 7) In respect to lexical category of suffixes, sino-Korean can have only concept words while Chinese language can have both concept words and expletives. 8) lexical heads of sino-Korean derivative prefixes appear to their right while those of Chinese language appear to their left or right.
Chapter 5 categorized types of sino-Korean and Chinese derivative suffixes presented in the list as in Chapter 4 and analysed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Suffixes which are used both in sino-Korean and Chinese language have differences as well as similarities in meaning. Sino-Korean suffixes have flexibility while Chinese ones have little flexibility.
The differences are categorized into five. 1) Lexical categories of sino-Korean derivative suffixes are less diverse than Chinese ones. 2) Sino-Korean suffixes can be freely combined with sino-Korean, native words and foreign words. 3) The locations of lexical heads of sino-Korean derivative suffixes are right while those of lexical heads of Chinese language are left or right. 4) Suffixes of Chinese language has a function of addition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category change. 5) In respect to lexical category of suffixes, sino-Korean can have only concept words while Chinese language can have both concept words and expletives. The two reasons of such difference are presented as follows: the one is that the two languages have different systems of speech parts classification and the other is that as Chinese language is a typical isolated language, it is combined with concept words or expletives without change in forms and became suffixes.
Chapter 6 analysed derivatives of sino-Korean and Chines language under an assumption that X-bar morphology is not completely same as syntactics, but its basic principle, that is, ‘Xn → …X(n-1)…’ is the same. The positions of lexical heads of the two languages in a structural perspective are generalized as follows:

For Sino-Korean derivative prefix and suffix, X is always a lexical head in a structure of ‘[[Y]+[X]] X]’.
For Chinese derivative prefix and suffix, X is always a lexical head in a structure of ‘[[X]+[Y]] X] or [[Y]+[X]] X]’.

Based on basic principles of the X-bar theory, the smallest unit that can appear independently in syntax X0, and the largest unit that can appear in lexicon is X0. Therefore, different layers of derivative units using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X-bar theory were used to show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reiterative derivatives. The layers of derivatives suggested by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Reiterative derivatives - word: X0, stem: X-1, root: X-2, the 1st layer derivative affix: X-1, the and layer derivative affix: X-2.
Simple derivatives - Stem and root are treated as the same concept and here a layer is root=stem: X-1.

Characteristics of non-lexical heads related to layers are presented as follows:

Lexical heads decide the lexical category of X, but non-lexical heads can not.
The layer of lexical heads and non-lexical heads is always X-1.
Alternative Title
A Contrastive Study on the Derivation of Sino-Korean and the Chinese Language
Alternative Author(s)
Fang, Xiang Yu
Affiliation
호남대학교, 중국 치치할 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강희숙
Awarded Date
2011-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제1장 서 론 1
1.1. 연구 목적과 필요성 1
1.2. 선행연구 검토 4
1.2.1. 한자어 파생어 연구 4
1.2.2. 중국어 파생어 연구 7
1.2.3. 한·중 파생어 대조 연구 10
1.2.4. 선행 연구의 한계 11
1.3 연구 범위와 방법 12
1.3.1. 연구 범위 12
1.3.2. 연구 방법 및 논의의 전개 15

제2장 이론적 배경 17
2.1. 어휘부의 구성과 기능 17
2.2. 파생어의 구조와 개념 23
2.3. 파생어의 어휘핵과 판단 기준 30
2.3.1. 어휘핵 30
2.3.2. 어휘핵의 판단 기준 33
2.4. 내심구조와 외심구조 35
2.5. 자질삼투규약 39

제3장 파생 접사의 설정 기준과 목록 45
3.1. 한·중 파생접사의 특징 45
3.1.1. 한자어 46
3.1.2. 중국어 48
3.2. 한·중 접두사의 설정 기준과 목록 51
3.2.1. 한·중 접두사의 설정 기준 52
3.2.1.1. 한자어 53
3.2.1.2. 중국어 57
3.2.2. 한·중 접두사 목록 60
3.2.2.1. 한자어 60
3.2.2.2. 중국어 64
3.3. 한·중 접미사 설정 기준과 목록 68
3.3.1. 한·중 접미사 설정 기준 69
3.3.1.1. 한자어 69
3.3.1.2. 중국어 72
3.3.2. 한·중 접미사 목록 75
3.3.2.1. 한자어 75
3.3.2.2. 중국어 81

제4장 접두파생어 87
4.1. 한·중 접두파생어의 내부구조 89
4.1.1. 한·중 공통 접두파생어 89
4.1.1.1. 파생명사 90
4.1.1.2. 파생동사 101
4.1.1.3. 파생형용사 102
4.1.1.4. 파생수사 104
4.1.1.5. 파생부사 105
4.1.2. 한자어 단독 접두파생어 107
4.1.2.1. 파생명사 107
4.1.2.2. 파생동사 112
4.1.2.3. 파생부사 113
4.1.3. 중국어 단독 접두파생어 114
4.1.3.1. 파생명사 115
4.1.3.2. 파생동사 120
4.1.3.3. 파생형용사 121
4.1.3.4. 파생부사 122
4.2. 한·중 접두파생어 대조 분석 124
4.2.1. 한·중 공통 접두파생어 124
4.2.2. 한·중 단독 접두파생어 128
4.3. 요약 131
4.3.1. 유사점 131
4.3.2. 차이점 132

제5장 접미파생어 139
5.1. 한·중 접미파생어의 내부구조 139
5.1.1. 한·중 공통 접미파생어 139
5.1.1.1. 파생명사 140
5.1.1.2. 파생동사 144
5.1.1.3. 파생형용사 146
5.1.1.4. 파생부사 147
5.1.1.5. 파생접속사 148
5.1.2. 한자어 단독 접미파생어 149
5.1.2.1. 파생명사 150
5.1.2.2. 파생부사 153
5.1.2.3. 파생관형사 154
5.1.3. 중국어 단독 접미파생어 155
5.1.3.1. 파생명사 156
5.1.3.2. 파생동사 160
5.1.3.3. 파생형용사 162
5.1.3.4. 파생부사 164
5.1.3.5. 파생대명사 166
5.1.3.6. 파생전치사 166
5.2. 한·중 접두파생어의 대조 분석 167
5.2.1. 한·중 공통 접미파생 167
5.2.2. 한·중 단독 접미파생 171
5.3. 요약 175
5.3.1. 유사점 175
5.3.2. 차이점 176

제6장 파생어의 구조 분석 180
6.1. X-Bar 통사론과 형태론 180
6.2. 한·중 파생어의 어휘핵 185
6.2.1. 접두파생어 187
6.2.2. 접미파생어 189
6.2.3. 파생어의 어휘핵 구조 191
6.2.3.1. 좌핵 구조 191
6.2.3.2. 우핵 구조 196
6.2.4. 파생어의 어휘핵 특성 206
6.3. 파생어의 형태 단위의 층위 209

제7장 결 론 219

【참고문헌】 223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방향옥. (2010).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파생어 대조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05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1437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1-03-0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