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중학교 시설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한진수
Issued Date
2010
Abstract
본 연구는 시대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교육정책에 대응해야만 하는 학교 계획 설계에서 상호보완적 관계임을 의식하고 앞으로의 이들 관계에 대해 효과적인 방향으로 학교설계에 적용을 꾀하고자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시설에 대한 실들의 근접성과 관계성을 공간구조라는 관점에서 분석하고 해석함으로써 교육정책변화와 학교시설변화의 두 관계에 대한 해결점을 찾고자 했다.

이상의 내용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학교시설과 교육과정의 시대적 고찰을 통해 변화하는 교육정책과 학교시설의 관계가 동등한 위치에서 적용되고 있지 않고 불균형적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근본적인 원인을 공간구조에 대한 효용성 적용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문제점을 가설로써 설정하여 두 가지 방향에 맞춰 8개의 학교에 대해 공간구조 분석과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1차적 분석방법으로는 학교시설별 근접성에 대한 공간구조 분석으로 학교시설의 층별 공간 모폴로지 분석과 공간 특성별 기능도의 조닝구조 분석을 함으로써 8개 학교시설 공간구조의 근접성 요인을 파악할 수 있었다.

2차적 분석방법으로는 학교시설별 관계성에 대한 공간구조 분석으로 시설규모에 의한 층별 공간구조 분석과 Space Syntax을 이용한 층별 공간구조 분석 그리고 전체 시설에 대한 3차원적 공간구조 분석을 함으로써 8개 학교시설 공간구조의 접근성에 관한 요인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기술적 분석방법을 나타난 결과에 대해 심리적인 의식분석을 적용하여 가변적 공간과 고정적 공간의 구조에 대한 보다 나은 신뢰성을 추구하고자 효용성 설계를 위한 공간구조의 의식 분석을 통계적 수치 분석에 의한 가·고정적 공간의 의식 분석과 SPSS v.17을 이용한 계층적인 군집분석에 의한 가·고정적 공간의 선호도 분석 및 대응일치 분석에 의한 가·고정적 공간구조의 일치성을 분석으로 기술적 분석과 심리적 의식분석에 대한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시설 공간구조 분석을 1차적으로 행한 기술적 분석 결과와 2차적으로 행한 심리적 의식 분석의 결과가 일치함에 따라 학교설계 공간구조는 중복도형의 배치구조에 특성별 실들의 구조인 혼합형 구조를 복합적으로 설계함이 가변적 공간과 고정적 공간에 대해 가장 이상적으로 적용 가능한 학교설계라는 점을 분석을 통해 밝힐 수 있었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alize that school facilities need to be built according to continuously changing education policies with times, and make an attempt on the application of the efficient strategy.

Therefore, for efficient design in school facilities,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solution to the relationship of both education policy changes and school facility changes by analyzing and interpreting accessibility and relationship of school fac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content above, this study could know that changing education policies are not equivalently applied to school facilities through the chronological examination on school facilities and curriculums. By establishing a hypothesis that the root cause is that the efficiency application of spatial structure is not made, the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spatial structure about 8 schools according to two directions and carried out the awareness research.
Firstly, when it comes to the first analysis method, it analyzed spatial structure about accessibility of school facilities as well as space morphology of each floor of school facilities and zoning structure of a functional diagram by space characteristics to examine accessibility factors of 8 school facilities’ spatial structure.

Second, the second analysis method was about relationship of school facilities, and it could grasp accessibility factors of 8 schools’ spatial structure by analyzing spatial structure of floors according to the facility size, by using space syntax, and three-dimensionally.

Regarding a perception analysis of spatial structure for the efficient design aiming at better validity about variable space and unchangeable space structures by applying psychological awareness analysis to the results of such technical analysis methods, the perception analysis of variable and unchangeable space, the preference analysis of variable and unchangeable space, and correspondence analysis through the hierarchical group analysis by using SPSS v.17 were carried out to analyze the consistency so that it could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technical analysis and the psychological perception analysis.

Therefore, the first technical analys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second psychological perception analysis result about the school facility spatial structure, so it is most desirable to divide variable and unchangeable spaces about a single structure of rooms and a combin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spatial structure and design schools for the efficient design of practicable school space.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of Middle School Facilities
Alternative Author(s)
Han, Jin Soo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Advisor
김수인
Awarded Date
2011-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표 목차
그림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제3절 가설 설정에 대한 연구 고찰 5
1. 가설 설정 5
2. 기존 연구 동향 6
제4절 기대효과 9

제2장 중학교시설과 교육과정의 시대적 관계성 10
제1절 학교건축과 교육과정의 관계 10
1.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화 10
2. 학교건축 변화의 주된 요인 18
제2절 제7차 교육과정과 중학교시설의 관계 27
1. 제7차 교육과정의 내용 및 특징 27
2.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시설의 변화 요인 32
3. 수준별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시설의 변화 35
제3절 지식 정보화 사회에 따른 교육의 변화 38
1. 지식 정보화 사회의 이론적 고찰 38
2. 지식 정보화 사회의 교육 방향 41
3. 지식 정보화 사회에 따른 중학교 교육의 방향 45
제4절 시대적 관계성에 따른 문제도출 48

제3장 중학교시설·설비기준 및 법규적 관계성 50
제1절 법규적 기준의 변천과정 50
제2절 학교시설․설비 기준과 현대화 사업의 관계 52
1. 학교시설․설비 기준령 52
2. 학교시설 현대화 사업 58
제3절 학교시설과 법규적 관계 61
1. 대지선정 및 도시계획시설결정 61
2. 건축계획 및 설계 62
3. 학교시설 관리 68
제4절 제도적 관계성에 따른 문제도출 70

제4장 중학교시설의 공간구조와 의식 조사 72
제1절 대상선정의 배경 72
1. 중학교시설의 현황 72
2. 위치적 접근성에 따른 대상선정 74
제2절 대상학교 현황 및 규모와 공간구조 조사 76
1. 학교시설별 현황 및 규모 조사 76
2. 학교운영상의 공간구조 조사 109
제3절 학교시설별 공간구조의 의식 조사 118
1. 기술적 통계에 의한 항목별 의식 조사 118
2. SPSS 통계를 적용한 공간의 의식 조사 120
제4절 소결 123

제5장 학교시설별 공간구조와 의식 분석 125
제1절 공간구조의 근접성과 관계성 적용 125
제2절 학교시설별 근접성에 대한 공간구조 분석 126
1. 학교시설의 층별 공간 모폴로지 126
2. 공간 특성별 기능도의 조닝구조 136
제3절 학교시설별 관계성에 대한 공간구조 분석 146
1. 시설규모에 의한 층별 공간구조 146
2. Space Syntax을 이용한 층별 공간구조 166
3. 전체 시설에 대한 3차원적 공간구조 183
제4절 학교시설별 공간구조의 의식 분석 192
1. 기술적 통계에 의한 항목별 의식 분석 192
2. 계층적인 군집분석에 의한 공간의 선호도 197
3. 대응일치 분석에 의한 공간구조의 일치성 206
제5절 소결 209

제6장 결 론 212

참고 문헌 214
부 록 218
국문 초록 272
감사의 글 274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한진수. (2010). 중학교 시설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01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1351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1-03-0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